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8/28 12:21:44
Name 새로미
Subject [질문] 게임용 데스크탑 PC 문의입니다.
현재 3년된 노트북을 쓰고 있는데 당시에 100만원? 정도로 나름 고성능으로 장만했는데
그래픽카드 쿨링(?) 의 문제인지 게임이 거진 돌아가지 않더라구요.

드래곤에이지 인퀴지션, 군단의심장 정품구매했는데 둘다 20분만 하면 게임을 하지 못할정도로 끊깁니다.
그래서 게임용으로 구매할까하는데요, (인퀴지션,스타2,오버워치,디아블로3) 정도를 원활하게 돌릴정도로 구매하고 싶습니다.

모니터+데스크탑+ 윈도우정품 으로 보고 있는데요,  사실 귀찮아서 메이커 피씨를 살생각도 하고 있는데요,  차이가 많이 날까요? 요즘에도 조립식으로 주문하는게 대세인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개념테란
16/08/28 12:27
수정 아이콘
메이커피씨는 하지마세요. 같은 성능에 가격이 훨씬 비쌉니다. 정 견적내기가 귀찮으시면 차라리 조립업체 사이트 들어가셔서 게임용 PC라고 세팅 되있는거 중에 하나를 구매하시는게 나을듯 하네요.
16/08/28 12:27
수정 아이콘
조립피씨 사세요.
컴퓨존 이런데서..

차이가 많이 납니다. 가격대비 사양이요..
몽키매직
16/08/28 12:29
수정 아이콘
동사양 조립PC 가 메이커 PC 보다 싼 이유는 1. 사후 AS 지원차이 2. 조립완성품의 QC 차이 정도로 보시면 되는데, 여기에 얼마나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선택을 하는 거죠. 컴퓨터 조금 만질 줄 알고 진단도 할 줄 알면 비중이 줄어드는 거고, 전혀 모르고 안되면 누군가를 부르고 싶다면 비중이 높아지는 거고요. 저 두 가지를 완전히 제외하고 생각하면 조립 PC 가 10% 에서 많게는 30-40% 까지 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산을 특정해주시면 견적 댓글이 주르륵 달릴 겁니다.
맥아담스
16/08/28 12:35
수정 아이콘
노트북 100만원짜리를 "나름 고성능"이라니...
3년 전이나 지금이나 게임이 목적인 노트북은 최소 150만원은 줘야 "나름 고성능"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아무리 3년 전이라 해도 지금 오버워치나 스2가 안 돌아간다면 그때 별로 안 좋은 노트북을 산 것 같네요...
노트북은 무게나 디자인, 그리고 브랜드 때문에 같은 성능이라도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예를 들어 LG그램 같은 경우 그래픽카드는 아예 없는데 무게가 가볍고 여성들이 선호하는 디자인, 그리고 LG라는 이름값 때문에 100만원 넘어갑니다. 그런데 이런 노트북을 고성능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그래픽카드가 없어서 최신게임은 아예 실행조차 안 되는데?
무무반자르반
16/08/28 12:55
수정 아이콘
하다가 느려지는거면
일단 쿨러 청소하시고 부족하면 쿨링패드.사세요
그게 돈아끼는 길일수도 있어요
16/08/28 13:00
수정 아이콘
컴퓨터 구매와 별개로 노트북 AS센터에 AS한번 맡겨서 청소 및 써멀 재도포 해달라고하세요 2~3만정도 나옵니다.
컴터는 조립사는게 훨씬 낫고요.
순규하라민아쑥
16/08/28 13:09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 한표. 청소만 해도 엄청나게 차이납니다. 덤으로 싸구려라도 쿨링패드 하다 깔아주면 좋구요.

데탑은 컴퓨존 같은 믿을만한 업체에서 사면 통수 맞을 일 없이 호환 잘 되는 부품으로 그럭저럭 싸게 살 수 있습니다. 1년 AS까지 받을 수 있구요.
불같은 강속구
16/08/28 13:07
수정 아이콘
i5에 gtx1060 이면 최신 패키지 대작들도 상옵 이상으로 돌릴 수 있습니다.
사실 위 게임들만 돌리기엔 1060이 좀 아깝죠.
스타2나 디아블로는 말할 것도 없고
오버워치는 최신게임이지만 그래픽 퀄리티는 몇년전 수준이고 인퀴지션도 2014년 말에 나온 게임치고는 그래픽이 좀...
둘 다 권장사양이 i5 에gtx660 이라 그다지 고사양 VGA가 필요없습니다.
그런데 지금 시점에 너무 비싸지 않은 가격으로 살만한 카드가 1060 뿐이라...750ti같은 걸 살 수도 없고요.
1060 장만하시고 여유가 되시면 다른 그래픽 좋은 게임들도 즐겨보세요.

