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8/29 18:13:30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affodil
16/08/29 18:27
수정 아이콘
저도 회계전문가는 아닙니다만, 어느 수준까지 회계 지식을 쌓을지 목표를 정하는게 먼저겠죠. 회계학은 전문자격증도 있는 분야고 대학에서 박사도 있고 교수도 있는 학문인데요. 다만, 주식 투자목적으로 기본적인 이해를 하시기 위한 정도라고 하시면, 제가 들어본 중에는 권오상 회계사 강의가 유익하고 기업 회계 전반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하기에 좋았습니다. 동영상 강의를 한 번 찾아보세요.
이름없는자
16/08/29 18:37
수정 아이콘
1 단순 개인 투자 목적으로는 그정도면 충분합니다. (사실 기초 분석이든 기술적 분석이든 개인이 취급할 수 있는 자료와 기법에 한계가 있어 그 이상의 공부는 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어떤 어떤 방법론으로 대박 터트렸다 하는 개인들은 그저 특정 장세에서 운이 아주 좋았던 개인들일 뿐입니다)

다만 향후 관련하여 전문가를 꿈꾸시거나 관련 업종으로의 진출을 염두에 두신다면 좀 더 공부하시는것이 옳겠지요

2. 회계원리의 경우는 당연히 아는 것이 좋고, 도움도 되실 겁니다. (사실 회계원리의 경우 자산 = 부채 + 자본을 장황하게 배우는 수준입니다) 다만 그 이후의 회계학 학습은 주식 투자에 있어서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기업재무 투자론 등의 투자 재무 분야 학습이 훨씬 더 목적적합합니다. (다만 이 분야는 특성상 일정 수준의 수학 실력을 반드시 요구하며, 사실 개인 투자 목적으로는 이쪽도 별로 필요치 않습니다. 결국 개인들은 그 투자의 상당 부분을 개인의 감각 내지는 단순 분산에 의존하게 되고, 이런 전문적인 지식을 실제 투자에 응용하려면 학부 수준 가지고는 무리고 최소 석박 수준으로 공부해야 해서 비용대비 효용이 전혀 안 맞습니다)

개인 목적의 투자라면 학문적 이론적 근거를 쌓는 일보다는 소액 투자를 반복해서 시장의 생리를 익히고 각종 뉴스 및 동향을 빠삭하게 파악하시는게 더 도움이 됩니다
16/08/29 19:01
수정 아이콘
.
이름없는자
16/08/29 21:28
수정 아이콘
예 그렇습니다 충분하고, 회계학은 보통 제무제표에 정보를 어떤 방식으로 표현하고 인식할 것인가를 다루는데 주식 투자에 있어선 그 정보가 어떤 의미인지만 이해하면 충분하니까요 투자자 입장에서의 현금흐름은 재무 분야가 훨씬 깊이있게 다루고요~ 일단 회계원리 정도만 배우시고 경제지 등등을 틈틈이 탐독하시면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각 항목 정도는 자연스럽게 파악이 되실 것이고 현금흐름표 등은 상대적으로 어렵게 느껴지실텐데 그 경우 계좌를 튼 증권사의 애널리스트 정보 등을 구독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9156 [질문] 피쉬서버 래더게임 어떻게 하나요? [7] 레너블3751 16/08/30 3751
89155 [질문] 항공권 얼리버드는 언제쯤 하나요? [5] MoveCrowd2827 16/08/30 2827
89154 [질문] '달의연인 - 보보경심 려' 어떻게 보셨나요? [31] 수지4774 16/08/30 4774
89153 [질문] 추석에 여행 갈 만 한 곳 있나요 or 놀 수 있는 곳 있나요? [4] 포도사과2903 16/08/30 2903
89152 [질문] 차음성만 놓고 최고 이어폰은 어떤게 있을까요? [12] 반전4294 16/08/30 4294
89151 [질문] 중고x라 핸드폰 "판매"시 유의점 좀 알려주세요. [8] 도시의미학2839 16/08/30 2839
89150 [질문] 패션 고자 커플 구제부탁드립니다. [20] Secundo3343 16/08/30 3343
89149 [질문] 비오는 날 서울 데이트 코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2] RyuSera2774 16/08/30 2774
89148 [질문] 혹시 journal with narrate 어플 사용하시는분 도움 부탁드립니다 총사령관2205 16/08/30 2205
89147 [질문] [의료] 손목 물혹 치료하신분 있나요 [4] 어쩌다룸펜2578 16/08/30 2578
89146 [질문] 신촌에서 주말에 점심식사할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3] 김승남4051 16/08/30 4051
89145 [질문] 포터 렌트될까요? [8] dragon810618 16/08/30 10618
89144 [질문] [PS4] 언차티드 컬렉션 지금 해도 할만 한가요? [10] Antiope3430 16/08/30 3430
89143 [질문] 눈(eye) 관련 재미있는 책 없을까요? [5] atmosphere2527 16/08/30 2527
89142 [질문] 추석연휴때, 서울에 놀러갈까 생각중입니다. [2] 흐흐흐흐흐흐2458 16/08/30 2458
89141 [질문] 차대차 교통사고 소송후 가해피해가 바뀌면 [3] 강군이3792 16/08/30 3792
89140 [질문] 감기 걸려서 피가래가 나올수 있나요? [6] 알토이스2971 16/08/30 2971
89139 [질문] 속초 당일치기 여행 괜찮을까요?(서울출발) [15] 고기반찬주세요5027 16/08/30 5027
89138 [질문] 짝다리 때문에 근육 양이 달라질 수 있나요?(+다이어트 조언) [9] 리나시타3183 16/08/30 3183
89137 [질문] 부모님 모시고 오사카 자유여행 힘들까요? [28] 2015년10월9일8015 16/08/30 8015
89136 [질문] 안드로이드 파이널판타지 1 한글 질문드립니다 총사령관3961 16/08/30 3961
89135 [질문] 정부가 집값 유지할려는 이유가 뭐죠? [19] 레인이4201 16/08/29 4201
89134 [질문] 임금 체불(?)관련 질문입니다. [5] 윤슬3124 16/08/29 31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