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0/16 23:21:02
Name Patrick Jane
Subject [질문] Java 예외처리 Throw 관련질문
안녕하세요. 웹프로그래밍과 자바를 같이 공부하다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올립니다

자바에서 예외처리할때 어떨때는 Throw (예외처리) 이렇게 쓰고 어떨때는  throw new (예외처리) 이렇게 쓰는걸 책에서 봤는데요,

new를 쓰는 경우는 어떤 경우고, 왜 적어야하는 건가요?


void throwIOException(){
    throw new IOException();
}

if (조건){
    throw "print sth";
}

제가 생각한것은 IOException 같은것들은 객체를 던져주는 거기때문에 앞에 new를 써서 객체를 생성해서 던져주는건가요?
검색해도 정확한 답이 안나와서 질문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정지연
16/10/16 23:48
수정 아이콘
자바에선 exception 자체도 클래스이고 throw 뒤에는 Exception 클래스를 상속받은 클래스의 객체가 붙어야 하기 때문에 throw new Exception(); 이런식으로 객체를 생성해 보내야 합니다
Patrick Jane
16/10/17 00:12
수정 아이콘
그러면 new가 붙지않은 예외처리들은 상속받은 클래스를 사용하는게 아니라 그냥 처리해서 안붙는거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정지연
16/10/17 10:14
수정 아이콘
throw "print sth";
지금 확인해 보니까 이런식으로 날리는건 컴파일 에러가 납니다.. Exception 을 상속받지 않은 다른 class 타입의 객체도 마찬가지고요..
exception 객체를 다른데서 미리 생성해서 쓰건 바로 throw 뒤에 new 해서 쓰건 어쨌건 Exception 을 상속받은 객체가 날라가야 한다는 점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throw 라는건 발생된 exception 을 자기를 호출한 상위 메소드에서 처리하도록 넘긴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exception 객체가 날라가지 않으면 아무 의미가 없죠..
try 문내에서 발생된 exception 을 자체적으로 처리하려면 catch 구문 내에서 처리하면 되고 따로 throw 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혹은 메소드 내부에서 1차 처리하고 상위 메소드에서 2차 처리하도록 하기 위해
catch(IOException e) {
..... exception 처리 ....
throw e;
}
이런형태로 코딩할수는 있습니다.. 이 경우도 e 는 이전에 IOException 타입으로 생성된 객체이기 때문에 new 없이 바로 날릴 수 있는겁니다
16/10/17 09:02
수정 아이콘
new를 붙이는건 보통, 프로그램상으로는 에러가 아닌데 업무로직상 에러를 뱉어야 할 경우에 많이 씁니다.
프로그램상으로는 에러가 아니기 때문에 exception 객체를 새로 만드는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5158 [질문] 네이버 전체 웹 페이지수를 알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2] 주전자2598 16/12/21 2598
95157 [질문] 핸드폰을 새로 구입했는데... 전여친 핸드폰의 문자내용들이 갑자기 생겼습니다. [6] 가렌4212 16/12/21 4212
95156 [질문] 닥터 스트레인지 아직 상영하는 곳 있나요 ? [5] 삭제됨3151 16/12/21 3151
95154 [질문] 전자담배 구입 질문입니다. [10] 몽유도원4976 16/12/21 4976
95153 [질문] 자로?? 믿을만한건가요?? [5] 애기찌와3258 16/12/21 3258
95152 [질문] 크리스마스 선물 고민입니다. [6] 아이셔 2855 16/12/21 2855
95151 [질문] 집에서 스마트 TV로 동영상을 편하게 보기 위한 방법 좀 알려주세요. [5] 목캔디4848 16/12/21 4848
95150 [질문] 인턴은 보통 언제 많이 뽑나요? [4] Genius4137 16/12/21 4137
95149 [질문] 위쳐3 사양 질문입니다. [5] 갓지3229 16/12/21 3229
95148 [질문] 볼만한 미드 추천드립니다. [19] 먼산바라기4106 16/12/21 4106
95147 [질문] 블루스퀘어 삼성카드홀 스탠딩 좌석 문의 spike664217 16/12/21 4217
95146 [질문] 대학에 붙었습니다. 이제 뭘 할까요? [40] 삭제됨3914 16/12/21 3914
95145 [질문] 오디오 인터페이스 질문입니다. [4] MVP 권재환5465 16/12/21 5465
95144 [질문] 제 과실로 교통사고가 났습니다. 질문있습니다. [5] 핑키밍키3776 16/12/21 3776
95143 [질문] 마이크로소프트 엣지가 안 됩니다. [1] wook983562 16/12/21 3562
95142 [질문] 23일 24:40분 영화를 예매했습니다. [15] Liverpool FC3442 16/12/21 3442
95141 [질문] 데차 6성진화 추천 [6] opxdwwnoaqewu4077 16/12/21 4077
95139 [질문] 만화책을 찾고 있습니다. [5] 피플스_스터너2798 16/12/21 2798
95138 [질문] 블소라는 게임이 현질 없이 하기에는 완전 불가능한가요 [5] 아리아리해3418 16/12/21 3418
95137 [질문] 홍대역이나 신촌역 근처 모임장소 추천좀 해주세요! 세이밥누님2247 16/12/21 2247
95136 [질문] 컴활1급 공부방법이 궁금합니다! [2] 안희정4128 16/12/21 4128
95135 [질문] 서피스프로4에 대해 실사용기가 궁금합니다 [6] 안희정4477 16/12/21 4477
95134 [질문] 오사카 여행 질문입니다. [2] UniYuki3197 16/12/21 31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