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8/21 22:56:47
Name 마브라브
Subject [질문] 우리나란 평지도 많지않은데 곡식생산량이 그렇게 높았나요?
유럽을 안가봐서ㅠㅠ 알프스산맥이 얼마나 큰진 모르겠지만 이미지상으론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 프랑스 모두 우리나라만큼 산지 비율이 높을거같진 않고 또 아마 조선시대엔 쌀보다 보리, 조, 수수였을거같은데 보리도 밀보다 훨씬 좋은가요?

지금 우리나라가 선진국들보다 인구밀도가 3,4배정도 높은데 단순히 식량의 문제라기보단 다른 여러가지 요인들이 있을거같은데 어떤가요?

이런말 좀 그렇긴하지만 조선시대엔 집에 사람이 많을수록 좋으니 일단 낳고보자 하는 인식이 서민들사이에 많았고 그만큼 굶어죽는 사람이 많다고 배웠는데 유럽도 그랬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펠릭스
16/08/21 23:17
수정 아이콘
인구수=생산력. 전근대사회의 공식입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6/08/21 23:23
수정 아이콘
농업기반의 산업구조에서는 자식=공짜노동력입니다. 많이 낳을수록 유리합니다. 산업혁명 이전에는 유럽이라고 다를게 없었습니다

그리고 한반도는 쌀이 전래된 이후로 쭈욱 쌀이 주식원이었습니다
공상만화
16/08/21 23:40
수정 아이콘
농담이 아니고 쌀-보리로 이어지는 윤작은 어마어마한 효율입니다.
좋은하루되세요
16/08/22 00:10
수정 아이콘
여태까지 농사가 잘되서 지금 인구가 많은게 아니라,

평소처럼 아이를 많이 낳았는데 (장성한 딸/아들을 한명이라도 더 만들려면....)
갑자기 근대화로 굶어죽지 않는 상황이 나와서 인구가 많은것 같습니다.
토다에
16/08/22 00:28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개도국 시절에 폭발적으로 인구가 늘어나서 그렇습니다.
개도국에서 출산률이 급증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여가가 없으니 불끄고 파워섹스, 피임기술의 부재
공중보건과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영아 사망률이 낮아짐이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안정화 된 현재에 이르러서는
아이를 낳지 않는 추세로 흐르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그때문에 지금 노인문제가 심각해 지고 있습니다.
16/08/22 01:09
수정 아이콘
잡곡을 먹니 해도 쌀이 주식이었고, 쌀 생산량이 늘수록 인구도 늘었죠. 쌀의 인구부양력은 밀보다 훨 낫고, 밀이 할 수 없는 윤작도 가능했구요. 그만큼 노동력도 많이 들었으니 인구가 더 늘수밖에요. 유럽과 아시아의 인구 차이를 쌀과 밀의 차이로 보긴 합니다. 낳고 보는 건 유럽이든 어디든 농경사회는 똑같았습니다. 미국도 개척시대 때 열몇명씩 낳아서 이민을 고려해도 미칠듯이 성장했죠.
다만 지금 한국의 인구밀도는 해방 후 급격히 늘어난 거고, 예전처럼 낳는데 사망률은 낮아지는 개도국의 상황이라 그런거죠. 그 인구폭발 이전에 유럽 국가들은 출생률이 떨어지고 있었구요. 한국도 순식간에 바뀌어서 고령화 사회가 눈앞이지만, 아무튼 이 점도 생각해야죠
16/08/22 08:21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b=26&n=88659

비슷한 질문인데 리플 읽어보시면
밀과 쌀의 차이에 대해서 알 수 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8712 [질문] 내일 서울 구경 가는데 루트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7] K52056 16/08/22 2056
88711 [질문] 10살 차이나는 애가 삼촌이라 불러요 ㅠㅠ [26] 다크나이트5161 16/08/22 5161
88709 [질문] [삭제 예정] 렌터카를 훔쳐서 타다가 사고가 난 경우 질문입니다. [8] 삭제됨3694 16/08/22 3694
88708 [질문] 지인끼리 남의 물건을 전달해주다가 잃어버린 경우 과실비율이 어떻게 될까요? [16] plane2779 16/08/22 2779
88707 [질문] PS4 패드 구입 질문 [11] 잠이오냐지금4403 16/08/22 4403
88706 [질문] 오버워치용 마우스 질문드립니다. [6] 라임3708 16/08/22 3708
88705 [질문] 스마트폰 과 우체국 요금제 문의 [7] 율곡이이2470 16/08/22 2470
88704 [질문] 내일 예비군훈련이 있습니다.(향방작계 후반기) [8] Liverpool FC3687 16/08/22 3687
88703 [질문] 이성친구랑 취미생활이 같은분 계신가요? [27] 흐흐흐흐흐흐4108 16/08/22 4108
88702 [질문] 갤럭시 폰이랑 태블릿이랑 터치감 같나요? [3] 폴토마스앤더슨2617 16/08/22 2617
88701 [질문] 올해 모기가 적지 않았나요? [35] 참룡객4575 16/08/22 4575
88700 [질문] 발에 붙이는 패치? 같은거 질문입니다. [5] 김첼시3875 16/08/22 3875
88699 [질문] 임금체불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5] 하만2576 16/08/22 2576
88698 [질문] 휴대폰이나 태블릿 AS안되고 고장나면 그냥 버리나요? [7] 대보름5745 16/08/22 5745
88697 [질문] 일반상환 학자금대출에 대해 질문합니다 [1] 내사랑사랑아1736 16/08/22 1736
88696 [질문] 노트7 홍채인식 은행거래 질문입니다. [2] 쪼아저씨1957 16/08/22 1957
88695 [질문] 중국 근현대사 이해에 도움이 될만한 도서를 찾고있습니다. [2] Jarvis1806 16/08/22 1806
88694 [질문] 일반 믹서기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해도 되나요? [9] 신입사원8693 16/08/22 8693
88693 [질문] 자전거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의 질문 [5] 목화씨내놔3553 16/08/22 3553
88692 [질문] 향방작계훈련을 이렇게 하는 경우도 있나요...? [22] 광개토태왕5454 16/08/22 5454
88691 [질문] 2.1 스피커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4] 쿠크다스멘탈3333 16/08/22 3333
88690 [질문] 애플 생태계?가 궁금합니다. [6] 바스커빌3379 16/08/22 3379
88689 [질문] 에어컨 사용으로 인한 누수 문제에 관한 질문입니다. [2] 플래쉬2635 16/08/22 26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