위 사양을 대기업 컴으로 사면 조립컴보다 30만원이상 더줘야 될겁니다.(윈도우 가격 제외하고도)
마늘간장치킨
16/08/28 13:17
수정 아이콘
해당 노트북 센터에 가셔서 내부청소
hdd를 ssd로 교체(내부청소 as 받을때 ssd 같이 들고가서 달아달라고 요청하면 해주는데도 있습니다.)
윈도우 포멧 혹은 완전 재설치(본문에 윈도우 구매가 있으니 처음사용자용 윈10 추천)
게이밍 노트북이라고 광고된게 아니면(외장그래픽 카드가 따로 달린거) 고사양 게임은 노트북으론 안하는게 맘이 편합니다.

데스크탑 구매같은경우 여기 피쟐 질문게시판에 '견적' 으로만 검색하셔도 가격대별 견적 몇개 나오실껍니다 크크
16/08/29 17:44
수정 아이콘
윗분 말처럼 노트북은 SSD만 달아줘도 신세계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9127 [질문] 우리나라 사람들 (특히 서울)은 왜 다들 자기차를 끌고 다니는 건가요? [71] 오스카9211 16/08/29 9211
89126 [질문] 보급형만년필 추천부탁드립니다 [5] 전회장4559 16/08/29 4559
89124 [질문] . [4] 삭제됨1676 16/08/29 1676
89122 [질문] 이 로봇의 정체를 아시나요? [2] 세종2760 16/08/29 2760
89121 [질문] 입술이 탱탱 부었습니다. [4] klemens22757 16/08/29 2757
89120 [질문] [엑셀]시트별 데이터 통합 정리 방법? [4] 낙화3288 16/08/29 3288
89119 [질문] 핸드폰 유심 인식에 관해서 [2] 녹차김밥1957 16/08/29 1957
89118 [질문] 종각쪽 식당 및 술집 추천부탁드립니다. [2] 물범2534 16/08/29 2534
89117 [질문] 파크라이 시리즈 3편부터 해도 될까요? [11] 앓아누워5011 16/08/29 5011
89116 [질문] . [4] 삭제됨1634 16/08/29 1634
89115 [질문] [스타1] 아시아 서버 접속이 안됩니다. [5] 호로2844 16/08/29 2844
89114 [질문] PC 절전 모드질문입니다. [2] 현호아빠2847 16/08/29 2847
89113 [질문] 문명 잘하시는분들 궁금합니다 [4] 패스파인더2763 16/08/29 2763
89112 [질문] 다세대주택 거주자인데, TV계약을 해지하고 싶습니다. [3] 세인트1817 16/08/29 1817
89110 [질문] 분산 표준편차 공식 질문입니다 [3] 복말전도5247 16/08/29 5247
89109 [질문] 색소침착크림 써보신분 계신가요? [4] dragic2371 16/08/29 2371
89108 [질문] 영화표 한장 나눔 합니다. [8] 웅즈2485 16/08/29 2485
89107 [질문] 생활 꿀템은 뭐가 있을까요? [21] 쌀이없어요5334 16/08/29 5334
89106 [질문] 이직 시 이력석 작성 관련 질문입니다. [9] 삭제됨2922 16/08/29 2922
89105 [질문] 내 인생 최고의 국내 드라마를 꼽자면? [99] 디자인5134 16/08/29 5134
89104 [질문] 저사양에서도 ssd로 교체하면 속도체감이 날까요 [9] 가을의전설4569 16/08/29 4569
89103 [질문] 부산 성모병원 어떻게 가는게 빠를까요? [3] 설이2951 16/08/29 2951
89102 [질문] 제 명의의 폰2개끼리 번호변경이 가능한가요? [3] 차주닷컴1698 16/08/29 16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