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8/24 14:32:53
Name Secundo
Subject [질문] 자산관리 추천이나 조심해야할 부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이래저래 돈을 모아야 할 이유들이 많아졌습니다 ㅠㅠ

들어오는 수입은 고정적이고 이사도 가야겠고 돈쓸일은 끊이지는 않고...
고민하다가 자산관리를 검색해보니 엄청나게 많은 사이트에서 제 전화번호를 남겨달라는 페이지만 뚝 남겨놓는군요..

일전에 알아보고 상담도 한번 해봤었는데 계속 특정상품 강요하고 집요하게 전화, 문자메시지를 받다보니 사실 진행하다말았습니다.

괜찮은곳이 있거나 조심해야 할만한 사항이 있다면 추천도 좋고 조언도 좋습니다.
가난한 직장인의 자산관리에 도움 한줄만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토미
16/08/24 15:15
수정 아이콘
예전에 들은 말이

적금은 큰거 작은거 나눠서 두개로 넣으라는 말과

주식하지말라는 말이 있긴하네요
덴드로븀
16/08/24 15:28
수정 아이콘
원금손실이 조금이라도 두려우시다면 적금/예금 말곤 방법이 없죠....ㅜㅜ 이젠 이자도 없는셈쳐야하는 세상이지만 별수있나요...
그나마 강제 저축하면서 이득을 보는 방법으론 개인연금저축+주택청약을 최대치로 넣어서 연말정산때 공제받는정도...?
정말 티나게 수익보려면 주식이나 부동산말곤 답이 없는데 주식은 원금손실 위험성이 크고, 부동산은 애초에 몇억이상의 목돈이 없으면 시작도 못하죠.
크게 질러서 5% 이상 수익보시려는게 아니라면 당장은 그냥 아껴서 저축만 하는게 맞아보입니다.
목화씨내놔
16/08/24 15:42
수정 아이콘
돈을 모아야한다면 예적금이 짱입니다. 큰 돈 모으려면 큰 돈을 번 후에 은행에 맡겨야죠.

은행이나 증권사 가서 자산관리 상담 받아보시는 거 추천합니다.

언제까지 얼마 정도를 모으고 싶다라고 얘기하고 소득과 비용을 말씀드리면 구체적인 계획을 잡아줄 겁니다.

자산을 불리고 싶은거라면 주식 투자가 최선입니다.

파생상품만 아니라면 그리고 여유자금이라면 주식은 꽤 괜챃은 투자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Lucifer0
16/08/24 15:45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사회 생활을 한지 그리 오래 되지 않은 회사원입니다.

실질적으로 세후 수익률을 따지면 적금으로 유의미한 추가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착실히 자신의 수입을 저축해나가는 의미가 크고 허리띠를 졸라매가며 저축액을 늘리는게 그나마 가장 좋은 재테크 방법인 것 같습니다.

만약에, 시간적 여유가 충분하시고 인내심과 차가운 이성을 유지하실 자신이 있으시다면 정말 충분히 공부를 하신 후 주식 투자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적금에 비할 수 없을만큼 수익을 보고 있고요. 물론 정말 공부를 많이 하셔야 하고 인내심이 강하셔야 합니다.

그냥 흔히 98%의 개인 투자자가 단지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해주는 '공익 투자자'에 불과하다는 말이 있듯이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적금이 가장 속편하기는 합니다.

적금의 안정성과 주식의 수익성 사이에서 어느 정도 타협을 본다는 느낌으로 펀드 투자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왠만한 은행 들어가셔서 보셔도 펀드 수익률이 +인 상품이 생각보다 많이 적습니다.

펀드를 하실 바엔 그냥 적금을 추천드립니다.

적금으로도 충분히 연 2%이상의 수익을 올리는 기법이 있는 것 같았습니다. <- 사실 확실하진 않습니다만, 잠시 적금에 관심을 갖고 알아볼 때

'풍차 돌리기'와 같은 기법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수익률을 올리시는 분들도 있는 것 같았습니다.

