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0/16 23:21:02
Name Patrick Jane
Subject [질문] Java 예외처리 Throw 관련질문
안녕하세요. 웹프로그래밍과 자바를 같이 공부하다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올립니다

자바에서 예외처리할때 어떨때는 Throw (예외처리) 이렇게 쓰고 어떨때는  throw new (예외처리) 이렇게 쓰는걸 책에서 봤는데요,

new를 쓰는 경우는 어떤 경우고, 왜 적어야하는 건가요?


void throwIOException(){
    throw new IOException();
}

if (조건){
    throw "print sth";
}

제가 생각한것은 IOException 같은것들은 객체를 던져주는 거기때문에 앞에 new를 써서 객체를 생성해서 던져주는건가요?
검색해도 정확한 답이 안나와서 질문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정지연
16/10/16 23:48
수정 아이콘
자바에선 exception 자체도 클래스이고 throw 뒤에는 Exception 클래스를 상속받은 클래스의 객체가 붙어야 하기 때문에 throw new Exception(); 이런식으로 객체를 생성해 보내야 합니다
Patrick Jane
16/10/17 00:12
수정 아이콘
그러면 new가 붙지않은 예외처리들은 상속받은 클래스를 사용하는게 아니라 그냥 처리해서 안붙는거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정지연
16/10/17 10:14
수정 아이콘
throw "print sth";
지금 확인해 보니까 이런식으로 날리는건 컴파일 에러가 납니다.. Exception 을 상속받지 않은 다른 class 타입의 객체도 마찬가지고요..
exception 객체를 다른데서 미리 생성해서 쓰건 바로 throw 뒤에 new 해서 쓰건 어쨌건 Exception 을 상속받은 객체가 날라가야 한다는 점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throw 라는건 발생된 exception 을 자기를 호출한 상위 메소드에서 처리하도록 넘긴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exception 객체가 날라가지 않으면 아무 의미가 없죠..
try 문내에서 발생된 exception 을 자체적으로 처리하려면 catch 구문 내에서 처리하면 되고 따로 throw 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혹은 메소드 내부에서 1차 처리하고 상위 메소드에서 2차 처리하도록 하기 위해
catch(IOException e) {
..... exception 처리 ....
throw e;
}
이런형태로 코딩할수는 있습니다.. 이 경우도 e 는 이전에 IOException 타입으로 생성된 객체이기 때문에 new 없이 바로 날릴 수 있는겁니다
16/10/17 09:02
수정 아이콘
new를 붙이는건 보통, 프로그램상으로는 에러가 아닌데 업무로직상 에러를 뱉어야 할 경우에 많이 씁니다.
프로그램상으로는 에러가 아니기 때문에 exception 객체를 새로 만드는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3995 [질문] 현재 커쇼가 우리나라고교야구에 뛴다면? [24] 백양로폭주3525 16/11/29 3525
93994 [질문] 캐드, 캠을 연습하기 위한 컴퓨터를 마련하고 싶은데요 [10] 아리아리해2320 16/11/29 2320
93993 [질문] 업무 및 학업용 PC 견적 질문입니다. [4] 딱총새우1714 16/11/29 1714
93992 [질문] 박근혜대통령 하야시 대통령기록물 열람 관련 질문 [1] 삭제됨3363 16/11/29 3363
93991 [질문] KBD39 기계식 키보드 고민 중입니다. [12] 주머니속에그거..2696 16/11/29 2696
93990 [질문] 취업 고민입니다 [7] 삭제됨3214 16/11/29 3214
93989 [질문] 여러분들 보통 몇시에일어나십니까?? [24] 장수풍뎅이4453 16/11/29 4453
93988 [질문] 예비군3년차 질문드립니다 [5] 마브라브2161 16/11/29 2161
93987 [질문] 플스4 pro 구매계획 중입니다 [5] Paul Pogba2267 16/11/29 2267
93986 [질문] 부총리와 총리가 어떻게 다른가요? [6] 택배2049 16/11/29 2049
93985 [질문] 면 없이 라면을 끓이면 맛이 어떤가요???? [13] 시작버튼15945 16/11/29 15945
93984 [질문] 안전성 높은 자동차는 어떤게 있을까요? [8] Tristana3914 16/11/29 3914
93983 [질문] 별의 거리를 재는 방법? [7] cs1736 16/11/29 1736
93982 [질문] 바르게 앉으니 되려 허리가 더 아프네요 [7] Fysta2111 16/11/29 2111
93981 [질문] 영화 인셉션 질문입니다(스포) [3] 해피바스2006 16/11/29 2006
93980 [질문] 그래픽이 예쁜 pc게임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집꾸미기나 생활 게임 좋아요) [17] 별빛정원5363 16/11/29 5363
93979 [질문] 계약서의 문장 해석 부탁드립니다 [2] 밤공기1879 16/11/29 1879
93978 [질문] [LOL] 레벨30짜리 부캐에 대한 판매 [7] 이선빈3794 16/11/29 3794
93977 [질문] 저사양 갓게임 추천해주세요 [15] Hsu7118 16/11/29 7118
93976 [질문] 디스크 과부하 질문입니다. [2] 성기사2760 16/11/29 2760
93975 [질문] 20대 후반 사회초년생이 쓸만한 신용카드 있을까요? [7] 아이뽕2936 16/11/29 2936
93974 [질문] 저가의 브리츠 BA-R9 SoundBar 스피커 어떤가요? [3] 하늘에서4601 16/11/29 4601
93972 [질문] 남자 나이 33살 CPA 합격하면 메리트 있을까요? [19] StillAlive27353 16/11/29 273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