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8/30 21:32:55
Name Red Key
Subject [질문] 아파트 청약이 당첨되었는데 고민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현재 저는 지방 소도시 시내권에서 아내와 유아기의 아이와 함께 전세를 살고 있습니다.

얼마전 대형 건설사에서 신규 분양을 하기에 청약을 넣어서 당첨이 되었는데 고민입니다.
지방의 시단위 작은 도시고 신규 분양한 아파트는 이제야 막 택지개발이 시작된 지구에 건설되는 아파트 입니다. 시내권과 차량을 타고 10~15분간 거리에 떨어져 있고 지방 시단위 기준으로는 시내권과 떨어진 외지에 있다고 생각 되어지는 위치이며 준공 후에도 근처에 상권 같은 것이 형성 되기엔 제법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 되어집니다. 바로 옆에 초등학교가 하나 있고 중학교부터는 시내권으로 가야 합니다.

장점에 대해 먼저 말하자면
첫번째는 분양가입니다. 현재 살고 있는 전세집은 준공된지 7~8년차에 접어들고 평수도 좁은데 신규 분양한 아파트와 가격이 비슷합니다. 그리고 시내권에 분양한 다른 신규 아파트보다야 당연히 더 싸구요.
둘째는 층수와 방향, 평형까지 모두 좋습니다.
셋째는 새집인거.

단점에 대해 말하자면
첫번째, 시내권이 아니다.
두번째, 주변에 뭐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세번째, 중학교 입학 시 통학 시간이 시내권보다 상대적으로 좀 더 걸린다.
가장 큰 문제인 네번째는 입주시기가 전세계약 종료 시기와 맞지 않다는 것입니다. 전세계약이 끝나고 입주시기까지 기간을 따져보니 1년 5개월 가량 됩니다. 2년이면 전세를 얻겠는데 기간이 어정쩡해서 전세 보증금 받아서 잔금 치뤄야 하는 입장에서 딱히 좋은 방법이 떠오르지가 않네요. 그 기간 동안 월세를 살려니 돈 천만원은 들것 같구요.

사실 저는 다른걸 제쳐두더라도 네번째 이유로 많이 망설여 지는데 와이프는 자꾸 새집가서 살고 싶다고 얘기를 합니다. 솔직히 말하면 저도 어차피 집 사는거 새집에서 한번 살아도 보고 싶은게 사실입니다.

현재 사는 전세집도 살아보니 괜찮아서 전세 끝나면 같은 단지의 좀 넒은 평수로 구매해야지 마음을 먹고 있었는데 일이 이렇게 되니 갈등이 좀 생기네요.

