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9/02 22:46:37
Name 세가지의색깔
Subject [질문] [LOL] 중국으로 진출한 프로게이머들 탈세?!
중국으로 건너간 우리나라 롤 프로게이머들이 취업비자가 아닌 관광비자로 가서 돈을 벌고있다는 기사가 떴는데요...
http://m.esports.dailygame.co.kr/view.php?ud=2016083101321005103

이게 가능이나 한건가요?
관광비자로 돈을벌고 세금도 안내는 그런 구조라면 문제가 있는 것 같네요...잘 아시는분들 계신가요? 이 기사보고 정말 놀랬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9/02 23:01
수정 아이콘
남윤성이네요?
세가지의색깔
16/09/02 23:07
수정 아이콘
남윤성이네요 가 무슨 뜻인가요?? ㅠㅠ
사토미
16/09/02 23:14
수정 아이콘
전통적으로 이쪽 계통에서 욕먹는 기자입니다.
세가지의색깔
16/09/02 23:46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왜 욕을 먹는건지 갑자기 급궁금해지네요...;;ㅠㅠ
콰트로치즈와퍼
16/09/03 01:28
수정 아이콘
데일리e스포츠라고 스1 시절에 어느정도 인지도가 있었던 e스포츠 언론 사이트에서 주로 활동하던 기자인데... (사실 포모스 데일리e스포츠 2군데밖에 없었죠 우주랑 파이터포럼은 망했고 나머진 아오안이었으니)

일단 데일리e스포츠 자체가 앞뒤 안가리고 친협회적인 기사만 쏟아내는 사이트라서 욕을 무진장 먹었습니다. 협회와 갈등이 있던 위메이드(맥주회사 하이트가 네이밍 스폰서로 들어오는 것에 위메이드가 좀 지나칠 정도로 태클을 걸기는 했습니다만)에 대해 굉장히 부정적인 기사들을 썼습니다. 일반적인 기사에는 스폰서 이름인 '위메이드'를 아예 없었고, 위메이드가 강팀인 적은 별로 없긴 했지만 그렇다고 만년최약체 이런 팀도 절대 아니었음에도 쓰는 기사마다 위메이드는 당연히 이겨야 될 팀 취급을 해댔고, 위메이드나 위메이드선수 까는 글에만 스폰서 이름인 위메이드 언급하고요.나중에 뭐 데일리e스포츠 몇주년 기념 기사였나 거기서 위메이드 일부러 까는거 맞다고 얘기했습니다. 그리고 사과 이런거 없고 매우 당당한 태도였습니다 -_-;;;

그리고 뭐 스타크래프트 저작권 가지고 블리자드vs케스파 트러블 생겼을 때 데일리e스포츠는 법이고 상도덕이고 옳고그름이고 뭐고 귤까라그래 식으로 케스파 쉴드만 치고 개소리 일변도로 블리자드 무지하게 비난했습니다. 그 이후로 블리자드가 하는 것 마다 말도 안되는 소리로 무지하게 까대기 시작했고 대표적인 예가 스2랑 GSL이었습니다. 당시에는 케스파가 스2게이머에게 프로게이머 자격증을 안줬었는데, 이윤열도 스1 은퇴하고 스2로 건너가니까 [e스포츠 업계 일각에서는 "이윤열의 스타크래프트2로 전환하고 일찍부터 적응하겠다는 노력을 높이 사지만 규정에 대한 이해가 떨어져서 프로게이머 자격을 잃는 모습은 좋지 않아 보인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같은 기사를 싸질러댄다던가 하는 식으로... 이윤열급 되는 선수 아니었으면 아마 '높이 사지만'이라는 말도 없었겠죠.

그 외에도 객관적인 지표가 스2는 흥겜이라는 걸 가리키고 있었음에도 (한국에서만 기대 이하였고, 그것도 스1의 후속작이라는 기대치 때문에 기대감이 너~~~~~~~무 높아서 그랬던 것 뿐이지, 절대적으로 평가했을 때 망했다고 할 수는 없었습니다. 사실 상대적으로 평가해도 망했다고는 못하고요.) 스2망했다는 식의 기사나 써대고 있었고...

남윤성은 그런 데일리e스포츠에서도 에이스 오브 에이스였... 당장 이윤열 규정이해도 운운하는 기사도 남윤성이 쓴거네요 -_-;;;

