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8/19 13:33:02
Name 신입사원
Subject [질문] 직장인 1년차 제테크? 어떻게 할까요?
현재 1년만기 적금 150만원 / 7년만기 제형저축 5만원 주택청약 5만원, 총 160만원을 저축하고 있습니다.

1년 만기가 12월말에 터지는데 그러면 원금 + 인센티브 해서 2천만원쯤 되지 않을까 그래 생각하고 있는데요
이 돈을 어떻게 굴려야? 할지 참 고민입니다.

우선 생각해둔게

1. 부모님과 첫 가족여행 + 해외여행
2. 부모님 건강검진

해서 한 500만원 아래로 쓰려고 하고 있구요

나머지를 모르겠습니다. 사고싶은 중고차는 계속 살까말까 고민중에 있고 그냥 다시 은행에 때려 박아놓는게 가장 좋을지요?
피지알 여러분들의 의견 정중히 여쭤보겠습니다.

ps 아 저는 27살(빠른90년생)이고 연봉은 현제 3400만원입니다. (인센, 보너스 제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궁금해요궁금해
16/08/19 13:49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2개 하고나면 1500정도 남을텐데 남에게 물어볼 수준의 재테크 지식수준이라면 정기예금이 제일 낫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저도 그렇게 하고있고요.. 크크

중고차 사는 것도 고려중이라고 하시니
차에 대한 필요성 여부를 신중히 생각하셔서 차 구매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고요.
신입사원
16/08/19 13:54
수정 아이콘
크크 정기예금이 가장 단순하며 고민할 일이 없긴하죠
heatherangel
16/08/19 13:52
수정 아이콘
정보가 부족하네요. 먼저 나이가 어떻게 되시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나이가 어리시고 당분간 결혼 계획이 없다면(집 장만에 대한 부담이 적다면) 계획했던 차를 구매하든, 가족여행 또는 건강검진에 쓰시든 쓰셔도 됩니다. 근데 저라면 뚜렷한 사용처가 없다면 모을거 같아요. 돈도 모아 본 사람이 모을 줄 알거든요.
신입사원
16/08/19 13:55
수정 아이콘
해외 가족 여행만은 꼭 갈껍니다 ㅠㅠ 결혼은 최소 3년은 생각없을듯?싶네요
16/08/19 13:52
수정 아이콘
전 그냥 부모님 다 드렸습니다. 부모님이 알아서 해주시겠....
신입사원
16/08/19 13:55
수정 아이콘
저는 제가 모으는거를 선택...
16/08/19 13:52
수정 아이콘
굳이 없어도 출퇴근이 문제없다면 or 출퇴근에 차를 쓰지 않는다면
아예 안사는게 낫습니다.
그냥 존재 자체만으로도 소비에요.
모으셨다가 꼭 필요하거나 사고싶은 모델이 있고 여유가 되신다면 그때 지르시는걸 추천합니다.

저도 초기에 비슷하게 굴렸는데 이것저것 알아보고 취하고 있는 방법 적어보면...
만기찍고 1000모였습니다.
그리고 1년짜리 30/ 1년짜리 20 / 2년짜리30 / 3년짜리30
새로 넣고 부모님 환갑에 맞춰서 5짜리 따로 넣었습니다.
나머지 비용은 가끔 주식(300만원 안에서만) 돌리거나 급전필요할때 CMA에 넣었다가 빼서 쓰고 있습니다.

분할해두니 편한게 갑작스레 돈나갈때가 1년에 1~2회정도는 생기는데 큰 고민 안하고 뺐다가 다시 넣는게 가능해서 좋더라구요.
결혼할때 한번에 다 부셔버린건 함정
신입사원
16/08/19 13:56
수정 아이콘
분할적금 참고하고 CMA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6/08/19 13:54
수정 아이콘
그냥 은행에 넣어두세요.
중고차 사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신입사원 1,2년차 때 얼마 받지도 못하는 돈으로 하고 싶은거 못해가며 허리졸라매며 굴려봤자,
나중에 크게 티나지도 않습니다.

돈 모으는 것 자체가 재미지다! 라는 거 아니면 1,2년차 돈은 좀 여유롭게 쓰시고 결혼할 돈 조금씩 모아서 재테크는 그 때 아내분과 함께 상의해서 하세요.
신입사원
16/08/19 13:56
수정 아이콘
가장 고민이 지금 못쓰고 모으면 나중에는 더 못쓸테니 ㅠㅠ 의견감사합니다
RedDragon
16/08/19 13:56
수정 아이콘
하이리스크 > 주식
미들(?) 리스크 > 펀드
로우 리스크 > 적금

차를 사서 생활이 확연히 윤택해지신다면 사도 괜찮은데, 딱히 그건 아니라면 돈먹는 하마입니다.
저는 통근 거리가 1시간 반인데, 차를 타도 비슷해서.. (지옥의 출퇴근 구간입니다.) 차욕심 없이 4년째 통근하고 있네요 ㅠ
그리고 주식을 안한다고 해도 윗분 처럼 CMA 계좌는 하나 만들어 두시고 여유 자금은 거기서 굴리시는게 좋아요.

