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8/11 10:02:12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공무원과 대기업공기업 소득차이 크나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8/11 10:05
수정 아이콘
소득차이야 좀 있지만 많이 받으면 그만큼 일해야돼요
싸구려신사
16/08/11 10:08
수정 아이콘
제주변을따져보면... 공무원과 대기업은 두배정도차이가 나네요.
16/08/11 10:10
수정 아이콘
당장은 차이 엄청 크죠.. 대기업 초봉 4000전후라고 보면 9급은 군대 다녀오셨어도 실수령 200 겨우 찍으니까요
그래도 정년이 보장된다는 점과 연금 감안하면 생애소득 관점에서는 더 나을 수도 있고.. 아니면 못따라갈수도 있고..

별개로 행복은 소득순이 아니니까 너무 유념치 마세요 크크
16/08/11 10:11
수정 아이콘
업무 강도 자체가 다른데 같은 연봉일수는 없죠..
피지알뉴비
16/08/11 10:24
수정 아이콘
업무 강도를 감안해도 연봉차이가 클 것같아서요 ㅠㅠ
버스를잡자
16/08/11 10:14
수정 아이콘
공뭔이 짱이에요..

슬퍼하면 안되고 되려 자랑해야 함..
피지알뉴비
16/08/11 10:29
수정 아이콘
요즘 취업난에 공무원되면 천만다행이다, 시험 경쟁률보면 하고싶어하는사람 널렸다는 생각이 드는것자체가 회의감이 들어요ㅠㅠ
辛만두
16/08/11 10:14
수정 아이콘
공무원 시험보신 목적이 안정성이라면 포기해야 하는 부분도 있다고 생각해요..
16/08/11 10:30
수정 아이콘
연소득을 따지자면 공기업과 대기업이 공무원보다 넘사벽 수준으로 높습니다.
호봉이 쌓이면 급여가 올라간다 하나, 같은 호봉의 대기업/공기업은 그보다 훨씬 더 올라가 있습니다.
다만 공무원은 안정성이 매우 높습니다. 공무원을 100으로 보면 공기업은 90, 대기업은 40쯤 되는 느낌입니다.
무무무무무무
16/08/11 11:00
수정 아이콘
이 수치 꽤 와닿네요. 급여로 치면 대기업이 100, 공무원이 40 정도 되는 수준이니까요.
Cazellnu
16/08/11 10:32
수정 아이콘
뭔가 자꾸 비교만 하려하면 생각이나 삶이 피폐해집니다.
건강한 경쟁이나 자극이 꾸준한 자기개발 같은게 아니라 열등감이나 박탈의식 등이 늘어가는 것이죠.
그러면 무엇을 봐도 뭘해도 비교를 하고 줄을 세우고 결과만을 추구하게 되며 즐거움이나 행복과는 거리가 멀어지게 되는것이죠.
어느정도 만족을 하는 생각을 가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피지알뉴비
16/08/11 10:47
수정 아이콘
일침 감사드립니다.

과거에 제가 기초생활수급자였는데...국가 공인으로 가난하다 해줄 정도면 생활수준 많이 안좋았던게 맞지요. 고등학교때까지 집 화장실이 푸세식이었던 것이 기억나네요. 대학에도 공무원에도 저소득전형이 있는데 저는 이것을 활용하지도 못했습니다. 스무살때는 집에만 박혀있었고 군대갔다오니 수급자는 끊겨서요.

나도 친구들만큼 취업할 잠재성이 있었는데 이런 환경때문에 아예 박탈당한것에대한 회의감이 큽니다. 제책임이 없는건 아니지만요.

집떠나고 서울올라와서 비정규직알바하면서 전전긍긍하며 살았습니다.

뭔가 내 잘못은 작은데 차별당하는느낌입니다... 적고보니 노골적인 피해의식이군요 ㅠㅠ 극복하고싶네요.
16/08/11 10:33
수정 아이콘
사실 대기업은 대기업으로 뭉뚱그리기엔 차이가 꽤 크죠. 연봉 잘 주는데를 기준으로 보자면 차이가 한 두 배 정도 나죠. 근데 그런 데는 9급이랑 비교할게 아니기도 하고.. 질문글에 훈장질 하는것 같아 조심스러운데, 윗분 댓글대로 좋은 면을 보시는게 좋을거에요. 좋게 보자면 안정성 차이 많이 나서 평생 급여로 따지면 비슷해지기도 하지요. 저녁이 있기도 하고...
16/08/11 10:39
수정 아이콘
친구들이 대부분 대기업 아니면 공무원이라서 비교가 되는데..

차이가 생각보다 굉장히 많이 납니다..

공무원친구가 3000좀 안되던데, 현중다니는 친구는 6000넘어가요

공무원친구는 연차로 조금씩 휴가 나가는데, 현중다니는 친구는 이번 여름휴가 19일받았고, 가을에 자기 계발 휴가1주일 또받습니다.

물론 업무강도의 차이는 있죠, 하지만 복지나 생애소득으로 다따져도 절대 못따라 갑니다.

