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8/23 15:07:31
Name 리들
Subject [질문] 인공지능 연구에서 왜 바둑이라는 분야를 선택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근에 인공지능연구, 그리고 알파고를 주제로 선정해서 교지에 글을 쓰게되었습니다.
대단한 수준은 아니지만, 전공분야가 아니기때문에 그냥 몇달전에 화제가되었던 알파고를 대상으로
간략하게 인공지능 연구에 대해 소개하고 알파고의 알고리즘을 간단하게 설명해보려는 수준입니다
여러가지 자료를 찾아서 공부도 하고 글을 쓰고있는데요.

그런데 문득 의문이 생기는게 왜 하필 바둑일까 싶더라구요.
바둑 대국을 통해 홍보효과도 물론 있을거고.. 그런데 그거 이상의 이유가 있다면 어떠한점이 있을까요?
전공자가 아니라 모자라지만 제가 생각해보기론..
인공지능이란게 실생활에 적용되려면
단순하게 모든 경우의수 다 생각해보기 같은 단순한방식으로는 시간이 너무 걸려서 써먹을수가 없을거고..
바둑에 시간제한이 있는것처럼 일상생활에서도 빠르게 처리할수 있는 알고리즘을 만드는데
바둑 대국에서 알고리즘 만드는것과 유사해서 그런건가..싶기는 합니다.

이부분 관련해서 전공자분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어떤 이유가 있는지 비전공자들에게 어떻게해야 합리적으로 설명할수있을까요.

처음에 참고했던 자료는
https://pgr21.com/pb/pb.php?id=recommend&no=2719 참고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pgr-292513
16/08/23 15:11
수정 아이콘
원래 보드게임이 인공지능 하기에 만만하긴 한데 (체스 등등)
예외적으로 바둑은 그 복잡성때문에 인공지능으로 사람 이기기 힘들 것이라고 알려져왔던 분야죠
그걸 새로운 학습알고리즘 도입으로 깬다는 것의 가치
그리고 100% 이길 수 있을 것이라는 내부적 예상
이것들이 합쳐져서 바둑을 선택한 것 같네요

보드게임 말고는 아무래도 이런 이벤트 하기가 어렵죠
사람들이 보기에 대결이 공정해보이지 않거나 (기계가 유리해보임)
승부를 가리기 애매하거나
등등
정지연
16/08/23 15:16
수정 아이콘
일단 이슈를 만들려면 인간과의 두뇌싸움에서 이기는 걸 보여줘야 하고 여기에 어울리는게 체스, 바둑같은 게임류인데.. 체스는 진작에 인간을 뛰어넘었고 바둑이 너무 많은 경우의 수 문제때문에 인공지능이 깨지 못하는 일종의 상징같은거였습니다.
16/08/23 15:45
수정 아이콘
단순한 이슈몰이나 화제성 그런부분을 떠나서 '인공지능 연구에서 바둑이라는 목표가 갖는 의의'에 대해 궁금했습니다.
그러니까 바둑을 정복함으로서 얻게되는 인공지능연구에서의 학문적 성취랄까요? 그런부분이 어떻게되는지,..
정지연
16/08/23 15:58
수정 아이콘
인공지능에서 구현하지 못하고 있는게 추리능력같은 계산으로 할 수 없는 부분인데 바둑을 둘때 경우의 수 연산만으로는 이길 수 없고 이 추리 능력이 있어야 사람을 이길 수 있다고 합니다.. 내가 이렇게 두면 저 사람은 어떻게 두겠지 하는것을 몇수 앞까지 예측해야 하는데 이걸 계산만으로는 해낼수가 없었던거죠..
알파고가 사람을 이김으로써 알파고가 가진 고유한 알고리즘(학습능력이라고 하는..)이 추리능력을 유사하게 구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방민아
16/08/23 15:18
수정 아이콘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알고리즘의 능력을 평가함에 있어 가장 좋은 분야는 게임입니다. 게임은 수 많은 경우의 수 들을 거쳐 최적의 해를 찾아 상대를 이기는 것이 목적입니다. 게임은 정보를 공유하는 오픈형 게임(오목, 장기, 체스, 바둑)과 상대의 정보를 모르는 채로 하는(스타, 워크 같은... 아니면 주식?? 크크)게임이 있죠. 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 체스는 정복이 되었고, 바둑은 이번에 알파고를 통해 정복이 된거죠. 단순하게 보면 모든 정보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목적일 경우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전을 통해 기계가 사람을 넘어섰다라고 생각해도 될 것입니다.
구글 딥마인드에서 바둑을 정복한 다음 스타1과 같은 게임을 지목한 것도 이와 같은 이유입니다. 실시간성을 가지며, 모든 정보를 모르는 상태에서 최적의 해를 찾는 방법에 대한 고민을 하고자 하는거죠.
연필깎이
16/08/23 15:42
수정 아이콘
연산으로 직관을 뛰어넘을 수 있는 영역이라서겠죠?
바카스
16/08/23 16:04
수정 아이콘
인간이 개발한 게임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추상처리능력이 필요한게 바둑인데 지금까지 ai들이 이 바둑만큼은 인간을 넘지 못 하다가 최근 알파고에 접목된 딥러닝으로 극복하게 된거죠.

