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7/29 12:56:42
Name 성수
Subject [질문] 게임질때 gg쓰는건 스타가 처음인가요?
게임질때 gg쓰는건 스타가 처음인가요?

e스포츠경기에서 게임을질때는 gg라는 표현을 쓰는데요

이 gg라는게 스타크래프트 게임에서 생겨난 표현인가요??

스타리그 보다가 갑자기 궁금해서 질문 드려봅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사무
16/07/29 13:02
수정 아이콘
예전부터 외국 게임에선 GL GG HF 등은 쓰이던 걸로 압니다.
Tyler Durden
16/07/29 13:1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선 즐겜이 비슷한 표현같은데 첫유래를 찾기란..
16/07/29 13:30
수정 아이콘
스타, 특히 방송경기 때문에 널리 퍼진 건 확실한 거 같아요.
알팅이
16/07/29 13:30
수정 아이콘
최초는 정말 모르겠는데 퍼진건 스타크래프트 시절이 맞는거 같아용
pgr-292513
16/07/29 14:04
수정 아이콘
스타 초창기에 이미 게임잡지에서 gg등의 약자가 소개된걸 본 기억이 나는듯 한걸 보니
아마 없던말이 생긴건 아닌거 같습니다.
물론 퍼진건 스타덕인듯 하고요
뽀로뽀로미
16/07/29 15:17
수정 아이콘
스타 pc방 초창기엔 게임 시작할 때 더 많이 썼었습니다. 게임 끝나고 이긴 선수도 gg 쳤고요.
게임 시작할 땐 'good game! 좋은 게임합시다!' 라는 의미로 썼고 게임 끝나고는 승자와 패자 모두 '좋은 게임이었습니다~' 라는 의미로
gg썼었는데 어느 순간, 방송에서부터 gg를 패자들의 항복선언이라는 고정된 의미로 쓰더군요. 방송 특성상 일종의 약속된 용어가 필요했겠지요.
도들도들
16/07/29 17:14
수정 아이콘
게임 끝나고 서로 gg를 주고받는 문화를 이용해서, 불리한 선수가 귓말로 gg를 보내서 유리한 선수로부터 gg를 받아내자는 농담도 있었던 것 같아요. 크크
박현준
16/07/29 18:46
수정 아이콘
거꾸로 알고 계신거 같네요. gg는 원래 좋은 게임했습니다. 라는 항복의 의미었는데 어느순간 부터 베넷이나 공방 같은데서 선지지 (물론 나쁜 의미는 아니었겠지만) 를 치는 사람들이 생겨났죠.
16/07/29 19:11
수정 아이콘
댓글달다 문득 보니까 아이디가.. 혹시 ggman 박현준 님은 아니시져?
짱짱걸제시카
16/07/29 20:04
수정 아이콘
맞을껄요. 오래전부터 활동하셨어요 크크.
16/07/29 18:57
수정 아이콘
완전히 거꾸로 알고 계신겁니다.
gg 이런게 배틀넷이 생기고 외국애들하고 게임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들어온건데
스타 초창기에 외국애들은 게임하면서 시작할 때 good luck(gl) 이나 have fun(hf)을 쓰고, gg는 게임 끝날 때만 썼습니다.
이게 콩글리시처럼 우리나라로 오면서 gg의 의미를 현지화하면서 '좋은게임 합시다'로 변질되어 쓰기 시작했어요.

그래서 저는 처음에 어린 마음에 시작할 때 gg쓰는 사람들을 싫어했었습니다 ;; 무식하다고..
동네형
16/07/29 19:22
수정 아이콘
나우누리 막판에 게시판 운영도 했었던 동네형입니다..

원래 gg의 경우 해외 모뎀플레이에서 패자가 나갈때 채팅하면서 치던 멘트였습니다.
그리고 그 당시에는 오히려 겜하면서 채팅하고 끝나고 얘기도 하고 그런분위기 였구요.

오히려 돌던지는 멘트로 된건 사실 스타가 맞고
스타 초창기 워2 랑 레드얼럿을 외국 유저들이랑 플레이하던 올드유저들 통해서 유행된게 맞겠죠
넘어오면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7397 [질문] 컴퓨터 하드를 하나 더 끼는 것에 대한 질문.. [3] 자전거도둑2544 16/07/30 2544
87396 [질문] 미국에서 게이같다는 발언에 대하여 [18] 문법나치6120 16/07/30 6120
87395 [질문] 웨더텍 카매트.. 국산용은 없을까요? 비싼치킨2601 16/07/30 2601
87394 [질문] 차를 사야 합니다... 추천 좀 부탁드려요.. [38] 핸드레이크6632 16/07/30 6632
87393 [질문] [LOL] 정보를 사용해서 어떤 것을 분석할 수 있을까요??(Data Visualization) [2] JamesH1849 16/07/30 1849
87392 [질문] 가산디지털단지역 인근 술집 추천 부탁드릴게요. [2] 미남주인2845 16/07/30 2845
87391 [질문] 걸그룹. 여가수에 빠삭한분들 질문 드립니다 [4] 아마안될거야2730 16/07/30 2730
87390 [질문] 다이렉트게임즈에서 결재 했는데요.. [7] 비둘기야 먹자3239 16/07/30 3239
87389 [질문] 공랭쿨러 추천좀해주세용 [6] 2Charle3442 16/07/30 3442
87388 [질문] 전세권설정 vs 전세보증보험에 관하여 질문 좀 할게요 [4] PoLo3604 16/07/30 3604
87387 [질문] 게시글 클릭 후 의문의 파일 다운되는 경우 없으신가요? [1] 삭제됨2021 16/07/30 2021
87386 [질문] 우리나라에서 역사교육 많이 시키는편 아닌가요? [12] Ahri2224 16/07/30 2224
87385 [질문] 현재 자격증제도는 좀 문제있지 않나요? [9] 라울3086 16/07/30 3086
87384 [질문] 9월달에 혼자 일본여행을 해볼려하는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까요? [5] 간디가2299 16/07/30 2299
87383 [질문] [왕좌의 게임] 시즌 6 파이널 아리아 씬 질문있습니다[스포유] [7] 거침없이하이2093 16/07/30 2093
87382 [질문] 와인 오프너 사용법 문의합니다 [8] quoipour2860 16/07/30 2860
87380 [질문] 반지의 제왕 재미있나요? [23] 빈라덴닮았다6823 16/07/30 6823
87379 [질문] 지하철 9호선이 유독 사람이 많은 이유가 뭔가요? [10] 아리아5482 16/07/29 5482
87378 [질문] 긴 머리가 예뻐보이는 이유는 뭘까요? [20] Amelie.N7971 16/07/29 7971
87377 [질문] 교통사고 블박에 관한 질문입니다 [3] 삭제됨2726 16/07/29 2726
87376 [질문] 이 신발 제품명 좀 알수 있을까요? [4] 사나다2915 16/07/29 2915
87375 [질문] 그림글자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4] hoho9na2375 16/07/29 2375
87374 [질문] [The Show] 선수 키우기 꿀팁 없나요?? [2] 스팍2367 16/07/29 236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