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0/26 09:59:13
Name goEngland
Subject [질문] 부동산 전대차 계약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pgr 부동산 전문가님들.!

임차인을 a 임대인을 b 전대차인을 c이라고 하겠습니다

임대인b가 임차인a에게 상가를 2000/150에 임대를 받고 이 상가를 c에게 5000/120에 전대차를 계약할 경우 계약 자체가 유효한가요?

상가법에 의하면 임대 보증금보다 전대차 보증금이 클 수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것이 여기서 전대차 계약을 진행시
1. 계약 자체가 성립 되지 않는겁니까?
아님 추후 보증금을 날릴수 있는 리스크는 있지만 계약 자체는 성립되는건가요?

2. 임대인 b가 저런 계약을 요구할 경우 어떻게 풀어 나가야 하나요

3.임차인a위 전대차 허가 동의를 유선으로 받았는데 유효한지요? 서류를 받아야 하면 따로 서류가 있나요?

미리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adenza79
16/10/26 20:16
수정 아이콘
먼저 임대인과 임차인을 거꾸로 쓰셨습니다. b가 임대를 받은 사람이니 임차인(=전대인)이고, a가 임대를 준 사람이니 임대인입니다.

먼저 각 보증금 규모는 법에 규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정상적인 구조는 아닙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2.참조)

1.
계약은 유효합니다. 다만 a는 c에 대하여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전대차에 동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전대차는 임대차 범위 내에서만 유효하므로, b의 잘못이 있어 임대차가 해지되면 전차인 c가 아무런 잘못이 없어도 비워줘야 됩니다. 간단하게 b가 두달만 연체하면 c는 아무리 잘못이 없어도 나가야 됩니다.

2.
c 입장인가요? 제 입장이라면 당연히 계약을 하지 않겠습니다. 1항의 사유 말고도 너무 위험합니다. 전대차를 하는 이유는 당연히 이득이 생기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자기가 낸 보증금보다 적은 보증금을 받더라도 월세를 더 받으면 은행에 넣는 것보다 득이니까요.
예컨대 대기업 계열사 중에는 전대차를 전문적으로 하는 업체가 좀 있습니다. 좀 큰 건물 주인이 호실별로 관리하기 귀찮으니 고수익 대신 공실의 위험을 전대차전문업체에 다 떠넘기고 중수익을 택하는거죠. 자기 돈으로 리모델링을 해 주고 20년 임대차 이런 식으로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런 업체들은 예외 없이 임대차 차임보다 전대차 차임을 더 받습니다. 그래야 회사가 흑자가 나니까요.
그런데 말씀하신 사례는 전대차의 보증금이 더 크고 월세가 더 적습니다. 만약 보증금/월세가 반대라면 3000만 원(보증금 차액)을 빌려 주고 30만 원(월세 차액)을 받는 수익사업이 됩니다. 연 12%니까 꽤 쏠쏠한 사업입니다. 그런데 본문 사안은 상식에 반하는 것으로서, 간단히 이야기해서 3000만 원(보증금 차액)을 빌려서 이자를 월 30만 원(월세 차액)씩 내는 구조와 완전히 동일합니다. 연 12%의 이자에 돈을 쓰겠다는 겁니다. 돈 빌려주는 사람과 이자 받는 사람이 다를 뿐이죠. 수익보다는 목돈이 필요하다는 뜻이고, 연 12%에도 돈을 쓰겠다는 것을 보면 웬만한 금융기관의 돈줄이 다 막혀서 자금사정이 어렵다는 점을 추단할 수 있습니다. 떼일 가능성이 엄청나게 높습니다.

3.
의사표시는 반드시 서류로 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허락해 준 적 없다고 하면 증명을 못 합니다. 무단전대는 그 자체로 임대차계약 해지사유인데, 전대허락을 받은 쪽에 증명책임이 있습니다. 구두로 했다면 거의 증명이 불가능합니다.
goEngland
16/10/26 23:15
수정 아이콘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2184 [질문] 친구사이 돈 거래 [5] 유랑2940 16/10/27 2940
92183 [질문] 손목 안 아픈 마우스 좀 추천 부탁드립니다 [2] Magicien3016 16/10/27 3016
92182 [질문] 노트북 멕북에어 vs 삼성노트북9 메탈 [9] alphamale2501 16/10/27 2501
92181 [질문] 해외 펀드 정리하라고 전화가 와가지고요 [6] 틀림과 다름2679 16/10/27 2679
92180 [질문] 순살 치킨 추천해주세요! [17] 부처3468 16/10/27 3468
92179 [질문] 然后와 后来의 정확한 차이가 무엇인가요? [6] 아름답고큽니다2329 16/10/27 2329
92178 [질문] 취업사진 질문입니다 [3] fhbtyjs1674 16/10/27 1674
92177 [질문] 배가 계속 아플땐 어디 응급실로 가나요?? [9] mcmc2900 16/10/27 2900
92176 [질문] 제주도여행 렌터카 질문입니다. [9] longtimenosee2351 16/10/27 2351
92175 [질문] 리모델링 공사를 하였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추가) [8] 괴도키드1577 16/10/27 1577
92174 [질문] PT 15회 후 혼자 운동이 안됩니다... [15] 유랑6834 16/10/27 6834
92173 [질문] 소개팅 전 질문입니다. [6] 다음v2391 16/10/27 2391
92172 [질문] 윈도우10 화면보호기가 안되네요 [1] RookieKid7839 16/10/27 7839
92171 [질문] 새벽에 김포에서 양재역까지 걸리는 시간? [6] 유댕이2808 16/10/27 2808
92170 [질문] 윈도우는 어떻게 구입해야 저렴한가요? [12] 레너블4221 16/10/27 4221
92169 [질문] dac 과 앰프중 소리에 영향을 많이 주는것은 뭘까요 [2] 이워비2646 16/10/27 2646
92168 [질문] 운전면허 시험 우회전 질문입니다 [10] car hartt2078 16/10/27 2078
92167 [질문] 잦은 파마와 염색으로 머리가 개털이됫는데요 [7] chan3353474 16/10/27 3474
92166 [질문] [문명V] 컴플리트 에디션 재미있을까요? [15] Waldstein4785 16/10/27 4785
92165 [질문] 닥터 스트레인지 보려고 합니다. 상영관 추천 부탁드립니다. [4] info21c3504 16/10/27 3504
92164 [질문] 스토리텔링이 인상적이거나 재밌었던 글이 있나요? [10] 트와이스정연2479 16/10/27 2479
92163 [질문] 로고 이미지 파일 만드는법 질문 드립니다. [8] 칼퇴추구자1436 16/10/27 1436
92162 [질문] CPU와 그래픽카드의 언밸런스에 대한 질문입니다 [13] 꼭두서니색2690 16/10/27 26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