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8/16 08:00:19
Name Exposure
Subject [질문] 하루 5시간씩 자면서 멀쩡한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직 후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5시간 쯤 됩니다.(4시간 반~ 5시간)
1년 정도 지났는데, 적응이 되긴 커녕 만성 피로에 시달리고 있네요

운동을 해야지 해야지 하는데 운동할 힘이 안납니다.. 퇴근 후 너무 피곤해요
몸이 무기력하니 정신도 무기력해지는 느낌입니다.

뭔가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인데, 어떻게든 1시간 정도 일찍 자서 수면시간을 늘리는게 답인가요?
아니면 영양 공급과 운동으로 어느정도 해결이 가능할까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8/16 08:11
수정 아이콘
잠이 부족하면 자는 시간을 늘리셔야죠. 수면 시간은 체질적인 문제라 개선이 안됩니다.
무무반자르반
16/08/16 08:14
수정 아이콘
일단 홍삼 종합비타민 등등 국민 약물?드셔보시죠
16/08/16 08:17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틀린거 같아요.
전 몸쓰거나 운전 하는일 하지 않는 이상 그이상 못자겠더군요.
모 아침에 벌떡벌떡 일어난다는게 아니라 밤에 잠자는 시간이 알아서 늦어 집니다 ;; 만성 불면증이기도 하고 .....
코우사카 호노카
16/08/16 08:48
수정 아이콘
대학생 땐 됐는데 나이먹으니 못하겠더군요.
수면시간을 늘리는게 좋아보입니다.
순규하라민아쑥
16/08/16 09:01
수정 아이콘
20대때는 하루 4시간 미만씩 자면서, 몇년 일했는데(주말에도 게임하느라 4시간도 못잠 크크) 30대때는 안되더군요.
16/08/16 09:10
수정 아이콘
체질적으로 적은 잠을 자도 괜찮은 사람이 극소수며 적응을 통해 적은 수면시간을 유지했던 많은 사람들이 나이 들어서 치매나 각종 뇌 질환에 노출되었다고 합니다. 잠은 대체불가능합니다. 6~8시간은 자줘야해요.
16/08/16 09:23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틀립니다.
숙면을 할수 있다면 5시간으로도 되는걸로 알아요.
호흡기쪽에 문제 있으시다면 절대 모자르실거에요.(코골이라던가. 하는것들..)
16/08/16 09:33
수정 아이콘
저도 5시간정도 자는데 그렇게 큰무리는 없는 정도입니다.
근데 사람마다 틀리니 조금 더 자시는게
Exposure
16/08/16 09:37
수정 아이콘
모두들 답변 감사합니다. 일찍 잠드는게 일찍 일어나는거 보다 힘들지만 노력해보겠습니다. ㅠㅠ
해먹이필요해
16/08/16 09:43
수정 아이콘
신기하게 무기력해서 도저히 운동못할 것 같은데 억지로 운동하면 힘이 솟더라구요.
밤에 잠도 잘오고.. 물론 저는 6시간 정도 자긴 합니다.
대보름
16/08/16 09:43
수정 아이콘
저녁에 운동하시고 일찍 주무시는 게 좋습니다. 저는 30대까지는 잠 많이 안자도 별 문제 없었는데, 40대 되고 5시간 미만으로 자면 그 다음날은 하루 종일 피곤합니다.
세체미
16/08/16 09:52
수정 아이콘
군대에 있을때 특성상 하루에 3시간 / 2시간 이렇게 끊어서 한달정도 생활한적있는데 버텨지더라구요....지금 그러라면....후
16/08/16 09:53
수정 아이콘
낮잠 좀 주무셔야..
쎌라비
16/08/16 10:02
수정 아이콘
저는 6시간 자도 힘들던데요...... 7시간은 넘게 자야 괜찮더라고요
16/08/16 10:06
수정 아이콘
1시~2시 취침, 6시 30분 기상 2년동안 했는데 별 문제는 없던데요..주말에는 물론 늦잠자긴했지만.
피로감이 느껴지면 더 자야죠 뭐. 사람마다 다른듯.
토폴로지
16/08/16 10:25
수정 아이콘
두시자서 일곱시 인나는데 별 문제없습니다. 30대입니다.
Arya Stark
16/08/16 10:42
수정 아이콘
저는 안자면 이틀까지는 그럭저럭 버틸 수 있는데 일단 눈을 붙이면 여섯시간 이상은 자야 파곤하지 않더군요
Tyler Durden
16/08/16 11:25
수정 아이콘
자기는 안자도 별탈없다는 답변은 도움이 될 수 없죠.
잠으로 몸에 문제가 생긴게 맞다면 잠으로 해결해야죠.
파라돌
16/08/16 11:27
수정 아이콘
어렸을땐 안됐는데 30대가 된 이후로는 잠이 줄어드네요.
낮잠과 숙면이 필수인듯합니다.
스타벅
16/08/16 11:43
수정 아이콘
개인차가 있습니다. 적응할라고 하지 마시고 잠을 늘리세요
16/08/16 12:35
수정 아이콘
찾아보면 4시간자고도 멀쩡한 사람도 있을텐데 잠은 자기신체에 맞게 자야됩니다.
남들 수면시간은 도움이 안되고 본인이 1-2시간씩 조절해보며 찾아가야죠.
Exposure
16/08/16 12:48
수정 아이콘
헉.. 이렇게나 많은 답변이
감사합니다. 수면 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할게요~!
기다릴게
16/08/16 12:50
수정 아이콘
7시간은 자야합니다. 잠은 무조건 줄이면 안되요.
콰트로치즈와퍼
16/08/16 13:05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다르긴 한데 가끔가다 5시간도 아니고 매일 같이 5시간을 자면서 멀쩡한 사람이 안멀쩡한 사람보다 더 적을겁니다.

