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9/02 01:11:25
Name 포이리에
Subject [질문] 어릴때 저축한다vs차를산다 의견이 궁금합니다
항상 여러 커뮤니티에 심심치않게 올라오는 떡밥이지만 pgr에서는 못본듯해서 올려봅니다

일단 어릴때의 기준은 30대 극초반까지로 하겠습니다

양쪽의 대체적인 의견으로는

저축파는 어릴때 고생해서 나이먹고 편한게 최고다 와 나중에 돌이켜보면 다 부질없다

차구입파의 의견은 젊을때 경험은 나중엔 못해본다 와 차가 있으면 삶의 질이 달라진다

크게 보면 이렇더라구요

제가 현재 20대 중후반이라 위 상황에 부합되는데 당장은 결정하지 않겠지만

조만간 선택을 해야 항 상황이 올듯합니다

물론 진리의 케바케라는건...


---------------------추가질문---------------------

나는 저축을 해서 이러이러한 것을 했다와

나는 차를 구입해서 이런게 달라졌다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플래쉬
16/09/02 01:13
수정 아이콘
제가 지금 32인데 연말이나 연초에 차를 살까하고 있습니다 크크
아무래도 있어야겠어요 ㅜ
뽀로뽀로미
16/09/02 01:16
수정 아이콘
여친 없으면 차, 여친 있으면 저축.
16/09/02 01:16
수정 아이콘
제게는 밸붕 전자요 크크. 전 지방 갈 일이 있어서 차가 없으면 안됐지만 계속 차 없애고 싶었어요. 서울에서 생활한다는 가정 하에. 대중교통보다 차를 타는게 훨씬 편할 상황에 택시타거나 렌트카 쓰는게 경제적으로 이득인데다 편하기까지 하죠. 물론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르긴 하죠. 자차가 있어야만 할 수 있는 활동을 즐긴다면 차 사야되고요.
yangjyess
16/09/02 01:18
수정 아이콘
전자요...
16/09/02 01:20
수정 아이콘
능력 따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차 유지하는데 월급의 대부분이 들면 안 사는 게 낫고
차 유지 + 미래 대비까지 가능하면 사는 게 낫죠. 아무래도 차가 있으면 여러 모로 삶의 질이 높아지니까요.
차 살까 말까 고민 되면 안 사는 게 좋습니다. 여력이 안 된다는 거에요.
싸구려신사
16/09/02 01:24
수정 아이콘
전 차사는것에 결정했습니다
16/09/02 01:37
수정 아이콘
여친 있으면 차 없으면 저축이요 전
포이리에
16/09/02 01:56
수정 아이콘
역시 반반인가요? 크크
16/09/02 02:00
수정 아이콘
여친 있으면 차 없으면 저축이요 저도
16/09/02 02:32
수정 아이콘
여친은 원래 없는거고 그냥 차
윤가람
16/09/02 02:46
수정 아이콘
윗분 말씀대로 본인 경제상황에 따라 결정하셔야 할 듯요.
차가 있으면 진짜 편하기는 한데 자잘하게 이것저것 돈들어갈 일이 꽤 생깁니다. 월급 150, 200 받아서 차 유지하고 뭐하고 하려면 정말 빠듯하죠...
결혼이무슨죄요
16/09/02 03:21
수정 아이콘
350이상 벌면 차를 사세요
인생의 편함이 틀려지고
자신감도 틀려질수 잇씁니다.
수지랑나나랑
16/09/02 21:28
수정 아이콘
달라지고아닙니까
아다치 미츠루
16/09/02 03:26
수정 아이콘
자기돈으로 차를 사야되면.. 월급생각해야 되구요..
부모님 지원 가능하고.. 유지비만 내도 되는 상황이면.. 차량 크기, 가격, 자기 연봉등을 고려해야겠죠.

