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7/30 02:59:15
Name Ahri
Subject [질문] 우리나라에서 역사교육 많이 시키는편 아닌가요?



제가 문과였고, 고2~3때 한국 근현대사를 배워서 그랬던건진 몰라도
어릴때부터 국사교육을 끊임없이 받았던 기억이 나는데요.

타 사이트에서 역사관련 논쟁이 붙었는데 다른분이 "우리나라 역사교육 너무 안시킨다" 라는 얘기가 있길래
궁금해서 제가 학창시절때 배운 역사교육시간을 생각해보니 생각보다 많았던 기억이 납니다.

우선 초등학교 고학년때 처음으로 역사를 배운 기억이나고
중 2~중 3때 국사과목이 따로 있던걸로 기억하구요.
고1때도 주3시간씩 국사교육을 받았으며
고2~3때 한국 근현대사 교육을 받았습니다.

지금와서 생각해보니 우리나라에서 역사교육이 생각보다 많이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하나더 궁금한게... 외국에서는 역사교육을 어느정도 수준으로 진행하는지 궁금하네요. 혹시 아시는분은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7/30 03:55
수정 아이콘
우선 현재 대1인 아는 동생은 중학교 이후로 국사공부를 한적이 없답니다. 선택이었대요...
티비보다가 진짜 간단한 질문이라고 생각한거 답변 못하는거보고 하...
16/07/30 04:04
수정 아이콘
고1때 필수로 주2시간인데 우리학교는 주3시간이다라고 국사쌤이 말해주셨었는데....
선택이된거라니....
Anthony Martial
16/07/30 03:59
수정 아이콘
나이가 몇살이신지 모르겠는데
언젠가 국사교육이 필수에서 선택으로 바뀌었을겁니다

학교커리큘럼에 따라 하는 곳도 안하는 곳도 있죠
16/07/30 04:03
수정 아이콘
헉... 충격이네요 언제부터 바뀐거죠? 제 나이는 25살입니다.
Anthony Martial
16/07/30 04:15
수정 아이콘
2005대입 수능부터인가
어쨌든 사탐에서 국사가 선택과목으로 되었죠
그래서 학교에 따라 안하는 학교도 있었을겁니다
(애초에 정규수업편성에 사탐 십여개를 다 넣을수가...제 기억에 서울대는 국사 필수였던걸로...)

