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7/30 04:01:26
Name PoLo
Subject [질문] 전세권설정 vs 전세보증보험에 관하여 질문 좀 할게요
이번에 생애 처음으로 전세로 아파트로 들어가게되었습니다. 비수기라 그런지 전세 구하기도 힘들었고 기껏 팔품 열심히 팔아서 계약할려고 하니
등기부등본에 대출이 너무 많아 계약도 포기하고 이래저래 전세집 구하기가 여간 힘들더군요..ㅠ
본론으로 들어가서 이미 계약은 한 상태이며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도 바로 했습니다.
등기부등본도 계약 당시 본 결과 아주 깨끗했습니다. 대출이 하나도 없더군요. 그리고 혹시나 몰라 계약끝나고 1주일 정도 뒤에 한번 더 등기부등본 떼어 확인한 결과 깨끗하더군요.
여기서 대출이 하나도 없는 아파트에 들어가게 되어서 기쁘긴한데, 혹시나 나중에 잘못되면 어쩌지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여. 전세권설정은 알고있었는데 좀 찾아보니 전세보증보험이란것도 있더라구요.
굳이 대출도 하나없는데 나중에 보증금 못돌려받을까바 전세권 설정이나 전세보증보험을 들어야 할 필요가 있을까요?
만약 둘 중에 든다면 어느것이 나을까요? 비용적인 측면이나 나중에 혹시 잘못되었을 경우 대비해서요.
아파트 전세는 2억1천에 들어갔고 매매가 시세를 보니 보통 2억6천 정도에 매매가 되는거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7/30 07:41
수정 아이콘
매매가액의 80%면 약간 높은수준이긴 하지만 그래도 양호한거같아요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만 제대로 해놓으셨다면 하실만한건 다 하셨다고 생각되는데 그래도 못 미더우시다면 서울보증보험에 가입하는것도 있긴해요 수수료는 백만단위정도 들거구요
16/07/30 09:20
수정 아이콘
집주인 동의가 없으면 보험 가입도 힘들겁니다. 비용은 80만원 전후쯤 되겠네요. 2년에 그 정도 비용을 들이고 맘 편하게 있을 수 있다면 나쁜 선택은 아닌 것 같습니다.
아마안될거야
16/07/30 09:32
수정 아이콘
저라면 동의받고 하겠습니다 나중에 돈문제로 소송가나 하면 정말 엄청 고통받습니다...지금 제가 그런상황이거든요
갈매기
16/07/31 10:04
수정 아이콘
전세권 설정은 집주인 동의가 필수죠 집주인의 여러 문서가 필요하니까.

보험은 도시주택공사일 경우 집주의 동의는 필요없고 미리 알리고 가입하면 됩니다.

두 가지 경우중 제가 알아봤을 때는 보험이 훨씬 나았어요

일단 도시주택공사에 전화상담해보시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7441 [질문] 은행에서 일하게 되면 엑셀을 많이 사용하나요 [6] 오구오구3524 16/07/31 3524
87440 [질문] 후쿠오카에 갑니다! 간식 추천해주세요! [7] 도시의미학3076 16/07/31 3076
87439 [질문] 영화 '빅쇼트' 관련해서 읽을만한 경제 서적이 있을까요? [4] moonland2576 16/07/31 2576
87438 [질문] 갤 s6 쓰시는분들 충전기 케이블 안녕하신가요? [12] 유니꽃2602 16/07/31 2602
87437 [질문]  수학, 과학관련 재밌게 보신 다큐멘터리가 있으신가요? [5] 쉬군2396 16/07/31 2396
87436 [질문] 아이폰 와이파이 연결오류문제 [1] Hybrid7195 16/07/31 7195
87435 [질문] [오버워치] 잘할려면 뭘해야될까요? [9] 순수한사랑3134 16/07/31 3134
87434 [질문] 핸드폰 구매 문의합니다,, 중국 현지 구매 화웨이 vs 국내 약정 구매 [1] quoipour2210 16/07/31 2210
87433 [질문] 윈10 → 윈7 다운그레이드 후 다시 업그레이드 가능한가요? [3] 라쎄2909 16/07/31 2909
87432 [질문] 건대 노래방, 맛집 추천해주세요! [3] 하카세3043 16/07/30 3043
87431 [질문] 공연 가시는 분들 질문있습니다. [1] 굼시2009 16/07/30 2009
87430 [질문] pc 파워 고주파 질문입니다 [6] 맥아담스2759 16/07/30 2759
87429 [질문] 옛날 일본 음반 구할 수 있는 곳 알고 싶습니다. [4] 트루키4549 16/07/30 4549
87428 [질문] 호주경험있으신분? [9] 믹키2223314 16/07/30 3314
87427 [질문] 제가 15년 동안 알아내지 못한 기술 커맨드(발동조건) [1] 에빙구5396 16/07/30 5396
87425 [질문] [오버워치] 멈춤현상에 대해서 [5] 오연서12993 16/07/30 12993
87424 [질문] 본인은 자기 냄새에 관해 얼마나 무감각할까요? [17] 남자의일격6749 16/07/30 6749
87423 [질문] 네비 +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질문입니다 [3] 스타4073 16/07/30 4073
87422 [질문] 모르는 사람이 제 이름과 전화번호 주민번호를 알고있다면 위험한가요? [11] PoLo8164 16/07/30 8164
87421 [질문] 면접 노하우가 있을까요? [5] 콜라곰2769 16/07/30 2769
87420 [질문] 에어컨 전기료 직접 계산해보신분 있나요? [10] kongkaka6577 16/07/30 6577
87419 [질문] 서울 가볼만한 곳 추천부탁드립니다. [6] for4ndroid3389 16/07/30 3389
87418 [질문] 남자 6인팟 부산 여행 질문드립니다! [4] 산악왕트래킹2603 16/07/30 260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