글은 읽으신 분들은 만약 저 같은 상황이라면 어찌 하실지에 대한 조언을 구하는 질문이니 나 같으면 이렇게 한다식으로 편하게 짧은 의견이라도 남겨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아침 저녁으로 쌀쌀하기까지 합니다. 건강 조심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8/30 22:51
수정 아이콘
와이프님 말씀을 들으면 중박 이상은 확실히 갑니다.
서쪽으로가자
16/08/30 23:04
수정 아이콘
중학교면 거의 10년 뒤가 아닌가요?
그 사이에 학교가 생긴다던가 도심권에 변화가 생길 수도 있으니 (지방 소도시의 경우엔 아무래도 그런 변화가 적긴 하겠지만요.)
덴드로븀
16/08/31 00:12
수정 아이콘
사실 10년뒤면 중학교 통폐합을 생각하긴 해야해서... 더 멀리 배정 될수 있다는걸 고려해보긴 해야하는데...
그때되면 아마 지방 소도시의 교육 한계 때문에 더 큰 도시나 대도시 유학(?)을 맘먹을지도 모를일이죠.
결국 현재 내가 그 집에 얼마나 살고싶으냐가 중요하겠죠. 물론 시내와 멀다는 점때문에 언젠가 팔때 가격은 그냥 포기하고 안정감을 찾는다는 생각만 가질수 있으시다면... 질러보시는게 어떨까 싶네요.
전세 개월수 모자라는 부분은 일단 현재 집주인과 최대한 상의해서 양해를 부탁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어차피 밑져야 본전이니까요.
16/08/31 00:46
수정 아이콘
아내말들으면 손해볼일 없습니다?! 크크
중학교는 어짜피 10년도 더 뒤 강산이 변한 뒤의 고민이니 제쳐두고, 첫번째두번째는 성격에 따라서는 장점이 되기도 하죠.
네번째는 7개월차면 그래도 '아주 많이' 어긋나지는 않네요. 저라면 부모님이나 친척한테 사정이야기하고 잠깐 돈 빌리거나 회사 등을 통한 금융상품으로 대출 최대한 받고, 2년 전세를 연장하고 어긋나는 반년간 아내한테 새집에 맞는 새가구들과 각종 인테리어를 꾸밀 기회를 줄 것 같네요. 많은 여자들의 로망이 자기 집 꾸미기 잖아요. 게다가 적당한 여유 텀이 없으면 유아기인 아기 데리고 새집에 바로 이사가고 집을 살 수 있을 정도로 꾸미는 것도 많이 힘들수 있어요.
회색사과
16/08/31 06:31
수정 아이콘
현재 계시는 전세 주인하고 1.6 년만 연장하면 어떻겠냐고 이야기 해보심은 어떨까요?? 전세가격을 좀 잘 드린다하면 주인한테도 나쁘지 않은 얘기 아닐까요?
16/08/31 07:36
수정 아이콘
이제아 글을 확인 합니다. 답변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9238 [질문] 위쳐 3 GOTY 에디션 살만한가요? [7] 은구두3342 16/08/31 3342
89237 [질문] 과일 어디서 구매하시나요? [4] 물범2183 16/08/31 2183
89236 [질문] 치킨 추천 부탁드립니다. [8] En Taro3602 16/08/31 3602
89235 [질문] 오사카 덴덴타운 질문입니다. [5] 세카이노오와리3347 16/08/31 3347
89234 [질문] 대학에서 친구를 어떻게 사귀나요? [23] 아름답고큽니다4265 16/08/31 4265
89233 [질문] 야구 우천순연경기일정은 언제쯤 나오나요? [1] 흐흐흐흐흐흐2683 16/08/31 2683
89232 [질문] [자동차] 컨셉트카가 실제 양산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8] 몽유도원4730 16/08/31 4730
89231 [질문] ps4 어떤기종을 사야돼죠? [13] 카오루4294 16/08/31 4294
89230 [질문] 메갈과 관련하여, 정의당에 큰 실망하신 분들께 질문 [24] 삭제됨3410 16/08/31 3410
89229 [질문] 경주 교리김밥이 왜 유명한가요? [15] 삭제됨4633 16/08/31 4633
89228 [질문] 부모님과 식사하기 좋은 교외 식당 추천 부탁드립니다. [8] F24S4046 16/08/31 4046
89227 [질문] 놀거 다 놀고 야근비 받아가는 사람들만 직급올려주는 회사 [18] Secundo4340 16/08/31 4340
89226 [질문] '혼네/타테마에'가 '이중성'과 어떻게 다른 말인가요? [6] ppii4145 16/08/31 4145
89225 [질문] 노트7 취소가능한가요?? [5] 3522 16/08/31 3522
89222 [질문] 유명한(안정성이 좋은) 멀티탭 제품 추천부탁드립니다. [6] 몽유도원10197 16/08/31 10197
89221 [질문] 일본, 물을 뿌리는 이유 [4] 결혼해도똑같네5701 16/08/31 5701
89220 [질문] 여자친구와 2박3일 여행장소 질문드립니다. [22] 긍마긍마4941 16/08/31 4941
89219 [질문] 어르신들 사용하기 쉬운 iptv가 있을까요? [16] 독거노인2832 16/08/31 2832
89218 [질문] LG유플러스 인터넷 사용하시는분 계신가요? [5] 괴도키드2465 16/08/31 2465
89217 [질문] 메갈이 일베랑 싸운적이 있나요? [14] 월터화이트4299 16/08/31 4299
89216 [질문] 공기업 목표 취준생 경제학 문제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정어리고래3245 16/08/31 3245
89215 [질문] 상관분석 용도 질문입니다 [2] 복말전도2250 16/08/31 2250
89214 [질문] 테이블 게임기(?) 명칭을 모르겠습니다. [3] 산토리&기네스2785 16/08/31 27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