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7/21 20:21:03
Name krischten
Subject [질문] 공부에 대한질문
안녕하세요.지문을 요약하는 법을 몰라서 공부하고 있는데 실력은 그닥.
수능책보며 요약하는 연습하는데 설명이 이해가 안되요  
그저 요약하면 이렇다고 설명되 있어서 요령을 모르겠어요  
기출논점분석 출제논점분석 지문분석법 이런걸 어떻게 하나요?
학원이나 과외강사를 통해서만 깨달을 수 있는거라면 제가 시간낭비를 한거죠.
혼자 몰겠어요  
영어랑 국어랑 사회를 요렇게 공부해보란 충고 받았는데 터득방법은 어떻게 찾을지 고민에요  
그런데, 위에 분석법 알면 1등급은 따논 당상 맞나요?

과외받을 형편은 아니라 여기저기 귀동냥으로 공부법 듣는데 반 일등이 이랬어요  
책으로 알 방법 좀 알려주세요  
노력해보겠어요  미리 감사해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7/21 20:29
수정 아이콘
어... 이건 진짜 어떻게 방법이 없을 거 같은데;; 일반적인 원칙이 있다기 보다는 직접 그 지문을 보여주시고 그에 대한 설명을 하는 식이어야 될거 같아요. 저는 안해본 방식이라 그런 공부법이 좋고 나쁜지 판단은 어려운데 고1 정도시라면(여유가 있다면) 기초체력 기르는 방식으로는 괜찮아 보여요. 여기에라도 올리시면 제가 시간 되고 그 글을 본다면(...) 답해 드릴 용의는 있습니다만 지문 타이핑하거나 찍어 올리는 시간도 적지 않은데 이해가 안되는 부분을 직접 학교 선생님이나 1등하는 친구에게 물어보는건 어떨까요?
윌모어
16/07/21 20:31
수정 아이콘
이런 질문을 하셔야 합니다
지문을 읽을때마다 '그래서 하고싶은말이 뭔데?'
라고 지문에다 묻는 연습을해야합니다
Knights of Pen and Paper
16/07/21 20:52
수정 아이콘
다독 , 다작, 다상량.

언어는 많이 읽고 많이 써보고 많이 생각하면 자연히 늡니다.

읽으면서 생각하고 스스로에게 혹은 글에게 질문도 하고 반문도 하고 그에 대한 대답을 써보기도 하고 또 써놓은걸 읽고 생각하고 다시 써보고

하는 과정 속에서 실력이 늡니다. 근데 점수는 실력이 는 만큼 바로 늘진 않고, 어느 임계점 까지 경험치를 쌓아 돌파하면 갑자기 점수가 뛰고 그렇게 한 번 올라간 점수는 잘 안내려옵니다.

저는 수능 언어 만점, 대학 입학논술 만점을 받았는데 비결은 딱 저거밖에 없었습니다.

중고등학교때 까지 독서량이 동기들 사이에서도 넘사벽이라 모의고사든 수능이든 제가 읽어보지 않은 문학지문은 만난적도 없었고 비문학 지문도 대부분은 읽어봤거나 유사한 주제에 대해서 읽은 경험이 있었습니다.

요령이라고는 눈꼽만큼도 없이 순수하게 시간을 몽땅 들여서 글과 그 글의 작가와 그 작가의 생애와 시대상을 모두 다 외울정도로 봤습니다. 그리고 요약하고 쓰고 생각하고를 반복했습니다.