물론 4국에서 나온 연산 미스도 있었지만 어쨋든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추상력을 기계 0,1 디지털이 해냈다 뭐 이런 식입니다.
Eye of Beholder
16/08/23 17:19
수정 아이콘
마지막 남은 전통적 보드게임 였기 때문입니다. 기존 상식을 깨는데 아주 좋은 대상이었죠.
16/08/24 00:4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8822 [질문] 안약? 안구 보조제? 뭐 그런거 추천 부탁드립니다. [9] MC_윤선생2342 16/08/23 2342
88821 [질문] 디지털 카메라 배터리 질문 [4] 토다기2264 16/08/23 2264
88820 [질문] 30대 초,중반 남자 와이셔츠 브랜드 추천부탁드립니다. [11] 유니꽃20804 16/08/23 20804
88819 [질문] 휴대폰으로 웹사이트 단어 검색 질문입니다 [3] 모커리2381 16/08/23 2381
88818 [질문] 노트북 추천 좀 부탁드리고자 합니다. [4] 강북스타일3737 16/08/23 3737
88817 [질문] 예전 PGR유게에 올라왔던 소설 원본을 찾습니다 [2] RookieKid2430 16/08/23 2430
88816 [질문] [오버워치] 전적 업데이트 [PS4]왕컵닭2156 16/08/23 2156
88815 [질문] 오늘 향방작계 가신분. [7] 냉면과열무2541 16/08/23 2541
88814 [질문] 백팩 브랜드 추천 좀 해주세요~ [12] PRADA4707 16/08/23 4707
88813 [질문] 노래 연습하기 좋은 노래 없을까요??? [7] 도바킨7479 16/08/23 7479
88812 [질문] 영화 제목좀 알려주세요 ㅠㅠ [4] Anti-MAGE2291 16/08/23 2291
88811 [질문] 젤다 시간의 오카리나 지금 해도 재밌나요? [19] 오즈s6975 16/08/23 6975
88810 [질문] 전용 맥주잔으로 마시면 확실히 맛이 다른가요? [27] 탈리스만6189 16/08/23 6189
88809 [질문] 아파트 청약 - 일찍 가는 게 좋을까요? [4] CLAMP 가능빈가2682 16/08/23 2682
88808 [질문] 비행기탑승시 라이터반입에대해 [7] 레몬커피5849 16/08/23 5849
88807 [질문] 좋아하는 남자가 자기는 대쉬해본 적이 없다는데 가능한가요? [53] 삭제됨9609 16/08/23 9609
88806 [질문] 중고 물품 거래에서 문제 발생시 [17] V.serum2750 16/08/23 2750
88805 [질문] 시력, 안경 질문.. 입니다. ㅜㅜ [5] 신동엽2337 16/08/23 2337
88804 [질문] (추석) 서울에서 경남을 내려가려고 해요 [14] Beauty2297 16/08/23 2297
88803 [질문] 공채는 어떤식으로 준비하나요? [3] Kainn2691 16/08/23 2691
88802 [질문] 자동차 액티브 에코모드 시 140km 이상 주행되는데 하자/결함 일까요? (현대 투싼) [7] NoWayOut5786 16/08/23 5786
88801 [질문] 스마트폰 연결할 소형 빔프로젝터 질문입니다. [6] 정상3731 16/08/23 3731
88800 [질문] 주택청약저축 담보대출 [1] 이혜리3623 16/08/23 36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