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7/18 10:50:11
Name 꽃미남태규행
Subject [질문] 컴퓨터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직장 생활하다 보니, 컴퓨터의 비중이 정말 큰데..

가끔식 출력이 안되거나, 인터넷이 안되어서 곤란을 겪을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출장 수리를 불러보면,

정말 간단하게 뚝뚝 만지니 끝나더군요..

생활속에 컴퓨터 다루는 법을 배우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7/18 10:53
수정 아이콘
고장이 났을 때 본인이 직접 수리를 시도(검색 등)하거나 커뮤니티 활동을 꾸준히 하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겁니다.
무무반자르반
16/07/18 11:12
수정 아이콘
컴퓨터를 하나 생 조립으로 사시는것도 도움이 많이 됩니다
16/07/18 11:13
수정 아이콘
고장났을때 직접수리를 시도 해서 경험으로 익히는게 가장 빠릅니다.
컴퓨터 오류라는게 정말 접촉불량부터 시작해서 별에 별 이유가 많아서..
16/07/18 11:19
수정 아이콘
정확한 에러코드를 정확하게 검색만 하셔도 해결 가능합니다.
왠만한 문제에 대한 해법은 구글에서 검색만 정확하게 해도 방법들이 나옵니다.

1. 구글에서 검색을 고급지게 하는 법에 대해 공부한다.
2. 에러메세지가 나오면 정확하게 입력해본다.

여기서 좀더 상세하게 잘 알고 싶어지시면 이제 추가적으로 공부를 하셔야 하는데 ..... 작게보면 별거없지만 크게보면 정말 무한히 배워야 합니다.
꽃미남태규행
16/07/18 11:28
수정 아이콘
그냥 부딪혀서 직접 하는 방법밖에 없군요.. 답변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6/07/18 11:48
수정 아이콘
1단계로 지식이 전무할 때에는 그냥 지식인 찾아가면서 고치다가 조금 익숙해지면, 2단계로 구글 찾아가면서 고치다보면 자잘한 고장은 혼자서도 다룰 수 있을겁니다. 컴퓨터도 한번 직접 뜯어보면서 눈으로 각 부품을 확인해보는 것도 많이 도움이 되고요.
뱃사공
16/07/18 12:22
수정 아이콘
요즘은 아닐 거 같지만 예전에 컴퓨터 좀 할려면 포맷을 최소 50번은 해야 된다는 말이 있었는데요(저희 학교에서만 떠도는 말인지는 모르겠으나). 예전에는 그냥 무작정 많이 부딪쳤지만, 요새는 블로그나 사이트 게시판 등에 이런저런 내용이 많이 올라와있어서 그거 보면서 쌓다보면 오류를 하나씩 고쳐나가다보면 어느 순간에는 어떤 오류는 이건 내가 찾아서 고칠 수 있다, 어떤 오류는 이건 안 되겠다. 빼박 수리해야겠다라는 게 감이 오더군요.
일단 컴퓨터와 많이 친숙해져야죠. 저는 예전에 pc관련 잡지도 사서 보기도 했습니다.
Knights of Pen and Paper
16/07/18 15:10
수정 아이콘
컴터 경력 27년차 아재입니다.

일단 컴터에 대한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여러 서적으로요.
그리고 나서 네이버&구글을 활용합니다.

저도 어느 순간부터는 트렌드를 못따라가게 되었는데, 그래도 컴퓨터의 HW/SW의 작동원리나 이런 것들은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기 때문에
네이버&구글에 검색해보고 몇번 트라이 해보면 보통사람들 보다는 훨씬 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론 검색해도 안나오는 것들은 포기하고 지우거나 버리고 새로 사던지 하거나 아님 진짜 중요하고 해결해야하는 거면 각잡고 헤딩합니다.

근데 네이버 없으면 저도 잘... 한 윈도우 xp 까지는 헤딩만으로도 해결을 했는데 요샌 그렇게 열정 쏟을 시간도 없고 많이 복잡해져서 검색 아니면 힘듭니당.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6750 [질문] 삼성노트북9메탈 vs 서피스프로4 [7] beloved4985 16/07/19 4985
86749 [질문] 미국 은행서류 해석 좀 도와주세요. [1] 레모네이드2182 16/07/19 2182
86748 [질문] 간짜장 먹고난 후 물이 생기는 현상? [21] 정지연7941 16/07/19 7941
86747 [질문] 서피스3 쓰시는 분들께 질문! [4] LG.33.박용택2978 16/07/19 2978
86746 [질문] 어머니 모시고 일본에 다녀오려면 어느쪽이 좋을까요? [10] 유라3165 16/07/19 3165
86745 [질문] 캐리어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조폭블루4636 16/07/19 4636
86744 [질문] 가방추천 부탁드립니다!!!(기능성 백팩) [3] Secundo2974 16/07/19 2974
86743 [질문] 친구 아이폰이 앱업데이트만 하면 아이콘이 2개가 생깁니다;; [1] 윤하2434 16/07/19 2434
86742 [질문] 방콕 4박5일 남자 홀로여행 추천 [7] sunize5011 16/07/19 5011
86741 [질문] [오버워치] 경쟁전 배치중인데 질문이 있습니다. [7] 핑크와드2521 16/07/19 2521
86739 [질문] 헤비메탈 트랙 이름 질문입니다. [6] 구밀복검2786 16/07/19 2786
86738 [질문] 직장인이신데 영어못하다가 비즈니스 영어 구사 가능하신분 있으신가요?? [8] aura3919 16/07/19 3919
86737 [질문] 몰타 vs 필리핀 하기나름이겠지만 영어 업 시키기에는 어디가 좀더 나을까요? [12] 삭제됨3516 16/07/19 3516
86736 [질문] 뺑소니 당했습니다. 어떻게 히야할까요.. 반포동원딜러4449 16/07/19 4449
86735 [질문] (진지)메이플 해보려고 하는데 직업추천부탁드려요 [3] 레몬커피3032 16/07/19 3032
86734 [질문] [오버워치] 에임고자가 심해를 탈출하기 위한 캐릭터 추천과 Tip 좀 굽신굽신 [12] 삭제됨7534 16/07/19 7534
86733 [질문] 서머너즈 워 하시는분 계신가요? [10] 하노3587 16/07/19 3587
86732 [질문] 인도에서의 생활...살만한가요? [27] 삭제됨6164 16/07/19 6164
86731 [질문] [WOW] 호드 입문캐 추천부탁드립니다. [26] 성기사5547 16/07/19 5547
86730 [질문] 잠이안옵니다.. 노래 제목좀 찾아주세요 [2] 라됴헤드2804 16/07/18 2804
86729 [질문] for kakao 게임에 문제가 있나요? [7] 레인이3615 16/07/18 3615
86728 [질문] 인천공항에서 김포공항까지.. [5] K53268 16/07/18 3268
86727 [질문] 역대 쇼미더머니 대중적으로 인기있었던 노래들 좀 알려주세요~ [18] 신예terran6297 16/07/18 62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