현대쪽 친구들은 안정성도 보장되니까요. (삼성쪽 친구들은 퇴직준비하는게 함정..)
회색사과
16/08/11 10:50
수정 아이콘
연금을 감안해도... 공무원들은 퇴직금이 없으니[없다기보다는 연금으로 받으니까요] 단순히 수입으로만 보면 대기업이랑은 차이가 크죠...
[대기업도 대기업 나름이긴 하죠.. 대기업끼리도 연봉 차이가 많이 나니까요.]
다만 대기업 직원들은 언제 짤릴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가지고 일해야 한다는 게 있는거고...
공무원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근무 강도와 저녁있는 삶을 살 수 있는 거구요..
추구하시는 삶의 방식이 뭐냐에 따라 다른거죠 뭐..
16/08/11 11:00
수정 아이콘
공기업도 편차가 엄청 큽니다.. 연봉적은곳은 월급 170부터 시작합니다. 그걸 보완해주던 호봉제도 이번에 성과연봉제 도입으로 없어지는 추세이고 괜찮은 몇개 공기업 빼고는 '좋은직장 공기업'으로 묶기가 어려울듯 합니다.
Cazellnu
16/08/11 11:01
수정 아이콘
사실 각하께서 공공기관정상화라는 미명아래 공기업들도 많이 쪼아댔죠.
무무무무무무
16/08/11 11:06
수정 아이콘
그래서 공기업이 가장 좋은거죠. 안정성도 있고 급여는 높고.

기초생활수급자였다고 하셨는데.... 음. 사실 부모님 도움 못받으면 공무원 9급 좀 척박합니다. 중급 정도의 직업에서 거의 유일하게 안정성이 담보되긴 하는데 당장 가장 돈이 많이 들어가야 하는 시기에 돈이 하나도 없거든요. 냉정하게 얘기하면 집값 싼 지방 내려가서 혼자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사는 것 정도까지는 가능한데 결혼 육아는 꽤 어렵죠. 그래서 독신자가 많은 직업이기도 하고요.
피지알뉴비
16/08/11 11:25
수정 아이콘
일단 합격한다하면 서울시공무원이 될거같은데 월 230은 받는다더군요. 지금 살고있는 임대주택 방세가 30정도니 월200이면 부모님도움없이 먹고살만은 한거같아요. 결혼육아는 먼세상 얘깁니다.
아리골드
16/08/11 11:23
수정 아이콘
단순계산하면 대기업에서 20년간 번 소득을 공무원에서는 40년동안 받는거죠.
현재가치 미래가치 이런건 계산하지 않고요
카푸치노
16/08/11 11:24
수정 아이콘
9급공무원은 대기업까지 안가도 중견기업이랑 비교해도 수입은 작은걸로 알고 있는데..

주변지인중에 대기업 다니다가 그만두고 9급 다니다가 다시 7급 시험봐서 들어간 사람 있는데 (승진시험 말고..)
대기업의 실적 줄세우기같은 경쟁체제가 너무 숨이 막혀서 탈모까지 왔는데 9급 다니고 탈모가 좋아졌답니다.
이 정도면 9급 공무원도 괜찮지 않나요?
무무무무무무
16/08/11 11:48
수정 아이콘
그게 가장 좋은 테크입니다. 젊었을 때 대기업 들어가서 빡세게 벌고 어느정도 돈 모아서 공무원 붙어서 느긋하게 일하고.
겨울삼각형
16/08/11 11:26
수정 아이콘
제와이프가 공무원이고.. 제가 모기업다니고 있습니다.

월급수령액으로따지면 제가 2배정도됩니다.
년간으로 세후수입으로 하면 2.5배정도..


하지만 제가 얼마나 더 이돈받으며 다닐수 있을지 미지수입니다. 입사 10년차인데, 입사 후 여러팀 전전하고있는데, 직급으로 하위3순위 벗어난적이 없습니다. 지금도 저희파트 막내..
피지알뉴비
16/08/11 11:45
수정 아이콘
연봉1억 가능하시겠네요~

업무강도가 높더라도 소득 2.5배인 만큼 높진 않을거같아요~
스쾃하는야옹이
16/08/11 22:53
수정 아이콘
공무원이 주5일 8시간 근무한다고치면... 주중근무+가끔주말근무하면 얼추 2배될것같아요..
16/08/11 11:28
수정 아이콘
제가 공무원이고 제 동생이 공기업(발전소)를 다니는데, 제 세전연봉(2년차)은 3천 후반, 제 동생은 2년차에 세전연봉 6천입니다. 봉급만 1.5배 차이고 복리후생도 공기업이 더 좋습니다. 공기업은 심지어 집도 나오더군요. 거의 모든 면에서 공기업은 공무원의 상위 버전이고 나쁜 점은 지방근무와 교대근무입니다.