p.s 남윤성 기자나 데일리e스포츠나 요새도 활동을 하네요? 제가 스2에 관심이 없었던지라 스1리그 끝나고는 데일리e스포츠를 한번도 안들어가봐서 이제야 알았네요. 2012년 이후의 남윤성 기자와 데일리e스포츠의 행보는 모르겠습니다.
불굴의토스
16/09/02 23:11
수정 아이콘
중국에서 원천징수가 안 되었다면 문제가 될 수도 있을 것 같긴 한데..
세가지의색깔
16/09/02 23:46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정말 심각해질수도있는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름없는자
16/09/02 23:48
수정 아이콘
지금 기사를 한번더 읽어보니 정확히는 탈세 문제보다는 근로관계를 인정해주는 것에 관한 문제 같아보입니다. 국내로 들어올 때 근로소득으로 인정받는 편이 실질에도 맞고 세부담도 덜해서 그런것 같은데 다분히 행정적인 문제로 보이네요 그대로 현금을 몰래 들여오는 문제인 것 같은데 어차피 중국에서 거주자로 판정을 받으면 지급사실이 명백하기 때문에.. 딱히 대단한 문제로 부상할것 같진 않습니다. 저런건 경정도 간단하고 한국에서 계좌 입금 이체 등이 기록되면 바로 걸리지기 때문에.. 다만 끝까지 현금박치기라면 주의할 필요는 있어보이네요 과세당국에서..
16/09/03 11:39
수정 아이콘
예전에 어디서 듣기로 중국 연봉 계약 시 세후 금액으로 계약한다고 들었던 것 같은데... 아닌가요?? 세후 금액이라면 탈세는 문제 없을 것 같고, 국내 들여오는 과정이나 근로관계에 문제가 있을 것 같습니다.
16/09/03 21:27
수정 아이콘
유명인이 탈세는 좀 어려울듯
중국은 그런게 좀 빡세서
16/09/04 12:15
수정 아이콘
외국인이라서 이해가 안가는게 있는데 페이를 받은 나라에서 세금문제 없으면 되는게 아닌가요?
예를들어서 제가 한국인인데 사업비자가 아닌 유학비자로 중국에가서 장학금 100만원 받았는데
이돈을 한국가져갈려면 소득세같은걸 내야하나요? 받은곳에서 합법이면 되는거 아닌가??
16/09/22 18:20
수정 아이콘
일단 세금에 합법 불법 여부는 크게 상관 없습니다. 뇌물 받은것도 들키면 기타소득으로 돈 걷는게 세금이라...

비슷하게 악착스러운 면이 있어서 속인/속지주의 둘 다 적용하고, 해외 나간 한국사람이나 국내 거주 하는 외국사람한테 둘 다 세금을 걷습니다. 다만 이러면 이중으로 세금을 내게 되는 경우가 있어서 이를 조정하는 과정이 하나 추가 될 뿐입니다.

결론은 중국에서도 내고(아마 전부가 아니고 원천징수로 미리 걷는 형식? 중국 조세 정책에 따른 거라 잘 모르겠네요), 한국에서도 위 낸거에 대한 공제가 있지만, 어쨌거나 신고하고 다시 내야 합니다.

안하고 들여온다면 외화라 들킬 수밖에 없을 듯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9431 [질문] PMP 상태가 걱정되어서 질문드립니다. 슬라임2881 16/09/04 2881
89430 [질문] 컴퓨터가 좀 맛이갔네요.. [1] 슈나2818 16/09/04 2818
89429 [질문] 컴퓨터를 구입하려고 합니다. 사양추천이나 사이트 소개 부탁드립니다. [4] pritana2217 16/09/04 2217
89428 [질문] 중고자동차 구매시 세금계산서 발행받을수 있나요? Be[Esin]3214 16/09/04 3214
89427 [질문] 카메라를 구매하고 싶은데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4] for4ndroid2636 16/09/04 2636
89426 [질문] window7 에서 유용한 프로그램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상자하나2527 16/09/04 2527
89425 [질문] 듀얼 모니터 쓰고 있는데 색감? 조정 질문드립니다. [7] BlazePsyki6019 16/09/04 6019
89424 [질문] [스타2] 다음시즌 프로리그 어떻게 될까요? [13] 삭제됨3895 16/09/03 3895
89423 [질문] 3on3 농구대회 문구에서 3on3 부분을 어떻게 읽나요? [7] 시오리3836 16/09/03 3836
89422 [질문] 토렌트가 컴퓨터에 주는 무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싶습니다. [9] 망탕24391 16/09/03 24391
89421 [질문] 차량 앞유리 청소하는법좀 알려주세요 ㅠㅠ [14] 쏭쏭5300 16/09/03 5300
89420 [질문] 여자친구 집안 문제.. [19] 삭제됨4872 16/09/03 4872
89419 [질문] 스토리 치밀한 영화, 드라마, 애니 좀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별이지는언덕3772 16/09/03 3772
89418 [질문] 낙지 제철이 정확히 언제쯤일까요?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2930 16/09/03 2930
89417 [질문] [두산]김태형감독이 이현승선수를 계속 마무리로 기용하는 이유는 뭘까요? [13] 서낙도3271 16/09/03 3271
89416 [질문] 구형 i30 딜러에게 구입했는데 어떤가요? [5] 뀨뀨4136 16/09/03 4136
89415 [질문] 공유기]공유기 비밀번호를 모르겠습니다... [8] 냠냠이4268 16/09/03 4268
89414 [질문] 중고나라 사기를 당했습니다. 지금 카톡중인데 '인생은 실전' 어떻게 시전하나요? [7] cs4511 16/09/03 4511
89413 [질문] 결혼예정 여자친구 부모님께 인사드리러 갑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4] 하우두유두6256 16/09/03 6256
89412 [질문] [LOL] 트위치랑 OGN 롤쪽이랑 무슨일이 있었나요? [6] Meanzof3652 16/09/03 3652
89411 [질문] 이 디스코 음악을 아시는 분 계신가요? [3] Meister2380 16/09/03 2380
89410 [질문] 너무 사소한 일로 섭섭해하고 여친 어떻게 할까요? (삭제예정) [8] 삭제됨2856 16/09/03 2856
89409 [질문] 컴퓨터 조립 - 케이스에 하드 배치 관련 질문입니다. [4] 마티치2768 16/09/03 276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