무더운 여름, 건강 조심 하시고 즐거운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돈도 중요하지만, 돈으로는 얻을 수 없는 행복으로 가득한 일상을 보내시길 기원합니다.
16/08/24 15:53
수정 아이콘
주식 공부하셔서 주식 하셔야죠. 주식 하면 안된다고 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공부 안하고 조심성없이 주식하다가 망하고, 혹은 그런 사람을 보고 하지 말라고 하는 경우입니다.
동네형
16/08/24 17:26
수정 아이콘
투자는.. 부동산 경매 주식 등등 뭐든지간에 리스크를 감수하고 수익을 희망할때의 얘기고.

예적금 풍차 네개의통장 뭐 뭐 뭐 다 나와봐야
리스크 없는건 그냥 안쓰는 만큼 더 모으는 저축입니다.

자산관리라는건 이러한 상품의 조절을 통해
수익률와 안정성을 동시에 마련하는거구요.

본인의 목적을 고민하시면 됩니다.
이라니
16/08/26 16:06
수정 아이콘
적금해서 한 5억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8907 [질문] 노트북 고장에 관한 질문입니다 동행2239 16/08/25 2239
88906 [질문] SM Ent 회사에 악재가 많나요? [4] swear4226 16/08/25 4226
88905 [질문] 인터넷 연결이 안됩니다... [3] 불곰3468 16/08/25 3468
88903 [질문] 부산 카카오 드라이버 쓰시는 분 있으신가요? [1] RnR2839 16/08/25 2839
88902 [질문] 골목길 주차 문제입니다. [9] 고로로3169 16/08/25 3169
88901 [질문] 관리자가 되고 싶습니다. [2] 피와땀2846 16/08/25 2846
88900 [질문] "자기가 해놓곤"에 자기라는 말이 하대인가요? [16] 배글이4475 16/08/25 4475
88899 [질문] [안과] 각막에 얼룩이 있어서 렌즈를 끼지 말라고 얘기를 들었는데요 푸른봄2129 16/08/25 2129
88898 [질문] 알라딘 DVD 구매시 해외배송 문의 하.양.글2605 16/08/25 2605
88897 [질문] 20대 중반 여자 향수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소라카3740 16/08/25 3740
88896 [질문] 콘택트렌즈 습윤액 눈에 직접 넣으면 안되나요? [4] 삭제됨7000 16/08/25 7000
88895 [질문] 외국인이 자막 방송을 통해 한국어배우기 [2] 어느새주말2401 16/08/25 2401
88894 [질문] 흔한 결혼식 복장 질문입니다ㅠㅜ [13] shoosd4086 16/08/25 4086
88893 [질문] 요즘 유독 신규회원(?) 분들이 좀 분란을 일으키는거 같지 않으신들가요? [89] 스키너6128 16/08/25 6128
88892 [질문] 다크소울3 한글화 지원 여부 [5] 모루2618 16/08/25 2618
88891 [질문] 보험회사에서 브리핑을 나온다는데 순수한 설명 목적인가요? [9] 살고싶다이직하자2906 16/08/25 2906
88890 [질문] 핸드폰 선택약정 할인제도에 관한 질문입니다. [4] sungsik2671 16/08/25 2671
88889 [질문] 플레이스테이션4 (PS4) 구매 관련 [9] 목화씨내놔4185 16/08/25 4185
88888 [질문] cisa 자격증에 대해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7] 어쩌다룸펜5946 16/08/25 5946
88886 [질문] 군대 약8개월 정도 남았는데 진로관련해서 공부할만한게 있을까요? [8] 간디가2583 16/08/25 2583
88885 [질문] 어머니 휴대폰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7] 김첼시2986 16/08/25 2986
88884 [질문] 나이키, 아이더, 백화점 여름 시즌 오프 세일 보통 언제쯤 하나요? [5] CLAMP 가능빈가3129 16/08/25 3129
88883 [질문] 외국인대리고 서울근교갈만한곳 추천부탁드립니다. [4] 미터기2881 16/08/25 28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