이런말이 있긴 합니다. 연봉의 50프로, 재산의 5프로를 넘기지 마라...
후천적파오후
16/09/02 03:50
수정 아이콘
여친유무 떠나서 차.. 결혼하면 내차가 아니라 짐차를 사는거라..
아무래도 부모님이 집지원을 해주실수있냐 없냐.. 혹은 내가 고연봉자냐 아니냐겠쬬..
차가 하나 떡사면 그냥 돈 끝이 아니라 기름값에 할부에 보험료에 세금에
운전이 능숙하지 못하시면 수리비 자차부담 등등.. 뭐 많죠
그래도 사놓는게 좋다고봐요 젊을때 '내차' 못타면 부자가 아닌이상 '내차'는 50대 후반에나 탈 확률이 높아서..
에버쉬러브
16/09/02 07:04
수정 아이콘
저는 27살에 중고 2000cc 옵티마 850만에 구입하고 31살에 새차 sm5구입해서 지금까지 타고 다니는데요
저는 운전을 많이 하는 직업이고 회사에서 주류비가 나와서 좀 부담이 덜하긴 했는데 매년 보험비에 한 3년이상넘어가면 계속 무언가 고장이 나기 시작해서
꽤나 유지비가 많이 들어요.
전 직업이 운전을 많이 해야하는 직업이라 후회해본적은 없지만 출퇴근용 그냥 드라이브용이면 저금하시는걸 추천드리고
전 새차 사니 여친이 생겼다는.....그것때문은 아니겠지만 흐흐흐
어린 나이에 차사는것은 좀 일때문이 아니라면 비추이긴 합니다. 돈이 꽤나 많이 들어요
pgr-292513
16/09/02 07:13
수정 아이콘
차는 어차피 언젠가는 필요해지는 순간이 오긴 하지만
차는 항상 유지비가 문제니까
없이 버티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돈버는 길이긴 하죠
하지만 혹시 독신주의자가 아니라면
거울보면서 고민좀 해봐야죠. 나는 차라도 있어야 되는게 아닐까.
16/09/02 07:23
수정 아이콘
저두그냥 그저께 계약해쓰요...
16/09/02 07:30
수정 아이콘
그냥 뽀대용으로 필요하신거 아니면 경차 중고로 사셔도 돼요.. 전 보험비랑 해서 600으로 스파크 12년식 사서 놀때만 사고 다니는데 한달에 기름값 4만원정도 쓰고 세금도 75000밖에 안나와요 일년에... 근데 노는데 삶의질은 엄청 올라가서 좋아요.
냉면처럼
16/09/02 07:55
수정 아이콘
전 좀더 일찍 차를 갖지 못한 아쉬움이 매우 큽니다.
무무무무무무
16/09/02 08:27
수정 아이콘
저축과의 비교보다는 차가 왜 필요한지, 어디다 쓸 지를 생각해보셔야죠.
대중교통으로 직장 다니기 불편하다거나, 결혼을 했다거나, 여자친구가 있다거나 하는....
neogeese
16/09/02 08:48
수정 아이콘
사십대이고 님과 같은 고민으로 저축을 선택 했었는데 지금 고르라면 차살겁니다. 능력 되는 한에서 즐기는 쪽으로 하세요. 좋은 시절 하고 싶은거 못하고 산거만큼 후회 되는게 없네요.
OnlyJustForYou
16/09/02 09:27
수정 아이콘
지방이라 차가 있으면 삶의 질이 달라지긴 하더군요.

출퇴근 등 이동 시간이 달라지니 시간 벌고 지각걱정 없어지고..
그래도 운전 스트레스와 주차걱정이 생기긴 해서 마냥 다 좋은 건 아니지만 정말 여러모로 좋긴합니다.

1년 됐는데 아마 돈 모았으면 최대500은 더 모았겠지만.. 딴 데 썼겠죠 ㅠㅠ
샤를마뉴
16/09/02 09:31
수정 아이콘
직장이 가깝고 서울 살아서 차 안 샀습니다. 서울 데이트땐 차도 필수는 아닌것 같구요
차를 안 산 대신 30살에 1억2천 저축했네요
잠이오냐지금
16/09/02 09:49
수정 아이콘
케바케이긴 한데.. 전 음주가무를 거의 안해서
남들 술 먹는데 쓰는 돈이라 생각하고 그냥 질렀습니다
차가 생긴지 3년정도 됐는데 확실히 삶의 질이 달라지긴 합니다
활동범위로 넓어지고요
김피곤씨
16/09/02 09:53
수정 아이콘
서른 입니다. 어제 차 계약했어요.
다이어트
16/09/02 09:56
수정 아이콘
저도 늘 저축한다 파였는데 차 생기고 보냈던 행복한 2년을 생각해보니 왜 빨리 안 샀을까 후회가
공노비
16/09/02 10:02
수정 아이콘
20대때 차사고싶어서 29세때 돈모으자마자 차삿습니다

후회했습니다.

왜 더빨리사지못했나..
포이리에
16/09/02 10:04
수정 아이콘
역시나 의견이 다들 팽팽하군요
오늘도 결론은 안나네요..크크크킄
이름없는자
16/09/02 10:26
수정 아이콘
저는 25살에 차를 사주셨는데 부모님이..