저 위에중 하나에만 올인하지 마시고 적당히 3개를 다 해보는것도 좋습니다.
저는 30% 적금, 30% 생활비, 30% CMA 계좌 (증권, 펀드등) 10% 용돈, 공금으로 나가고 있네요.
신입사원
16/08/19 14:07
수정 아이콘
CMA 알아보겠습니다. 중고차는 여전히 고민 ㅠㅠ
16/08/19 13:59
수정 아이콘
저랑 같은 나이시네요!! 연봉은 다소 높으시지만...ㅠㅠ

저는 달 240정도 받는데 이중 120만원은 ISA, 10만원 주택, 나머지 60~70정도 예금들어놓고 있어요

나머지는 핸드폰비 및 고모에게 방세내고 있구요!!
신입사원
16/08/19 14:00
수정 아이콘
거의 180~190을...드드하네요 존경합니다
16/08/19 14:02
수정 아이콘
개인비용은 엄카를쓰고있어서......... 이걸 제돈으로 쓰면 120~130밖에 못할것같습니다 ㅠㅠ
신입사원
16/08/19 14:12
수정 아이콘
그럼 저보다 많이 버시는걸로 정리를...
바닷내음
16/08/19 14:19
수정 아이콘
삐빅 추가 수입이 감지 되었습니다
덴드로븀
16/08/19 14:41
수정 아이콘
ISA 비중이 너무 큰것 같아보이네요. 장단점 알아보시고 가입하신거라면 상관없지만요.
16/08/19 14:43
수정 아이콘
연말정산때문에 비율을 높였습니다
제 소득을 사용하는게 거의없어서..
연 2천만원까지 한계라고하더라구여!!
16/08/19 14:49
수정 아이콘
ISA는 비과세 상품이지 세액공제 상품은 아니라 연말정산과 관계는 없습니다.
덴드로븀
16/08/19 14:52
수정 아이콘
어....연말정산과는 무관한 상품인데요...ㅜㅜ
연말정산을 위해선
1. 인적공제
2. 개인연금저축
3. 주택청약
4. 현금영수증 + 체크카드 + 신용카드

를 꽉꽉 채우셔야합니다.
16/08/19 15:17
수정 아이콘
허.. 잘못알고 한건가....

신한은행에서 분명히 세액공제 상품이라고 해서 가입한거였는데....ㅠㅠ
덴드로븀
16/08/19 15:52
수정 아이콘
은행들이 isa 실적만들려고 혈안이 된 상태라 그냥 가입시키고보자는 식으로 막 말한걸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신한은행만의 특별함(?)이 있다던가...?
어쨋든 지금이라도 늦지않았으니 다시 한번 잘 알아보고 결정하시길...
Cazellnu
16/08/19 14:41
수정 아이콘
10년째 모는 6만짜리 차가 있는데요 뭐 기름값은 2~3달에 한번쯤 나가고 (심할땐 넉달) 보험료정도인데 그리 큰 타격 있지 않네요.
차 사는것도 만족을 위한 소비중 하나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론 출퇴근하고 많이 다닌다면 소비가 늘어납니다만 신입이 차를 가지고 출퇴근 할 수 있는 직장이 많지가 않을것이구요.
윗분 어떤댓글처럼 신입에 허리띠 졸라매는거보다 잘 쓰는것도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중에 하나입니다.
신입사원
16/08/19 14:42
수정 아이콘
저도 산다면 그렇게 쓸거 같습니다. 일~이주에 한번 드라이브정도?
덴드로븀
16/08/19 14:42
수정 아이콘
정기예금! 정기예금!
아니면 심심풀이로 주식! 주식!...
신입사원
16/08/19 14:43
수정 아이콘
주식을 가봅시다!!??
로또도 사고...
wish buRn
16/08/19 15:35
수정 아이콘
30대중반 꼰대로써 한말씀드리자면 (엣헴~!)
잃지 않는 것도 중요하더라구요.
주식하다 조금씩 손실보거나,돈이 묶여서 질러야할때 못지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정기예금도 긍정적으로 보세요.

차도 나쁘진 않습니다만,1년에 2~300이상 추가비용 들어가는건 감안하세요.
신입사원
16/08/19 16:12
수정 아이콘
원금보존의 법칙이지요 크크 조언 감사드립니다
싸구려신사
16/08/19 15:58
수정 아이콘
끝나면 예금넣는게 안전빵이죠.크크
신입사원
16/08/19 16:12
수정 아이콘
가장 안전하고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주력 후보군입니다
동네형
16/08/19 16:06
수정 아이콘
지극히 개인적으로 오히려 월급쟁이가 해야되는게 주식 아닌가 싶습니다.. 큰 돈 투자 못하고 매달 추가로 불입이 가능하니 펀드를 내가 만드는게 되죠.

