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9/16 21:51:25
Name 핸드레이크
Subject [질문] 저축 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일단 여자 친구 랑 부인은 없습니다 (..)

월급은 세후 300정도구요.. 기본적으로
핸드폰 10만원, 보험료 8만원, 주택청약 5만원, 적금 10만원, 교통비 7만원
정도는 고정으로 들어가구요, 카드값은 한달에  50~70 정도 들어가는거 같습니다..
남은 돈은 모두 저축하는게 좋은거 같기는 한데 방법을 모르겠어요..

어디어디에 분산해서 저축을 한다던가, 무슨 상품을 든다던가..하는
방법을 좀 알려주세요 ㅠㅠ 재무설계니 하는 상담을 받는것도 좋지만
우선적으론 어떤식으로 돈을 모아야 할지 좀 알고 싶네요..

노하우좀 공유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신입사원
16/09/16 22:55
수정 아이콘
우선 1년 정도는 다 때려박아서 모으는게 좋은거 같아요 저도 1년 만기 적금 들어서 우선 2천만원 손에 쥘 예정인 신입인지라 자세한거는..
녹산동조싸~!
16/09/16 23:01
수정 아이콘
제 경험으로는
여기다가 이런 질문을 올리시는 분일 경우에는
적금이 최고다라고 알고있습니다..
파랑파랑
16/09/16 23:02
수정 아이콘
세후 340
어머니 생활비 80
공과비, 관리비,대출이자,핸드폰 20
(폰 요금제 제일 싼 거 + 약정)
연금보험 20
용돈 20
기본 140 지출 + 대출상환 150 = 290에서
남은 돈은 비상금으로 갖고 있다가 월말에 남은 금액,추가 대출 상환했는데 이번 달에 다 갚았네요.

신용카드 안만들고 차 안산게 많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회사에서 밥먹고 통근버스 이용하는 것두요.
저는 재무설계 한 번 받아봤는데 크게 도움은 안됐어요. 오히려 저축이나 재테크에 너무 모르는 게 많구나. 느껴서 스스로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단순 월급쟁이로 목돈 만드는게 참 답이 없는 일이죠.
일단 쓸데없는 낭비를 줄이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저도 잘 몰라서TT
민머리요정
16/09/16 23:22
수정 아이콘
음, 정기적금통장 만드셔서, 금액 설정하시고 1년짜리 부으시면 될꺼같애요.
남은 돈을 전부 적금에 붓는 것은 좀 위험하고, 한 70퍼정도 부으시고,
나머지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서 급여통장에 남겨놓으셔도 될꺼 같애요.

7년정도 직장생활했는데, 사회생활 시작하면서부터 일하는 기간동안에는 계속 적금을 부었습니다.
예전에는 150정도 받으면, 70정도 적금통장으로, 나머지를 보험, 폰값 이런거 내고 살았는데,
지금도 계속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다보니, 월세 이런게 안나가서 돈을 좀 모을 수 있었던게 아닌가 싶어요.

정기적으로 나가야 하는 돈 이외에,
내가 어느정도 돈을 쓰는가 확실한 파악을 하신 이후에
적금을 부을 금액을 잘 설정하시길 바래요 :)
대보름
16/09/17 00:11
수정 아이콘
미혼이든, 기혼이든 새는 돈 최대한 잡아서 모으는게 제일 좋습니다.
1. 가계부: 너무 세세한 것 까지는 적을 필요없이 수입, 지출중에 굵직한거만 모아서 적으면 됩니다. 예를 들어 식비는 20~30만원 정도로 퉁 치시고, 특별하게 많이 나간건이 있으면 별도로 적으시면 됩니다. 후잉가계부가 좋은데 복식부기라서 조금 어려우시면, 네이버가계부 사용하시면 됩니다.
2. 적금: 요즘은 적금금리가 별로라서 여유금액의 2/3 정도 하시면 됩니다. 예금자보호 5천만원되는 제2금융권(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단위농협 등) 이 금리가 그나마 좀 높습니다. 절대로 후순위채권같은건 하지마시고, 예금자보호 5천만원 보장되는 걸로 하세요.
3. 입출금통장: 여유금액 1/3 정도 하시면 됩니다. 증권사 CMA나 SC은행, IBK, 산업은행 정도가 금리도 좀 되고 체크카드 혜택이나 CD기 출금/인터넷뱅킹 수수료가 없습니다. 집근처나 회사근처 편하신 곳 혜택 잘 보시고 선택하시면 됩니다.

적금이나 입출금통장이나 금리가 고만고만하기 때문에 집이나 직장근처 편하신 곳으로 정하시고, 주식이나 펀드같은 공격적인 투자는 하시마시고 적금,예금만 하시는 것이 신경쓸 것도 없고 안전합니다. 글쓴분께서는 현재 집이나 식대에 많은 돈이 필요하지 않은 좋은 상황인것 같습니다. 최소 200만원이상 모으는게 가능하니까, 급여에서는 150적금, 50 이상은 입출금 추천합니다.
그리고 연말정산이나 알뜰폰같이 생활속에서 절약할 수있는 것들을 조금씩 찾는 것도 좋습니다. 이런 습관이 하나씩 쌓이면 나중에 집살때 등기도 직접하게 되서 법무사비용 몇십만원도 아낄 수 있습니다.
원시제
16/09/17 02:01
수정 아이콘
돈 모으는 방법이야 다양하고, 사람마다 맞는 방법과 그렇지 않은 방법의 차이가 있습니다만
일단 제일 중요한건, 언제까지, 얼마를, 무엇을 위해서 모아야 하는가에 대한 방향성을 정해두는겁니다.

