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0/22 00:37:34
Name 무무무무무무
Subject [질문] 1억을 모으면 뭔가 달라지나요?
   밑에 재테크 글을 보고 문득 궁금해져서 올려봅니다.

   흔히 사회초년생의 재테크에 대해 일단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한다.... 정도는 알겠는데, 생각해보니 그 뒤에 대해선 들어본 적이 없네요.
   그저 항상 들었던 얘기는 일단 종잣돈 1억을 모으라는 거였고 인터넷에도 1억을 모으는 방법에 대해선 수두룩하게 뜨는데,
   막상 1억을 모은 후에 어떻게 해야 한다는 방법에 대해선 나와있는 곳이 별로 없거든요.

   그냥 막연하게 1억을 모을 정도면 돈모으는 습관도 들었으니 계속 모으면 된다 이자도 조금은 늘었을거고 정도로 생각해왔는데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든가, 방법이 더 늘어난다든가 하는 부분이 있는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10/22 00:46
수정 아이콘
일단 답변을 주는 사람은 자산 1억 이상 자동 인증인가요? 크크크
미메시스
16/10/22 01:04
수정 아이콘
제 기억으론 1억 모으는게 2000년 초반에 유행했던 내용인데
그 땐 1억에 대출껴서 서울에 작은 아파트를 사거나
조그만 장사를 할수있던 돈인걸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지금은 물가가 올라서 1억으로 뭘 하기엔 애매하고..
그냥 상징적인 의미가 더 큰듯 합니다.
프로취미러
16/10/22 01:13
수정 아이콘
지금 1억이면... 일단생각나는건 서울에서 그럭저럭 살만한 원룸 전세금 정도네요.
20대 후반 정도라면 월세를 더이상 내지 않아도 되는 정도의 자산이라는 상징성은 있는 것 같습니다.

월세가 안나가면 돈은 당연히 더 모이겠죠.
16/10/22 01:18
수정 아이콘
13~5년 전쯤에 1억이랑 지금 1억이랑 느낌이 좀 다르긴하네요
그쯤에 금리도 지금 보단 높았고 ...
16/10/22 01:21
수정 아이콘
1억 모으는 놈이면 2억이든 3억이든 계속 모을테니까 그걸 보고 하는말이죠
별로 다를거 없어요
아니아니
16/10/22 01:29
수정 아이콘
말씀처럼 습관이 생기고 의욕도 생기려나?
아무튼 간단한 결론은 "계획적으로 사는데 도움이 된다."이거겠죠.
계획과 목표가 있는 삶이 인간으로서 긍정적인 자세로 보이기 때문에 하는 사람도 많고 듣는 사람도 많은 것이죠.
eosdtghjl
16/10/22 01:45
수정 아이콘
일단 pgr에는 1억 모으신 분이 없는걸로.. 위안삼아 봅니다
모리건 앤슬랜드
16/10/22 01:47
수정 아이콘
스노우볼을 굴릴만한 최소단위였긴 한데 지금도 과연 그럴지는 현실적으로 회의적입니다.
16/10/22 01:49
수정 아이콘
지금은 스노우볼 단위가 좀더 커진거같아요. 그리고 요즘은 보통 1억되기 전에 전세자금대출 -> 열심히 갚음 -> 받은 돈으로 아파트 대출끼고 구매 -> 열심히 갚음 ->리얼돈모으기 인걸로..
스타나라
16/10/22 02:03
수정 아이콘
서른두살. 3년간 가지고있던 천만원에 연간 3천만원씩 더해 1억 모았습니다. 34평짜리 집을 샀는데요, 3억8천이라는군요. 대출 2억3천 끼고 1억 냈는데 5천이 부족했습니다. 1억가지고는 집사기가 만만치 않아요. 20평 중반대 집은 가능할꺼 같은데 경쟁율이 좀 높구요.

그냥 상징 말고는 아무것도 없는것 같아요.
바닷내음
16/10/22 10:40
수정 아이콘
ㅠㅠ 세금 + 복비 + 등기...
데오늬
16/10/22 04:19
수정 아이콘
1억이 모이면 어떻게 된다든가 뭐 그런 것보다 그냥 적당한 목표치를 정한게 아닐까요
아무렇게나 하기는 좀 많은 것 같고 그렇다고 못할 것 같지도 않은 적당한 금액으로
비둘기야 먹자
16/10/22 06:33
수정 아이콘
1억 아무 의미 없던데요? 5억도 아무 의미 없었음. 10억은 의미 있겠죠? 아마 없을듯.
16/10/22 08:02
수정 아이콘
가족이 있다면 전세금에 보탬 되는 정도?
wish buRn
16/10/22 10:20
수정 아이콘
기분이 좋아집니다. 한 1주일정도?
10년전 1억이나 지금 1억이나 생각보다 가치차이는 없습니다. 물가상승율이 의외로 낮거든요.
(10년동안 50%도 못 올랐을걸요..)
근데 집값 상승이 그걸 초월하는 바람에..
지구사랑
16/10/22 10:40
수정 아이콘
1억원이라는 숫자 자체에 아주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만, 복권 당첨이 아닌 이상에야 저절로 되는 것도 아니겠지요.
돈 모으는 습관이라고 퉁치면 그렇다고 할 수 있는데, 좀 더 세분하게 말해서 지출 통제와 만족 지연을 몸에 익혔다는 의미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지출 통제가 없으면 자산을 키우기는커녕 지키기도 어려운 것이고, 만족 지연이 없으면 투자의 세계에서 제대로 성공하기가 어렵습니다.
반대로 말해서 돈을 모으는 과정에서 그다지 느끼는 것이 없었으면 역시 별다른 의미가 없겠죠.
묘이미나
16/10/22 11:24
수정 아이콘
부자는 되물림이라는 생각이 더 깊어집니다.. 모아서 될 수 있는게 아니구나..
불타는밀밭
16/10/22 14:17
수정 아이콘
될 수 있는 때가 있습니다. 전쟁 직후같은 격변기요.
쭈꾸미
16/10/22 14:00
수정 아이콘
질문에 대한 답은 아니고 그냥 심심해서 헛소리를 지껄여 보자면요.