전기차 환경 배당주 위주로 공부해봐서 열종목정도 고르고 매달 일정금액씩 분할해서 매입이요.

당연히 공부도 해야하고 리스크도 있기 때문에 난 전혀 위험부담없이 공부도 하기싫다. 라면 재테크가 아닌 저금을 하셔야 됩니다. 이건 어찌보면 등가교환인거라 (예적금은 모두 투자가 아니라 저축입니다.)

공부없는 수익과 싸고 질 좋은 소고기는 현실세계에는 존재하지 않고 앞으로를 봐도 저축 이율은 갈수록 떨어질겁니다. 과거에 어른들은 부동산은 손해안본다 라는 경험적 미신에 근거하여 대출을 통한 부동산거래로 투자를 했는데 최근의 신입 직장인은 이거도 불가능하죠.

언젠가는 투자를 해야하고 땅이든 집이든 금이든 주식이든 무언가는 사야합니다. 방향잡기 나름이니 그에따라 공부방향과 경제흐름 국제정세 회계 세무 를 공부하시는게 낫지 않나 싶네요.

리스크를 안보겠다면 이젠 부동산도 사기 어렵습니다.
신입사원
16/08/19 16:13
수정 아이콘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사실 저도 말씀해주신대로 주식을 생각하고있는데 워낙 '주식은 하지마라'만 들어와서...
무무무무무무
16/08/19 17:4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직장인에게 주식은 그다지 추천하지 않습니다. 수익과 손실을 떠나 시간과 노력이 너무 낭비됩니다.
티이거
16/08/19 16:23
수정 아이콘
머리좋고 공부하실생각있으면 주식도 좋죠.. 전 공부도하기싫고 로또도 한번도 안살만큼 운에 맡기는것도 싫어해서 오로지 적금,예금 나머지는 1%이율로 언제든지 빼쓸수있는 cma통장으로 넣고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8623 [질문] 가벼운 동영상플레이어 추천부탁드려요 [3] crutine3866 16/08/20 3866
88622 [질문] 태블릿이 하나 생겼는데 뭐에다 써먹는 게 좋나요? [18] 오스카4985 16/08/20 4985
88621 [질문] 롤챔스 결승 보면서 먹을 치킨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4] 챔쁜이2836 16/08/20 2836
88620 [질문] 섬의 궤적 3 플랫폼은 어디로 나올까요? [7] 면역결핍2510 16/08/20 2510
88619 [질문] 신토익 보신분들께 질문드립니다. [4] 비타에듀2856 16/08/20 2856
88618 [질문] [던파] 바람맨, 거너 등등 질문 있습니다. [7] 삭제됨2687 16/08/20 2687
88617 [질문] 스키 vs 보드 [8] Drone5447 16/08/20 5447
88616 [질문] 이 조건이면 고자되기 하실래요? ㅡ_ㅡlll [15] CLAMP 가능빈가4370 16/08/20 4370
88615 [질문] 나인뮤지스 세라 같은 눈동자를 뭐라고 하나요? [4] 아리아3047 16/08/20 3047
88614 [질문] 약정이 6개월 남아있는상태에서 휴대폰 고장~ 무약정 공기계폰 사는건 손해인가요? [6] mdcrazy3880 16/08/20 3880
88613 [질문] 향방작계훈련을 불참하면 어떻게 되나요? [11] 싸움이야?5850 16/08/20 5850
88612 [질문] 휴대폰 구입 문의드립니다. [1] 소피스트1851 16/08/20 1851
88611 [질문] 롤리타는 작가가 소아성애를 비판하기 위해서 쓴 건가요? [4] Samothrace4107 16/08/20 4107
88610 [질문] 통화녹음앱 추천 부탁드립니다. [1] 탄야2723 16/08/20 2723
88609 [질문] 물피도주 질문드립니다 [1] 문법나치2413 16/08/20 2413
88608 [질문] 이거 관심있어서 한 행동인가요? [18] shoosd4693 16/08/20 4693
88607 [질문] 군인은 반팔옷 입으면 안되나요? [46] yuni5645 16/08/20 5645
88606 [질문] 제 컴퓨터 아직 현역일까요? [17] 삐니키니3394 16/08/20 3394
88605 [질문] 안드로이드 어플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총사령관3030 16/08/20 3030
88604 [질문] 혹시 부업사이트 같은곳도있나요?? 히스조커2361 16/08/20 2361
88603 [질문] 승객분께 고소당할지 모르겠네요 [3] pritana3087 16/08/20 3087
88602 [질문] 중고컴퓨터 이 정도면 괜찮을까요? [8] 삭제됨2944 16/08/20 2944
88601 [질문] [LOL] 승급에 떨어졌습니다 [11] 조현영3192 16/08/20 319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