애초에 잠이 적은 사람이 아닌 평범한 사람이 매일 5시간을 자면서 멀쩡하려면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야 하며(같은 시간을 자도 밤12시에 잠드는거랑 새벽5시에 잠드는거랑 효율이 다릅니다) 잠을 깊게 잘 수 있는 환경이어야 합니다. 그러면서 낮잠도 5~20분 정도라도 자야 컨디션이 유지가 되구요. 그리고 이렇게 5일 살았으면 주말엔 충분히 자야 하구요.
선동가
16/08/16 13:06
수정 아이콘
덧글보니 광고에서 에디슨?인가 하루4시간만자도 충분하다고했던게 사기같이느껴지네요ㅠ 그거믿고잠줄여볼려고하다 더힘든것같았는데.. 나만그런게아니였어
도들도들
16/08/16 14:04
수정 아이콘
매일 8시간씩 자도 피곤한 사람도 많을 겁니다.
아임 원 오브 뎀.
16/08/16 14:09
수정 아이콘
7-9시간이 정상입니다.
어제내린비
16/08/16 14:37
수정 아이콘
학생때는 5시간씩만 자고 멀쩡했었지만.. 지금은 불가능 하네요.
나이가 들수록 조금씩 늘어서 지금은 7시간씩 수면을 취하고 있습니다.
젊으면 어찌어찌 될지도 모르겠지만.. 지금 힘드시다면 잠을 늘리는게 맞겠죠.
Exposure
16/08/16 14:56
수정 아이콘
5시간이라 썼지만 사실상 4~5시간 이었는데 1년 간 버틴 제 몸에게 미안하네요.
술담배도 많이하는데... 잠 늘리겠습니다. 모두들 숙면하세요.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8409 [질문] 한국 여자 배구 수준은 어떤가요? [12] Anthony Martial4899 16/08/16 4899
88408 [질문] 싸게 선불폰 하나 마련하려면 얼마쯤 드나요? 레몬커피2039 16/08/16 2039
88407 [질문] [운동] 조언 부탁드립니다. [8] 유령무희2542 16/08/16 2542
88406 [질문] 19세이상 애니추천부탁드립니다. [11] 시오냥15219 16/08/16 15219
88405 [질문] 여러분의 출, 퇴근시간은 어떻게 되시나요? [37] 뀨뀨4222 16/08/16 4222
88403 [질문] 와이파이 신호가 약하면 접속끊는 어플없을까요? [3] 전크리넥스만써요4023 16/08/16 4023
88402 [질문] 김경호 전성기 vs 하현우 [44] yangjyess9987 16/08/16 9987
88401 [질문] 배낭여행 중 부킹닷컴 취소 수수료 질문입니다 [2] Robbie3233 16/08/16 3233
88400 [질문] 두루마리 휴지에 관한 질문입니다 당신의조각들2664 16/08/16 2664
88399 [질문] [스타2] 구매 고민중입니다! [10] MagicMan2451 16/08/16 2451
88398 [질문] 직장생활하면서 1년동안 출근하면서 지각한번 안한사람 흔한가여? [55] 갓경언14349 16/08/16 14349
88396 [질문] 어제 질문했던 외국인 전화번호 재질문 입니다 [3] 치토스2290 16/08/16 2290
88395 [질문] 중•단편소설 및 작가 추천부탁드립니다. [5] 물범2967 16/08/16 2967
88394 [질문] 장염 걸렸는데 수영해도 괜찮을까요? [8] Neo6053 16/08/16 6053
88393 [질문] 운전 관련 몇가지 질문. [2] 티티1913 16/08/16 1913
88392 [질문] 지구온난화와 해수면상승 [9] 인생은혼자다2180 16/08/16 2180
88391 [질문] [도타2] TI 끝났나요? [3] 트루키3903 16/08/16 3903
88390 [질문] 도쿄에서 자전거 렌탈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2] 정 주지 마!4212 16/08/16 4212
88389 [질문] 30년전 선동열이 지금 KBO로 온다면 [72] QM34454 16/08/15 4454
88388 [질문] 서류 합격통보는 어떤식으로 오나요? [9] 레너블8841 16/08/16 8841
88387 [질문] 에어컨 싼 시기? 구입 시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5] PoLo9724 16/08/16 9724
88386 [질문] 부동산 복비 잔금 치를때 주는건가요? 그리고 복비 금액 질문입니다. [14] K55438 16/08/16 5438
88384 [질문] 삼국지12 공략 질문입니다. [3] 소주의탄생4823 16/08/16 48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