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8/29 13:53:13
Name 두지모
Subject [질문] TV구매 질문합니다.
이번에 이사를 가면서 TV를 새로 구입하려고 하는데요.
어떤 TV를 사야하는지 고민되서 질문드립니다.

가격대를 보니 UHD TV하고 OLED TV를 구입할 수 있더라고요.

OLED UHD는 가격이 비싸서 일단 배제하고있습니다.

OLED가 끌리긴 하는데 UHD 방송이 내년부터 시작이고 UHD 소스의 영상들이 많이 나오면 그때가서 UHD로 살껄 후회하는게 아닐까 걱정하고있습니다.

추가금을 더 주더라도 OLED UHD를 사는가 맞을까요? 아니면 그냥 OLED를 사는게 맞을까요?

그게 아니면 그냥 일반 UHD TV를 구매하는게 맞을까요?

싼 값의 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고민이 많이됩니다.

TV 잘 아시는 분들 답변 부탁드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heatherangel
16/08/29 13:54
수정 아이콘
일단 예산이 얼마인지, 이사하시는 곳 거실크기는 어떠한지가 궁금하네요.
가격에 여유만 있다면 무조건 크게, OLED로 가는게 답이거든요.
두지모
16/08/29 13:56
수정 아이콘
화면은 55인치 살 생각입니다.
주된 고민은 UHD를 어떻게 할까입니다.
heatherangel
16/08/29 14:19
수정 아이콘
65인치까지가 현실적인 가격대로 내려왔습니다. 아까 거실크기 물었지만 티비는 거거익선, 클 수록 좋아요.
저라면 65인치 UHD를 구매하든지, 더 보태서 65인치 OLED 구매할거 같아요.

직구 알아보시거나, 만약 직구에 어려움 느끼신다면 G9같은곳 검색해보세요.
1q2w3e4r!
16/08/29 14:20
수정 아이콘
결론만 따지면 퀀텀닷 가세요.

디스플레이 화질은 매장가서 보면 oled가 확실히 더 좋긴한데요. oled 특성상 lcd에 비해 번인등 관련해서수명이 짧습니다. 근데 tv는 보통 길게쓰죠. 폰처럼 2년마다 바꾸는거면 oled 추천인데 tv는 그렇지는 않아요.

그래서 엘지는 이걸 어떻게 극복했나 찾아봤는데 주기적으로 화면을 클리어(예전에 브라운관 tv에 있던 화면조정 시 떨림 기능 비슷한 역할) 시켜줘서 번인현상을 늦춰주어서 oled 소자가 한색상에 머무는걸 방지 하더라고요.
이건 번인관련되서 늦춰주는 것이지 아직 기술적으로 대형tv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어요.
뭐 제가 해당 기술적으로 전문가는 아니니 정답은 아닙니다.

그리해서 저는 삼성 퀀텀닷 65ks8000 샀는데요. 만족합니다. 근데 어차피 uhd소스가 없어서 디스플레이 성능을 제대로 쓰지도 못해요.
제대로 쓰려면 10비트에 hdr+ 지원되고 BT.2020 되는 소스가 있어야 하는데 아마 이정도급 소스는 향후 블루레이 4k 표준지원 아니면 안나올 겁니다.
그리고 블루레이4k 표준이 이렇다는 거지 실제 제작된 영화소스가 저런게 나올지는 의문이네요. 한참걸릴 거에요.

btv, 올레tv uhd채널 해봤자 2개밖에 없는데 일반 fhd보다 좋다는거지 제대로 된 uhd도 아니고 그나마 돈주고 볼만한건 넷플릭스 uhd밖에 없더라고요.
http://demo-uhd3d.com/ 여기 올라와 있는 데모 소스급 정도는 되야 요새 나오는 tv 풀스펙 쓰는 겁니다.
한국에서 서비스한다는 uhd도 전송량 스펙보면 fhd 방송소스와 마찬가지로 화질은 기대하기 힘들고요.

