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1/11 18:30:58
Name 망탕
File #1 크기변환_IMG_20161111_181935.jpg (1.58 MB), Download : 19
Subject [질문] 무선랜카드의 안정성




안녕하세요. 저에게 고민이 하나 있습니다.


사진은 저의 컴퓨터 본체의 모습입니다.


사진에 나오는 스마트폰은 공기계인데


지금 제 컴퓨터의 무선 랜카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거실에 있는 무선 공유기 -> 사진의 스마트폰 -> USB 테더링 -> 컴퓨터


의 과정을 거쳐서 인터넷이 연결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5개월째 쓰고있네요.



속도 만족스럽습니다. 5GHz 연결하고 크롬으로 웹서핑하면


클릭하자마자 다음페이지 로딩없이 바로 나올정도로 체감상 속도 좋습니다.


반응속도 만족스럽습니다. 롤하면 핑 15~20수준입니다. 오버워치 인터넷렉 거의 없습니다.




한가지 문제점은 안정성입니다.


역시 무선인터넷을 사용하면서 필연적인 부분이지 싶습니다.


종종 인터넷연결이 끊깁니다. 하루종일 인터넷을 이용한다고 할경우에 하루에 서너번정도 입니다.


끊기는 시간은 길지 않습니다. 짧게는 몇초에서 길어봐야 1분입니다.


아마도 무선연결이 두다리 건너서 되어있는 상황이라 일어나는 일이지 싶습니다.


저희 가족이 5일 후에 이사를 갑니다. 이사후에는 유선으로 연결하고 싶지만


인터넷이 제방에서부터 시작할 수가 없습니다. 이유는 IPTV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공유기와 유선으로 선을 끌어와서 연결하고 싶지만 이 역시 인테리어 공사 끝나고 인터넷 설치 기사가


봐야 아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또 무선인터넷을 사용해야하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 유선연결이 힘들경우, 사진과 같은 임시방편을 그만두고 무선랜카드를 사서 장착하려고 합니다.


여기서 제가 궁금한점인데, 무선랜카드를 장착하면 제가 위에서 말한 간헐적인 끊김현상이 없을까요? 혹은 스마트폰보다야 나을까요?


집은 넓지 않습니다. 지금집은 24평, 이사갈집은 29평입니다.


간헐적인 끊김현상이 이게 웹서핑만 한다고 치면 전혀 불편할게 없지만


게임을 하다 끊길경우 상당히 난감해서 힘듭니다.



많은 분들의 정보와 의견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11/11 18:32
수정 아이콘
유선이아니고서야 다똑같습니다
게임하다 성질버리기 딱좋죠
backtoback
16/11/11 18:42
수정 아이콘
무선랜카드는 지금이랑 동일할겁니다.

인터넷 기사님 오시면 방으로 선하나 빼달라고 하면 해줄겁니다.

신축 아파트면 벽에 100퍼 있고

오래된 아파트여도 콘센트 옆에 유선전화 단자 인터넷으로 바꾸면 됩니다.
불량사용자
16/11/11 18:44
수정 아이콘
근데 이사가시는 곳엔 광랜이 안들어가 있나요...?
근래에 만들어지는 아파트는 벽면에 유선이 연결되어 있을건데 확인 해보셧는지 궁금하네요.
16/11/11 18:47
수정 아이콘
무선은 실내에선 거리보다 벽을 몇개 지나가느냐가 관건이라... 랜카드를 써도 크게 개선이 안되긴 한데 휴대폰에서 바뀌는 거라 모르긴 하겠네요..
그래도 아파트라면 지은지 좀 됐어도 내부 단자로 선이 연결 되어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작년에 20년된 아파트에 새로 들어가는 친구가 그거 걱정을 하길래 (딱 같은 상황입니다)
인터넷 들어오는날 내부 단자 살아 있나 점검좀 해줄려고 장비 챙겨서 가봤는데
KT 기사가 먼저 연결해줄까요 하고 물어보고 내부 단자 살려서 연결 해주고 갔더군요 ;
아무래도 그 단지 많이 다니니......
원래 회사쪽은 원선만 끌어주는게 원칙이긴 한데 가정은 원칙이 어찌 되는지는 모르겠는데
서비스 마인드가 있는 기사면 어느정도 해줄겁니다. IPTV + 인터넷 요금을 내는거니 PC까지 연결은 해줘야 되는거거든요.
내부 단자가 안살아 있으면 상황이 좀 어려워 지는거고....
오클랜드에이스
16/11/11 18:48
수정 아이콘
저도 무선성능때문에 롤을 포기했습니다.

종종 3000핑까지 치솟아서...