연금은 깎일 일밖에 안 남았기 때문에 생각하지 마시고요. 오히려 공무원은 사기업을 다녔던 나이 많으신 분들이 더 만족도가 높은 것 같습니다.
소독용 에탄올
16/08/11 12:02
수정 아이콘
정년을 채우고 연금을 받으며 평균기대수명을 채운다는 전제하에서 계산해도
규모상 대기업(상시근로자 300인이상...)중 상당수에 대해서는 평생기대소득(재직기간 연봉+연금)상 공무원이 그리 밀리지 않습니다.
대기업집단(상호출자제한집단) 정도 되야 평생기대소득이 공무원보다 높아질 겁니다.
(9급공무원이 30년재직후 81세까지 연금을 받으면 생애소득이 10억대 중반~후반정도 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공기업은 대부분 공무원보다 생애소득이 높습니다.

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정년'을 채우고 연금을 받으며 기대수명까지 산다는 한국 노동시장에서 다소 달성하기 어려운 전제를 가정한 상태죠.
정년을 못채울 공산은 민간기업 쪽이 압도적이기 때문에 공무원쪽이 실제로는 좀더 유리한 점이 있습니다.
어둠의노사모
16/08/11 12:09
수정 아이콘
공무원 그렇게 급여 안 적습니다. 초년생때나 적어서 고생 좀 할뿐. 그리고 일을 훨씬 많이 하는데 당연히 대기업이 돈을 많이 받죠... 시급으로 따지면 공무원이 더 높을지도 몰라요
사악군
16/08/11 12:14
수정 아이콘
대충 2배 잡으심 됩니다.
Arya Stark
16/08/11 13:08
수정 아이콘
글과 댓글을 보니 대기업이 더 좋다고 생각하시는것 같은데 비교하면서 괴로워 마시고 이직을 하는 방법을 찾아보세요
호느님
16/08/11 14:00
수정 아이콘
공무원이라고 다 칼퇴는 아니구요. 봉급 부분은 대기업에 비하면 적지만 일반 중소, 중견기업보다는 많은 수준입니다.
외화버는김선생
16/08/12 01:19
수정 아이콘
7급에 준하는 공무원 16년차, 작년 연봉 5500 정도. 박사후 대기업 3년차 연구원 작년 연봉 8500 정도라고 합니다.
16/08/12 07:07
수정 아이콘
지금은 그렇게 대기업이 좋아 보일지라도 40대중반이 되면 역전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8134 [질문] 도쿄에서 당일로 혼자 다녀올만한데 있을까요 [4] HeavenlySeal2724 16/08/12 2724
88133 [질문] 윈도우 10 질문입니다. [14] SCV2855 16/08/11 2855
88132 [질문] [LOL] 내일 플레이오프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40] 리들3271 16/08/11 3271
88131 [질문] [오버워치] 안끊기고 하고 싶어요 ㅠ [17] 오구오구마시따5761 16/08/11 5761
88130 [질문] 감사합니다. [8] 삭제됨3414 16/08/11 3414
88129 [질문] 취준생 여친 문제 입니다.. [45] 신입사원10083 16/08/11 10083
88128 [질문] 영웅전설5 세이브파일 공유해주실 분 있나요? [2] 아름답고큽니다2944 16/08/11 2944
88127 [질문] 신차구입 질문(준중형 vs 중형 / 세단 vs SUV) [13] 머린이야기6189 16/08/11 6189
88126 [질문] 무선 공유기 고가형을 설치하면 나아질까요? [4] 게롤트2802 16/08/11 2802
88125 [질문] 이거 피지알 광고인가요? [16] 소야테3463 16/08/11 3463
88124 [질문] [스타1] 요즘 밸런스는 어떤가요? [3] Mosby2989 16/08/11 2989
88123 [질문] 남자 쌍가마+직모 머리 대처법 [2] Genius7525 16/08/11 7525
88122 [질문] 자주 나오는 공무원 vs 대기업 논쟁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요 [26] 삭제됨11741 16/08/11 11741
88121 [질문] 블소 스토리하고 맛만 보려고 하는데 수월평원까지만 하면 되는건가요?. [4] 고스트2768 16/08/11 2768
88120 [질문] 차량이 긁혔습니다 [12] 라인하르트2841 16/08/11 2841
88119 [질문] [오버워치] 공격때 할만한 캐릭터 없을까요? [19] 오즈s3170 16/08/11 3170
88118 [질문] [오버워치] 트롤링 체감 어떠신가요 [8] 다레니안3463 16/08/11 3463
88117 [질문] [하스스톤] 투기장 몇승을 하면... [11] 마르키아르4066 16/08/11 4066
88116 [질문] 펜타포트 락페갑니다~ 맛집 추천 부탁드릴게요! [1] 방민아이유2439 16/08/11 2439
88114 [질문] 25톤 트럭에 관해 지식이 있으신분 계신가요? [1] 건이강이별이3284 16/08/11 3284
88113 [질문] [헬스,크로스핏] 체성분측정값 질문입니다 [18] 재입대3123 16/08/11 3123
88112 [질문] 김포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사계절 치킨3754 16/08/11 3754
88111 [질문] 이 아이템은 뽕뺐다 싶은 인생템 있으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44] Secundo7706 16/08/11 770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