2017년 부터는 국사가 필수가 된다고 하던데
정확히는 모르겠네요
오스카
16/07/30 07:59
수정 아이콘
수능칠 때만 선택과목이 되었던 거지 고등학교 필수교육과정이어서 안 배우는 학교 없이 무조건 다 배우게 되어있었습니다.
어둠의노사모
16/07/30 04:42
수정 아이콘
국사는 수능이 선택과목화되면서 국사 선택만 필수가 아닌걸로 빠진거지 고등학교 1학년 필수과목, 국민공통과정이기 때문에 무조건 배웁니다. 안 배우는 학교 없어요. 교육과정상 배우는 분량만 보면 예전과 크게 달라진 게 없습니다. 수능에 넣니 마니 로 설왕설래 하는거죠. 한국사가 2009교육과정 개편하면서(국민공통과정이 중3과정으로 내려가면서) 고교 필수과목에서 빠진 시기가 딱 1년 있는데, 바로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었습니다.
16/07/30 05:15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 교육 안 받아봐서 모르겠는데, 나름 많이 시킨다고 생각합니다. 이과였는데, 초등학교 고학년 이후로 고1때까지 역사 안 배운 적이 없으니까요.
단지, 교육 시킨다해도 제대로 기억하기 힘들거나 기억하지 못하는 거고, 개인적으로 이거에 대해 크게 문제 삼지 않습니다.
길가다가 누구 붙잡고 교육과정에 있는 드브로이 물질파 파장 공식이 뭐냐고 묻거나 해양성 기후와 지중해성 기후의 차이가 뭔지 물으면 대답 제대로 못하는 사람 많을텐데요 물론, 저도 오래되서 가물가물 합니다. 역사 잘 알고 있는 게 칭찬 받을거리는 되지만 모른다고 비난 받아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꽁꽁슈
16/07/30 06:31
수정 아이콘
역사 교육은 굳이 학교에서의 정규 교육 과정이 아닐지라도 여러모로 자연스럽게 삶 속에 녹아들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른들로부터 듣는 옛날 이야기, 위인전 및 역사 관련 서적, 유적지 탐방, 역사 박물관 및 전시회, TV 사극 및 역사 속 인물 관련 공연 등 다양한 경로로 매우 어린 나이에서부터 역사 교육을 직간접적으로 접하게 되니까요. 또한 소풍과 달리 수학여행이나 체험학습은 유명 유적지로 가는 경우가 많기도 하고요. 사실 학교에서도 국사라는 별도 과목의 유무만 시기별로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전 기간에 걸쳐 사회 과목의 일부로서 역사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고등학교는 대학 입시 준비와 문이과 구분의 영향으로 이전에 비해 체계적인 역사 교육이 현실적으로 잘 안 이루어지는 것이죠.
무무무무무무
16/07/30 09:29
수정 아이콘
일단 헬조선은 까고 보자는 분위기가 팽배해선 그런거고 북한, 중국 같은 전체주의류 국가들 말고는 거의 가장 많은 축이 아닌가 싶습니다.
오리엔탈파닭
16/07/30 11:45
수정 아이콘
시키긴 많이 시키죠. 학생들이 별 필요 없으니까 안하는 거죠.
달과별
16/07/30 12:04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자국 역사를 거의 안 가르치는 나라도 상당히 많은 편입니다.
다만 동일하게 고등학교 선택과목에서 역사를 택한다는 가정 하에는 한국이 뒤쳐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7461 [질문] 원래 회사에 휴가/연차 따로따로 있나요? [8] 신입사원3819 16/07/31 3819
87460 [질문] 제습기 써 보신 분 계신가요?? [17] 생선가게 고양이4516 16/07/31 4516
87459 [질문] 20대 중반 남성이 키가 자랄 수도 있나요? [13] Keynes19058 16/07/31 19058
87458 [질문] 컴맹이 질문하나 드립니다 공무원2017 16/07/31 2017
87457 [질문] 일일 전기 사용량 확인 [2] 마스터충달4730 16/07/31 4730
87456 [질문] 모니터 선택 고민중입니다 [2] 톰슨가젤연탄구이3058 16/07/31 3058
87455 [질문] [스타1] 아프리카에 이제동 추정 플레이어 어떻게 생각하세요? [17] yangjyess6539 16/07/31 6539
87454 [질문] 길동역 부근에 초밥도시락 파는곳이 있나요? [2] 삭제됨2007 16/07/31 2007
87453 [질문] 제이슨본 보신분들? (스포) [20] Piloted Shredder2578 16/07/31 2578
87452 [질문] 네이버 쇼핑 꿀팁 + 네이버 쇼핑 알고리즘? [8] 어디쯤에3557 16/07/31 3557
87451 [질문] (게임추천) 스토리 좋은 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18] 삭제됨4583 16/07/31 4583
87450 [질문] 윈도우10 바탕화면 이상해요 [2] 낮소나밤아리6225 16/07/31 6225
87449 [질문] 신토익 관련 질문입니다 [2] 삭제됨1680 16/07/31 1680
87448 [질문] 돈으로 환산하면 얼마정도 될까요? [1] 비야레알1984 16/07/31 1984
87447 [질문] 이대 시위관련 궁금한 점이있습니다. [4] 홍수현3339 16/07/31 3339
87446 [질문] 파리가 자꾸 어디서 날아오는 걸까요. [4] 도도갓4191 16/07/31 4191
87445 [질문] [서든2] 망함에, 선정성의 영향이... [23] 마르키아르4013 16/07/31 4013
87443 [질문] [오버워치] 실행도중 화면이 멈추면서 컴퓨터가 다운됩니다. [5] WarJoy6321 16/07/31 6321
87442 [질문] 절도 당한거 같습니다 범인은 누군지 예측이 가능하구요 [8] 동네형4104 16/07/31 4104
87441 [질문] 은행에서 일하게 되면 엑셀을 많이 사용하나요 [6] 오구오구3508 16/07/31 3508
87440 [질문] 후쿠오카에 갑니다! 간식 추천해주세요! [7] 도시의미학3062 16/07/31 3062
87439 [질문] 영화 '빅쇼트' 관련해서 읽을만한 경제 서적이 있을까요? [4] moonland2557 16/07/31 2557
87438 [질문] 갤 s6 쓰시는분들 충전기 케이블 안녕하신가요? [12] 유니꽃2554 16/07/31 25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