가령, 내년에 차를 사고 싶은 사람과 5년 후에 집을 사고 싶은 사람, 그리고 3년 후에 결혼을 해야 하는 사람은
각기 필요한 자금과 기간이 다르고 그에 따라 모아야 하는 방식도 다릅니다. 5년 후에 집을 사고 싶은 사람은 비교적
공격적인 투자와 함께 부동산에 대한 지식을 익혀야 하겠지만, 3년 후 결혼을 해야 하는 사람은
일단 무조건 안정적인 방식이 좋겠죠. 종자돈을 모으고 싶은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그 종자돈이 언제까지 얼마를
모을 계획인가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겁니다.

일단 기간과 목표가 정해지면, 오히려 재테크 자체는 의외로 담백하게 방법이 정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16/09/17 03:23
수정 아이콘
빚이 있으면 일단 빚부터 얼마씩 추가로 갚아나가는 목표가 있어서 재미(?)가 쏠쏠한데, 빚 없고 결혼 전이라면 1년 단기 적금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결혼 등으로 자금이 필요할 때 언제든 가용 예산으로 잡아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장기로 보지 말고 일단 결혼이나 전세 등을 1차 목표로 보고 단기적으로 짤라서 저축하면 좋을 것 같아요. 1차 목표를 이루고나면 어느 정도 목돈이 모였거나 생활이 안정될테니 그후에는 장기적으로 보고요.
핸드레이크
16/09/17 11:29
수정 아이콘
답변들 감사합니다 ~~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0147 [질문] 휴대폰 단말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어제내린비2931 16/09/18 2931
90146 [질문] 약에 대해 잘 아시는 분들... 약에 대해 여쭤봐요~ [4] 마눌3901 16/09/18 3901
90145 [질문] 휴대폰 기변은 어디서 바꿔도 차이가 없나요? [2] Stukov2427 16/09/18 2427
90144 [질문] 휴대폰 기기변경시 위약금 문의 [3] 이흔2705 16/09/18 2705
90143 [질문] 리니지2 레볼루션 [3] 딴딴2842 16/09/18 2842
90142 [질문] 보드카를 안마셔봤는데요.. 소주랑 비교해서 쓴가요? [18] 매벌이와쩝쩝이9657 16/09/18 9657
90141 [질문] 조카가 롤을 하는데 부모가 저에게 친추를 원합니다. [6] Mighty Friend3779 16/09/18 3779
90140 [질문] 러블리즈 서지수이야기만나오면 발끈하는 여자사람친구가있습니다. [27] 조용한남자5444 16/09/18 5444
90139 [질문] 여자친구 속옷 선물 질문(원더브라) [12] 삭제됨5657 16/09/18 5657
90138 [질문] 촬영을 위한 한옥 배경을 찾고 있습니다 [1] 갓설현2462 16/09/18 2462
90137 [질문] 알뜰폰 데이터쪽 괜찮은곳 없을까요? [2] 눈팅용2825 16/09/18 2825
90136 [질문] 갤럭시 노트 7 폭발이 어떤 식으로 일어나는 건가요? [6] 카페알파3053 16/09/18 3053
90135 [질문] 윈도우10 하단의 검색바 설정 질문입니다.(사진 추가) [2] 굿리치[alt]3644 16/09/18 3644
90134 [질문] 서버랙이 fps(프레임)에 영향을 주나요? [5] codin3350 16/09/18 3350
90133 [질문] 쉑쉑버거 오픈시간에도 사람많나요?? [6] 솔마4688 16/09/18 4688
90132 [질문] 윈도10쓰는데 키보드가 말을 잘 안들어요 [1] udckay2893 16/09/17 2893
90131 [질문] 예전 월드컵 예선때 한국a팀, 한국b팀 기억나는분 있나요? [2] 파란무테3207 16/09/17 3207
90130 [질문] 항상 cpu 12%점유하는 svchost.exe 질문입니다. [7] 어센틱4032 16/09/17 4032
90129 [질문] 하스스톤 대회 룰 변경에 대해 생각해봤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8] 수지짜응2974 16/09/17 2974
90128 [질문] 서울에 예쁜 케이크 파는 곳을 아시는 분 계신가요? [14] Emperor4276 16/09/17 4276
90127 [질문]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 질문 드립니다. [10] April Sunday2862 16/09/17 2862
90126 [질문] 운동을 거의 안해도 건강하게 살수 있나요? [22] Right6437 16/09/17 6437
90125 [질문] 10GB 정도 되는 동영상 공유는 어떻게 하나요? [3] cs2965 16/09/17 29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