그거 유지비랑 기름값만 제가 내는데도 알바 하나는 더했었던듯요 등골 휘어지는줄 알았습니다

근데 더 빨리 사지 못한게 한(2)

여친은 그전부터 쭉 사귀었어서 차 뽑은 효과는 모르겠군요 크크
사토미
16/09/02 10:52
수정 아이콘
저는 박사과정 시작하면서 차를 구매했는데 딱 적당할때 중고차 뽑아서 잘타고 있는거 같습니다.
대보름
16/09/02 11:04
수정 아이콘
본인상황, 경제여건에 따라 다르죠. 차 유무 뿐만 아니라, 차를 산다면 차종까지 다르죠.
저는 서울에 있을 때는 없었구요, 지방발령 후 1300cc 2년차 중고차 500만원짜리 바로 샀습니다.
Blooming
16/09/02 11:18
수정 아이콘
일단 차를 빌려서라도 좀 몰아보세요. 저는 운전하는게 싫어서 있던 차도 팔았습니다. 운전 싫어하는 분도 많은걸로 알아요.
사계절 치킨
16/09/02 11:47
수정 아이콘
일단 저축하시고, 차가 있는 여친을 만드신 후 만날때 기름 만땅 넣어주시면 됩니다.
허니띠
16/09/02 12:12
수정 아이콘
차살까 하다가 아는 형님이 1억 모으고 사라고 해서, 모았더니 집과 차가 같이 생깁니다.
동물병원4층강당
16/09/02 13:46
수정 아이콘
차산다 vs 저축한다가 되면 다행인데 차산다 vs 딴데쓴다가 될 가능성도..

저는 대전에 살아서 확실히 운전환경이 좋아서 차 사는걸 추천하는데 요즘은 차가 있어도 주차공간 때문에 스트레스 받는 것도 고려를 하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9381 [질문] 유머게시판에 있던 헬조선의 스노우볼..글은 다시 볼 방법이 없을까요? [2] 지바고3226 16/09/02 3226
89380 [질문] [LOL] 중국으로 진출한 프로게이머들 탈세?! [12] 세가지의색깔5726 16/09/02 5726
89379 [질문] [디아2] 질문입니다. [9] 40대 유저3302 16/09/02 3302
89378 [질문] 내일 서울에서 갈만한곳이 어디가 있을까요? [8] 태연­2250 16/09/02 2250
89377 [질문] 1박2일로 올레길과 한라산을 가고 싶은데 올레길 몇번 코스가 적절할까요? [3] 세이밥누님2449 16/09/02 2449
89376 [질문] 공대생인 친척동생이 로스쿨을 생각중인데 어떻게 보세요? [16] 왜요?14697 16/09/02 14697
89375 [질문] 남자분들 선물로 뭐받으면 좋으신가요? [47] 풋사과11325 16/09/02 11325
89374 [질문] 증명 방법에 대해서 특정 용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2] 휴울2413 16/09/02 2413
89373 [질문] 어린이대공원 근처에 피씨방 있나요? [5] Sgt. Hammer4347 16/09/02 4347
89372 [질문] 일본식 나베나 스키야키류 괜찮은 가게 없나요? [6] 리나시타2739 16/09/02 2739
89371 [질문] 금연중에 원래 이렇게 멍한 증상도 생기나요? [6] PRADA3789 16/09/02 3789
89370 [질문] 제주도 가는 항공기 중에서 이건 타지말아야 한다는 항공 있나요? [27] 세이밥누님4602 16/09/02 4602
89369 [질문] 중국인,일본인에게 한국사람이냐고 물어보면 반응이 어떤가요? [4] Brasileiro4274 16/09/02 4274
89368 [질문] [퍼드] 일판 결제 어떻게 합니까?? [8] 스팍4178 16/09/02 4178
89367 [질문] 서면 맛집 아세요?(파스타류 제외ㅜㅠ) 사이시옷2471 16/09/02 2471
89366 [질문] 체격있는 남자 정장 추천 혹은 맞춤 정장 질문입니다. [5] BISANG3114 16/09/02 3114
89365 [질문] 아마존에서 직구해보신분들께 질문있습니다. [5] 마스쿼레이드2807 16/09/02 2807
89364 [질문] 은행 리스크관리 직무에서 주된 업무는 무엇인가요? [3] Ma Lin3868 16/09/02 3868
89363 [질문] 영화 '달콤한인생' 에서 이병헌이요..(스포) [10] naruto0513312 16/09/02 3312
89362 [질문] 산수문제 하나만 부탁드립니다 [1] 라울1785 16/09/02 1785
89361 [질문] 콘솔 게임기 구매 예정입니다. 전문가(?)분들의 추천 부탁드립니다. [21] 55853270 16/09/02 3270
89360 [질문] 플스4에 usb사운드카드 연결해도 먹히나요? [8] ...And justice8612 16/09/02 8612
89359 [질문] 노트북 둘중에 하나를 사려는데요. [5] 괴도키드3219 16/09/02 32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