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9/04 12:02:21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2종 수동 기능시험 질문입니다.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겜돌이
16/09/04 12:32
수정 아이콘
클러치를 안 밟으면 기어가 안 움직이고 보통 수동엔 버튼이 안 달려있는데 무슨 버튼인지 모르겠지만 기어가 안 들어간 증세랑은 상관없는 버튼일 겁니다.

2종과 1종은 근본적인 차이는 없는데 2종이 더 예민합니다. 2단 출발 같은 건 안 되고 시동이 잘꺼져서 연습이 꽤 필요합니다. 수동을 디젤만 몰아본 분이어도 가솔린 처음 타실 때 시동 많이 꺼트리기도 하니 경험이 없으시다면 말할 것도 없지요. 수동이 필요하셔서 따는 게 아니면 굳이 따실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트럭도 자동으로 나오는 판이니가요.
16/09/04 12:3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클러치를 제대로 못 밟아서 그런 게 맞나 보네요.
하리잔
16/09/04 12:42
수정 아이콘
겜돌이님이 잘 설명해주셨네요. 위에서 지적해주신 출발시 시동꺼짐이 가장 빈번한 문제인데, 출발할때 클러치를 조금씩 떼다보면 갑자기 차량의 진동이생기는 지점이 있을꺼에요. 그 상태에서 엑셀을 약하게 밟으시며서 클러치를 때시면 왠만하면 시동이 안꺼질꺼에요. 반클러치라 차량 기어에는 안좋지만 수동에 안 익숙한 분이라면 이방법이 가장 안전합니다.
16/09/04 12:4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16/09/04 12:52
수정 아이콘
6단 수동은 후진 넣을때 버튼 누르고 넣어야 하는 차종도 있기는 합니다.

(R 1 3 5)
( 2 4 6)

요렇게 되어있는 이유는 후진을 넣어야 하는 상황에서 1단이 들어가는걸 방지하기 위함인데요,

2종 수동이면 베르나 혹은 엑센트 수동일 확률이 높은데 저런 장치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클러치랑 브레이크 꾹 밟으시고, 중립에서 1단 가는것보다 더 왼쪽으로 확 민다음에 기어 넣는 느낌으로 해보세요.
16/09/04 13:0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제가 본 게 그 버튼이 맞는지 확인해봐야겠네요.
김판타
16/09/04 14:16
수정 아이콘
제가 얼마전에 이걸로 땄는데, 클러치는 완전히 꽉 밟아주셔야 합니다. 차량에따라 윗분 말대로 6단인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후진또는2단 기어를 넣으라는 지시에 맞춰서 말씀하신 기어봉쪽 버튼을 올린 채로 1단(좌상단쪽 기어)로 넣어주시면 1단이 아닌 후진이 들어갑니다. 2단은 아래로 내려주시면 되구요.

1. 기본적으로 기어 변속시에 쓰는게 클러치입니다. 기어 바꾸라할때는 무조건 끝까지 밟아주시면 돼요. 콱 밟아도 안꺼집니다.(콱 떼면 꺼지구요.)

2. 시험 순서 나머지는 동일하고 기어넣으라는거랑 출발시 클러치 살살 떼는 느낌만 익히시면 쉬워요.

3. 10초내 시동 걸고 출발하라는 지시에서,
윗분 말대로 반클러치(왼쪽발 클러치를 밟은상태에서 살살 떼면, 차가 부르르떨리는데, 이때 브레이크를 떼주시면 살살 나가긴 할거에요. 그때 엑셀 살풋 밟으먼서-세게 밟아도 되는데 1단에서 엔진음이 부우우우웅 할거구요.)로 천천히 악셀 스르르 누른채로 가시다가 돌발상황 맞춰서 클러치와 브레이크 동시에-클러치를 살~짝 일찍 밟아주시면 더 좋구요.) 밟았다가 다시 반클러치로 출발하시면 끝!

이렇게 따시는분 보니 반갑네요 크크
16/09/04 17:08
수정 아이콘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큰 도움 되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9485 [질문] [오버워치] 심해 유져인데 더 높은곳으로 가고싶습니다. [20] 다이진5058 16/09/05 5058
89484 [질문] 영어 자막을 만들어 주는 업체가 있을까요? 갓지1885 16/09/05 1885
89483 [질문] 파리, 런던 여행 질문(환전 등)입니다. [23] evil4309 16/09/05 4309
89482 [질문] 데탑이 입력이 없을 경우 꺼지는데... [2] 녹차트윈스3209 16/09/05 3209
89481 [질문] 프로야구 군 제대 선수 연봉 [4] RnR2748 16/09/05 2748
89480 [질문] 차량 무광 도색은 왜 하는 건가요? [18] possible16670 16/09/05 16670
89479 [질문] 징기연애하시는 분들 데이트 어디서하세요? [21] 문법나치5029 16/09/05 5029
89478 [질문] 친구에게 송금? 입금? 할 때말입니다 (수수료 관련) [6] 스팍2833 16/09/05 2833
89477 [질문] [부동산] 건설사가 임대하는 아파트도 있나요? [2] 몽유도원4191 16/09/05 4191
89476 [질문] 개인도 채권투자가 가능할까요? [2] Exposure3415 16/09/05 3415
89475 [질문] 영화 외에 슬픈 소설, 드라마, 웹툰 등 추천 부탁드려요. [7] 스키너2701 16/09/05 2701
89474 [질문] [오버워치] 초보 질문입니다 [4] 알마2751 16/09/05 2751
89473 [질문] 핸드폰 질문입니다 [3] 조현영2751 16/09/05 2751
89471 [질문] 필리핀 비자기간 시작과,, 필리핀,호주항공권 관련 질문입니다 [1] 삭제됨2406 16/09/05 2406
89470 [질문] 제 스펙이 어느정도 인가요?(삭제예정) [10] 삭제됨3918 16/09/05 3918
89469 [질문] 노트북 씨피유 CPU 4405U랑 3855U 차이 질문 [3] SppF6215 16/09/05 6215
89468 [질문] 멀티비타민 및 영양제 질문 드립니다. [6] 설랑2861 16/09/05 2861
89466 [질문] 공사 소음과 관련된 질문 [4] 젤나가1844 16/09/05 1844
89465 [질문] 자기가 가장이냐는 질문... '(삭제 예정) [47] 삭제됨4953 16/09/04 4953
89463 [질문] TV 구매처에 관한 질문입니다. [9] 두지모2607 16/09/04 2607
89462 [질문] 냉장고 전기 관리 [6] 정치적무의식2339 16/09/04 2339
89461 [질문] 어머님께서 급작스런 복통으로 며칠 고생하시다 응급실에 가셨는데요 [4] Cand3234 16/09/04 3234
89460 [질문] 컴퓨터 견적 평가 요청과 질문 드립니다 [10] 레피누스2651 16/09/04 26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