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7/18 10:50:11
Name 꽃미남태규행
Subject [질문] 컴퓨터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직장 생활하다 보니, 컴퓨터의 비중이 정말 큰데..

가끔식 출력이 안되거나, 인터넷이 안되어서 곤란을 겪을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출장 수리를 불러보면,

정말 간단하게 뚝뚝 만지니 끝나더군요..

생활속에 컴퓨터 다루는 법을 배우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7/18 10:53
수정 아이콘
고장이 났을 때 본인이 직접 수리를 시도(검색 등)하거나 커뮤니티 활동을 꾸준히 하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겁니다.
무무반자르반
16/07/18 11:12
수정 아이콘
컴퓨터를 하나 생 조립으로 사시는것도 도움이 많이 됩니다
16/07/18 11:13
수정 아이콘
고장났을때 직접수리를 시도 해서 경험으로 익히는게 가장 빠릅니다.
컴퓨터 오류라는게 정말 접촉불량부터 시작해서 별에 별 이유가 많아서..
16/07/18 11:19
수정 아이콘
정확한 에러코드를 정확하게 검색만 하셔도 해결 가능합니다.
왠만한 문제에 대한 해법은 구글에서 검색만 정확하게 해도 방법들이 나옵니다.

1. 구글에서 검색을 고급지게 하는 법에 대해 공부한다.
2. 에러메세지가 나오면 정확하게 입력해본다.

여기서 좀더 상세하게 잘 알고 싶어지시면 이제 추가적으로 공부를 하셔야 하는데 ..... 작게보면 별거없지만 크게보면 정말 무한히 배워야 합니다.
꽃미남태규행
16/07/18 11:28
수정 아이콘
그냥 부딪혀서 직접 하는 방법밖에 없군요.. 답변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6/07/18 11:48
수정 아이콘
1단계로 지식이 전무할 때에는 그냥 지식인 찾아가면서 고치다가 조금 익숙해지면, 2단계로 구글 찾아가면서 고치다보면 자잘한 고장은 혼자서도 다룰 수 있을겁니다. 컴퓨터도 한번 직접 뜯어보면서 눈으로 각 부품을 확인해보는 것도 많이 도움이 되고요.
뱃사공
16/07/18 12:22
수정 아이콘
요즘은 아닐 거 같지만 예전에 컴퓨터 좀 할려면 포맷을 최소 50번은 해야 된다는 말이 있었는데요(저희 학교에서만 떠도는 말인지는 모르겠으나). 예전에는 그냥 무작정 많이 부딪쳤지만, 요새는 블로그나 사이트 게시판 등에 이런저런 내용이 많이 올라와있어서 그거 보면서 쌓다보면 오류를 하나씩 고쳐나가다보면 어느 순간에는 어떤 오류는 이건 내가 찾아서 고칠 수 있다, 어떤 오류는 이건 안 되겠다. 빼박 수리해야겠다라는 게 감이 오더군요.
일단 컴퓨터와 많이 친숙해져야죠. 저는 예전에 pc관련 잡지도 사서 보기도 했습니다.
Knights of Pen and Paper
16/07/18 15:10
수정 아이콘
컴터 경력 27년차 아재입니다.

일단 컴터에 대한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여러 서적으로요.
그리고 나서 네이버&구글을 활용합니다.

저도 어느 순간부터는 트렌드를 못따라가게 되었는데, 그래도 컴퓨터의 HW/SW의 작동원리나 이런 것들은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기 때문에
네이버&구글에 검색해보고 몇번 트라이 해보면 보통사람들 보다는 훨씬 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론 검색해도 안나오는 것들은 포기하고 지우거나 버리고 새로 사던지 하거나 아님 진짜 중요하고 해결해야하는 거면 각잡고 헤딩합니다.

근데 네이버 없으면 저도 잘... 한 윈도우 xp 까지는 헤딩만으로도 해결을 했는데 요샌 그렇게 열정 쏟을 시간도 없고 많이 복잡해져서 검색 아니면 힘듭니당.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6717 [질문] 예전에 최악의 영화 리뷰로 [2] Endless Rain2303 16/07/18 2303
86716 [질문] [오버워치] 같이하실분 계신가요? 3097 16/07/18 3097
86715 [질문] 남녀 6명이 1박 2일로 놀러갈 만한 곳 추천부탁드립니다. [1] 김여유2516 16/07/18 2516
86714 [질문] 아파트 매매시 중도금대출에 대해 조금이라도 좀 알려주세요ㅠㅠ. (신규분양아파트 아니고, 저는 집을 파는 매도자입장) 배욘세3841 16/07/18 3841
86713 [질문] 신도림 근처에서 판교가는 버스 있나요? [6] 졸려4012 16/07/18 4012
86712 [질문] 옛날 프로야구 팀중에서... [7] 잘가라장동건2801 16/07/18 2801
86711 [질문] [포켓몬GO] gps 속이는거에 대해 질문합니다 [12] 하고싶은대로4570 16/07/18 4570
86710 [질문] ps vita 중고시세 어떻게 되는지 아시나요? [2] 6262 16/07/18 6262
86709 [질문] 실언을 했습니다. [4] TheLasid3287 16/07/18 3287
86708 [질문] 노트북 일부(24G)가 SSD라서 부팅이 빠르게 됩니다. 이걸 뭐라고 부르나요? [7] 달걀껍질3159 16/07/18 3159
86707 [질문] [스타1] 이영호 대 김택용 아프리카전적이궁금합니다 [8] 시오냥3491 16/07/18 3491
86706 [질문] 컴퓨터 150만원선 견적어떤지 확인부탁드립니다! [12] 에이핑크3898 16/07/18 3898
86705 [질문] [오버워치] 오버워치 메이저 대회는 언제 시작하나요? [1] 아팡차차찻2243 16/07/18 2243
86704 [질문] 현금가와 카드가가 다를경우 [8] 소와소나무4685 16/07/18 4685
86703 [질문] 갤럭시 미생체 질문 어떤날2967 16/07/18 2967
86702 [질문] [오버워치] 한조가 그렇게 안좋습니까? [20] 이호철3912 16/07/18 3912
86701 [질문] 지산 락페스티벌 질문입니다(교통) [1] 시미군3339 16/07/18 3339
86700 [질문] 하루에 물 1L 이상 의식적으로 마시는 분 계신가요? [22] 구경꾼5780 16/07/18 5780
86699 [질문] FPS 게임과 모니터 주사율의 관계 [7] 네가있던풍경5320 16/07/18 5320
86698 [질문] 게임 음악 다운로드 문의드려요 [2] 햇가방3211 16/07/18 3211
86697 [질문] 한국에서 산 아이폰 일본에서 개통되나요 [5] 스핔스핔5235 16/07/18 5235
86696 [질문] 공항라운지 카드이용 질문입니다. [2] LG twins3144 16/07/18 3144
86695 [질문] 고대안암병원 근처 무료주차 할 곳 있을까요? [10] heatherangel11988 16/07/18 1198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