무산계급이 1억을 모으려는 것은 유산계급에 속하고 싶다는 것이다.
유산계급은 똥을 치우지 않을 선택권을 가진 사람이다.
무산계급은 똥을 치우지 않을 선택권이 없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1억을 모으려는 무산계급은 똥을 치우지 않을 선택권을 가지려는 사람이다.
그런데 누군가는 똥을 치워야 한다.
그러므로 모든 무산계급이 1억을 모을 수 없다.(모으더라도 실질가치는 지금의 1억이 아니다)
무산계급인 내가 유산계급이 되려면 누군가는 멍청하게 소비를 해주어야 한다.
그래야 내가 유산계급이 되지.
신승훈
16/10/22 20:44
수정 아이콘
1억이 생기면 돈굴릴데가 많아지죠.
1억정도면 아주 작은 상가든, 원룸 기준 지방 2-3개 방정도,
아파트 소형아파트 또는 낡은아파트 매매도 가능한데
그러면 월세를 받을 수 있게 되고
1억이 있다는 것은 담보대출을 통해 그만큼의 대출이 가능해지고
등등 초기자본이 생기면
사실 그 뒤로 돈버는것은 머리굴리는것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사는 허세와 같은 행동만 하지 않으면 1억정도 모아놓으면
앞으로 돈벌기 쉬워집니다.
16/10/23 13:55
수정 아이콘
저도 돈은 모으면 뭐하나 내가 모아 봤자지 라는 생각을 했는데... 돈굴리는 동네 와서 일하고 옆에서 지켜보니까 종잣돈 있으면 확실히 찬스가 생깁니다. 물론 그기회가 좋은 기회인지 아닌지는 본인의 선택이지만... 안모으는 것보다는 할게 많습니다 정말 무궁 무진하게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1930 [질문] 엑셀, 앞에 숫자만 증가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4] 모쏠로메테오12878 16/10/23 12878
91929 [질문] 갤럭시S7 악세사리 문의 Juliet1643 16/10/23 1643
91928 [질문] 초보자용 맨몸운동 없을까요? [31] 송하나5647 16/10/23 5647
91927 [질문] [나눔] 컴투스 프로야구 2016 하는 분 계신가요? [5] VKRKO2211 16/10/23 2211
91926 [질문] 홍콩 미슐랭 맛집 추천해주세요 현실적인1899 16/10/23 1899
91925 [질문] 유튜브 재생 질문입니다. [2] 마인트1547 16/10/23 1547
91924 [질문] 윈도우나 파일시스템이 자꾸 손상되는 경우..컴퓨터 질문 칸나바롱2080 16/10/23 2080
91923 [질문] 야알못이 질문하나 더 드립니다. [4] 아라가키유이1360 16/10/23 1360
91922 [질문] 중국정부가 불법조업을 단속 않는 이유? 정외잘알님들 도와주세요. [11] codin3188 16/10/23 3188
91921 [질문] 컴알못이 여짭사옵나이다. 컴도사님들께는 누워서 식은죽 뱉기입니다. [2] codin2037 16/10/23 2037
91920 [질문] 소개팅이후 에프터까지의 행동..? [14] 너와나의연결고리4961 16/10/23 4961
91919 [질문] 전기압력밥솥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2] RedSkai4165 16/10/23 4165
91918 [질문] [LOL] LCK 역대 최고의 선수는?(수정) [47] swear4470 16/10/23 4470
91917 [질문] [핸드폰] KT 아이폰 체인지업에 관한 질문입니다. [3] 남자의일격3044 16/10/23 3044
91916 [질문] 중고 그래픽카드 구하려는데요 [1] 난나무가될꺼야2042 16/10/23 2042
91915 [질문] 직장과 집 사이의 적당한 거리? [14] Stukov6821 16/10/23 6821
91914 [질문] SF 영화 찾습니다. [1] 그래프1714 16/10/23 1714
91913 [질문] 마우스 우클릭시 매뉴 나타나는거 복원 가을의전설2262 16/10/23 2262
91912 [질문] [LOL] 2014년도 폰 VS 페이커 영상 찾습니다. [7] 커피소년3398 16/10/23 3398
91911 [질문] 고백했다가 거절당했는데 그냥 쌩까야하나요? [11] 받아들이기21959 16/10/23 21959
91910 [질문] [포켓몬 썬/문] 포켓몬나눔 공지겸 질문 [18] 오즈s2634 16/10/22 2634
91909 [질문] 인터넷이 간헐적으로 계속 끊어지는 경우 [5] 스핔스핔2000 16/10/22 2000
91908 [질문] 가족여행으로 적당한 여행지 추천 부탁 드립니다. [5] 희열2414 16/10/22 24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