그냥 유선연결 하시는게 낫잖나 싶습니다.
16/11/11 18:50
수정 아이콘
무선 랜카드는 뭐 벽이 있는이상 답이없숴요..
16/11/11 18:54
수정 아이콘
장애물이 많으면 공유기 몇 개 브릿지로 해놓으면 그나마 낫습니다
다이어트
16/11/11 18:57
수정 아이콘
제가 무선랜 하는데 롤하면 가끔 멈춰요. 비슷할것 같네요
김티모
16/11/11 19:21
수정 아이콘
무선은 아무리 안정적이라도, 심지어 랜카드랑 ap를 바로 옆에 놓고 써도 종종 끊깁니다. 제가 무선으로 1년 정도 사용해봤는데, 그때의 고통을 다시 겪고싶지는 않네요.
-안군-
16/11/11 19:26
수정 아이콘
무선랜은 원래가 불안정합니다. 잡음도 많고, 사이에 사람 하나만 지나가도 끊길 수도 있고요...
참고로.. 무선랜 기술의 90% 이상이 에러처리와 장애복구 기술입니다;;; 원래 불안한거 맞아요.
모모이
16/11/11 19:26
수정 아이콘
지금 들어갈 집 인테리어 하신다면 업체에 랜 포트 공사해주나 물어보세요
안쓰는 전화선 단자 뜯어서 랜포트로 개조해주는 인테리어 업자들도 있더라구요
16/11/11 21:20
수정 아이콘
이건 해봐야 아는 문제같은데요.
아무래도 폰에서 테더링 거는건데..이게 생각보다 좋지가 않아요.
아시겠지만..테더링 걸면 폰에 엄청 발열이 나는데..이게 영향을 줄수도 있는 문제구요.

무선 랜이라는게 그렇게 안정성이 호구스럽진 않습니다.
지금과 비슷할거다..라는 건 좀 아닌거 같구요.

일단 해봐야 알 것 같습니다.
윗분들은 대체적으로 부정적 의견이지만..

아무런 장애를 겪지 않는 사람들도 많고 그 수가 더 많을걸요.
일반적으로 보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2975 [질문] [블랙박스] 짭프로 m10 구매했습니다. 법덕법덕2062 16/11/12 2062
92974 [질문] PS4 PRO 사용하신분들 만족하시나요. [4] 북극6106 16/11/12 6106
92973 [질문] 20~30 사이 패딩 추천해주세요. 오렌지망고1734 16/11/12 1734
92972 [질문] [LOL] 돌릴만 한가요?? [3] 클레멘티아1657 16/11/12 1657
92971 [질문] 광주송정역 근처에서 오전시간대에 볼만한 게 있을까요? [3] 무무무무무무2655 16/11/12 2655
92970 [질문] 오늘 경복궁 청계천 방문 [2] 큭큭나당1908 16/11/12 1908
92969 [질문] KT인터넷, 티비 둘다 안되네요. [4] 아스날2025 16/11/12 2025
92968 [질문] 엑셀 행이 100만이 넘어갑니다.. 어떻게 지울 수 있을까요? [10] 네잎클로버MD3227 16/11/12 3227
92967 [질문] 유명한 몬티홀 문제질문입니다. [18] 럭키루이3453 16/11/12 3453
92966 [질문] [LOL] 픽밴및 결과창에서의 욕설 [4] 래쉬가드3097 16/11/12 3097
92965 [질문] 관심병, 어떻게 해결하나요. [8] 홉스로크루소3026 16/11/12 3026
92964 [질문] 윈도우가 깔려있지 않은 HDD도 디스크 조각모음을 해야하나요? [2] Numa1994 16/11/12 1994
92963 [질문] [스타2] 초보 Z VS T 빌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6] bemanner1687 16/11/12 1687
92962 [질문] 아이폰7.. 어떠세요? [11] pure fiction3309 16/11/11 3309
92961 [질문] [LOL] 시즌7 특성 아이콘이 왜 안바뀔까요? [3] 자바초코칩2343 16/11/11 2343
92960 [질문] 노트북 오버클럭 실수와 롤 프레임드랍 [2] 라떼3433 16/11/11 3433
92959 [질문] 아이폰 음악 가사 문제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3] 23573521 16/11/11 3521
92958 [질문]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에 대하여... [2] Today is Bathday1914 16/11/11 1914
92957 [질문] 넘어져서 까진(?) 상처의 쓰라린 통증 [4] 삐니키니1872 16/11/11 1872
92956 [질문] 프린터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3] newness111561 16/11/11 1561
92955 [질문] 숙취해소음료 최강은 무엇인가요? [26] 헬로비너스나라9757 16/11/11 9757
92954 [질문] MP4 동영상 파일 소리 싱크만 바꾸기 손금불산입4761 16/11/11 4761
92953 [질문] 자동차...패들 쉬프트(?) 질문입니다. [7] 1llionaire3372 16/11/11 33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