그러면 됩니다.
16/07/21 21:59
수정 아이콘
오 이 분 닉네임이... 크크
Knights of Pen and Paper
16/07/21 22:09
수정 아이콘
안타깝지만 게임 이름입니다 크크크
지직지직
16/07/22 04:38
수정 아이콘
글을 읽을 때, 글쓴이와 대화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세요.
서두를 읽으면서 -> 음 흥미롭네, 그래서 이게 뭐 어떻다고?
두괄식 글의 주장문을 읽으면서 -> 오.. 그래? 그럼 근거를 대봐.
마치 좋아하는 이성과 대화를 할 때처럼 리액션을 필사적으로 하시면서 읽으면 글의 내용이 기억에 남습니다.
다 읽으신 뒤에 글을 스스로 요약해 보신 뒤에 국어선생님께 피드백 받아보세요.
사실 요약하는 방법은 굳이 누가 가르쳐줄 필요 없습니다. 치열하게 고민하면서 책을 읽다보면, 뒷장에 글쓴이가 이미 요약해 둔 것을 읽을 수 있거든요... 글을 천천히 정독하신 뒤에, 책을 덮고 백지에다 읽은 내용을 논리적으로 요약할 수 있는 수준이 되면 비문학은 실수로 하나 틀리거나 다 맞거나 합니다.

사실 교과서/수능기출지문을 전부 모아도 텍스트량이 얼마 되지 않습니다. 언어 공부를 아무리해도 독해력이 잘 안느는게 이런 문제 때문입니다.
다독을 통해 이해력이 늘면 영어를 제외한 다른 모든 과목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영어도 100점 싸움은 사실상 논리 대결이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6982 [질문] 내일 양평에 가는데 해장국집이나 냉면집 가볼만한곳 있을까요? [2] Love Fool2501 16/07/23 2501
86981 [질문] 그래픽카드 업글 질문입니다. [8] 베르다지2570 16/07/23 2570
86980 [질문] 현재 한국에서 게이+여자로 트젠 한 남자들 숫자가 많을까요? 아니면 레즈비언+남자로 바꾼 원래여자 숫자가 많을까요?? [8] 선동가6705 16/07/23 6705
86979 [질문] 컴퓨터 견적 관련 질문 드립니다. [4] sealed2778 16/07/23 2778
86978 [질문] 서울 양천구 신정동 부근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삭제됨3284 16/07/23 3284
86977 [질문] 아이폰을 나오자마자 산다면 몇년정도 쓸만할까요? [30] 울트라면이야4067 16/07/23 4067
86976 [질문] 인천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삭제됨2301 16/07/23 2301
86975 [질문] 비스트 앨범 질문 좀 할께요. [2] 아사1560 16/07/23 1560
86974 [질문] 혹시 전단지 제작 의뢰해 보신 분 계신가요? [6] 신동엽2098 16/07/23 2098
86973 [질문] 닌텐도 e 숍으로 구매한 게임 문의드립니다. [4] 총사령관2203 16/07/23 2203
86972 [질문] 이번 웹툰 사태에서 궁금한점이. [33] 고소미3930 16/07/23 3930
86971 [질문]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 이후로 너무 느려집니다. [3] 스팍2950 16/07/23 2950
86970 [질문] 노트북을 새로샀는데요.. 질문좀드릴께용.. [3] 공노비2436 16/07/23 2436
86969 [질문] 우리나라만 수직적 인간관계가 심한가요? [6] 스키너3627 16/07/23 3627
86968 [질문] 짧은 시 한편 영어로 번역도와주실수 있으신가요 [2] 삭제됨3774 16/07/23 3774
86967 [질문] 왕좌의 게임 오베린의 결투 전에 [3] 솔지2790 16/07/23 2790
86966 [질문] [게임]테트리스 온라인 폴란드(TOP)하시는분 계신가요? 기다5448 16/07/23 5448
86965 [질문] 현재 유머게시판에 올라오는 4드립이 뭔지 모르겠습니다. (진지) [9] 준뱀5757 16/07/23 5757
86964 [질문] 피부관리에 관심있는 분들께 질문있습니다. (재생크림관련) [3] 부폰3729 16/07/23 3729
86963 [질문] 우리 집 고양이의 이상한 배변 습관에 대해 문의합니다 [10] 한화이글스2540 16/07/23 2540
86962 [질문] 직장동료 관련상담입니다.. [12] 허벅5460 16/07/22 5460
86961 [질문] vga 클럭 속도가 이상합니다 [4] 김여유3236 16/07/22 3236
86960 [질문] 오버워치 빠른 대전 상대와 같은편 매칭 기준이 뭔가요? [7] 박용택4050 16/07/22 40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