여튼 이거까지 고민하고 알아볼 이유는 없고, 결론은 제대로된 소스는 어차피 없고 앞으로도 제대로 된게 없으니 큰 기대하지 말고 디자인 좋은 퀀텀닷 사는게 좋다.. oled는 비싼데 오래 못쓴다.. 정도 겠네요.
16/08/29 15:23
수정 아이콘
아직 FHD에서 UHD로 넘어가는 과도기라서 가격이 비싼데... 금방 세대교체 내지 구형화 될 가능성이 있어서 일단 중소기업꺼 1~2년 쓸 생각으로 사는 사람들이 꽤 있더군요.
16/08/29 17:07
수정 아이콘
전 내년에 티비 구입 예정인데 OLED 생각하고 있었는데 수명생각하면 퀀텀닷이 더 낫다는 얘기가 많더라구요. 한번 사면 오래 써야하는데 OLED는 그정도 수명이 안된다는 말이 많아서... 내년되서 다시 비교해보겠지만 당연히 가전은 LG를 살 생각이었는데 이 문제때문에 티비는 삼성으로 갈까 생각중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9135 [질문] 정부가 집값 유지할려는 이유가 뭐죠? [19] 레인이4149 16/08/29 4149
89134 [질문] 임금 체불(?)관련 질문입니다. [5] 윤슬3082 16/08/29 3082
89133 [질문] 플스4 게임 통계는 어떻게 보나요? [2] 로그아웃2537 16/08/29 2537
89132 [질문] 안드로이드 어플 추천해주세요 [2] 김민채5768 16/08/29 5768
89131 [질문] 2016년 드라마 추천해주세요(모두감사합니다) [27] 파란무테7659 16/08/29 7659
89130 [질문]  전문대졸의 사회에서의 한계에 대한 질문입니다. [10] K54351 16/08/29 4351
89129 [질문] 스마트폰용 사전 질문. [6] Cherry2540 16/08/29 2540
89128 [질문] 똥냄새로 인하여 민원을 넣으려 합니다. [8] 있잖아. 그거해봐5056 16/08/29 5056
89127 [질문] 우리나라 사람들 (특히 서울)은 왜 다들 자기차를 끌고 다니는 건가요? [71] 오스카9217 16/08/29 9217
89126 [질문] 보급형만년필 추천부탁드립니다 [5] 전회장4561 16/08/29 4561
89124 [질문] . [4] 삭제됨1678 16/08/29 1678
89122 [질문] 이 로봇의 정체를 아시나요? [2] 세종2760 16/08/29 2760
89121 [질문] 입술이 탱탱 부었습니다. [4] klemens22759 16/08/29 2759
89120 [질문] [엑셀]시트별 데이터 통합 정리 방법? [4] 낙화3290 16/08/29 3290
89119 [질문] 핸드폰 유심 인식에 관해서 [2] 녹차김밥1957 16/08/29 1957
89118 [질문] 종각쪽 식당 및 술집 추천부탁드립니다. [2] 물범2534 16/08/29 2534
89117 [질문] 파크라이 시리즈 3편부터 해도 될까요? [11] 앓아누워5014 16/08/29 5014
89116 [질문] . [4] 삭제됨1634 16/08/29 1634
89115 [질문] [스타1] 아시아 서버 접속이 안됩니다. [5] 호로2850 16/08/29 2850
89114 [질문] PC 절전 모드질문입니다. [2] 현호아빠2848 16/08/29 2848
89113 [질문] 문명 잘하시는분들 궁금합니다 [4] 패스파인더2764 16/08/29 2764
89112 [질문] 다세대주택 거주자인데, TV계약을 해지하고 싶습니다. [3] 세인트1819 16/08/29 1819
89110 [질문] 분산 표준편차 공식 질문입니다 [3] 복말전도5247 16/08/29 524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