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7/14 12:37:00
Name 신입사원
Subject [질문] 우리나라에 사회 전반적인 개혁은 언제 일어날까요?
자게에서 최저임금 얘기를 보고 궁금해졌습니다.

우리나라도 결국에는 인권을 지키고 하루 8시간 근무가 정상화되는 시기가 오긴할까요?
아니면 그런거는 절대 없을지 .. ?

요새 자게에 윗분들의 멍멍소리가 계속 까발려지는데

이것도 예전에는 그냥 묻혔을 얘기지만 요새는 계속 터져나오는게 그래도 좀 나아졌다?고 보는 편이라

노동개혁은 언제쯤 일어날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7/14 12:3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민주화 운동처럼 피흘림 없이는 불가능 할 것 같습니다.
16/07/14 12:44
수정 아이콘
노동쪽은 피를 흘렸는데도 불가능했다고 봐야죠.
16/07/14 12:51
수정 아이콘
얼마나 사람을 갈아넣어야 하나 회의적이긴 합니다.
미나리돌돌
16/07/14 12:48
수정 아이콘
국민 전반의 의식수준이 바뀌어야하는 문제라, 쉬울 수도 있고 어려울 수도 있죠.
침묵하는자
16/07/14 12:48
수정 아이콘
가장 높으신분의 의지 + 나라의 경제적 여건 + 국민인식 삼박자가 맞아야 가능하겠죠.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16/07/14 12:53
수정 아이콘
이건 규제로 해결하는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중소기업에서 구직을 희망하는 노동자는 쌓여있고, 야근수당 없이 야근하기 싫으면 회사나가라고 해도 그 자리에 들어오고 싶으하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에 경영자 입장에서는 자기가 굳이 손해를 볼 필요가 없는게 현실이죠.
정부차원에서 법으로 근무시간을 정하고 관리, 감독하며 30년~50년정도는 지나야 시민의식이 바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둠의노사모
16/07/14 13:01
수정 아이콘
개혁이라는 게 현대사회에서 혁명 등으로 이루어지기엔 이미 국가기관들의 권한이 너무나 막강하죠. 앞으로는 더 강화될거고.
결국 답은 교육수준이 올라가야 하고, 정치권에서 강력하게 드라이브를 걸어야 하는데,
국민들의 인식 개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사실 국민들의 성향은 정치권에서 어느정도 결정할 수가 있거든요.
대표적인게 교육이고.

결국 개혁이 가능하려면 '경제'위기로 인해 국가 기능 자체가 상실되는 경우까지 가야 가능하겠죠.
Biemann Integral
16/07/14 13:11
수정 아이콘
아직 내 발등에 불이 떨어진 사람이 별로 없어서 개혁은 힘들어 보입니다.
언론도 제 역할을 못 하고 있구요. 만약 노동자의 삶이나 임금 같은 것들을 집중 보도 한다면 개혁은 일어날 수 있겠죠.
하지만 노동자가 죽어나가고, 시위 현장에서 사망하거나 끔찍한 부상을 당해도 민중은 알 수 없는 상황이잖아요.

끓어 오르는 분노를 폭발시킬 수 있는 기폭제의 역할을 아무도 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16/07/14 13:44
수정 아이콘
밑에서부터 일어나는 개혁은 이제 일어나기 힘들고 위에서부터 일어나는 개혁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세대가 바뀌는, 위가 바뀌는 20년 뒤에는 가능할지도 모르겠네요.
신입사원
16/07/14 13:46
수정 아이콘
한마디로 제가 바꿔야하는거네요 제가 50즈음이 되는 그 시대에는 작금의 현실이 많이 나아졌으면 좋겠습니다.
무무무무무무
16/07/14 13:46
수정 아이콘
인구절벽시대가 와서 근로자가 우위에 서면 자연히 바뀔거라고 봅니다.
신입사원
16/07/14 13:48
수정 아이콘
곧이라면 곧이네요 ㅠㅠ 열심히 벌고 있어야 겠어요
무무무무무무
16/07/14 13:53
수정 아이콘
곧까진 아니고.... 지금 중고등학생들이 커서 낳게 되는 아이들은 고용에 있어선 우리보단 훨씬 나은 환경에 있을거라고 봐요.
교육이야 뭐 비교할 것도 없고요. 그 아이들은 한 학급당 15명씩 넣고 북유럽식 수업도 가능하겠죠.
Igor.G.Ne
16/07/14 14:34
수정 아이콘
저는 제 자녀들의 시대는 동남아 계열 이민자들+북한난민들이 중하위 노동시장 대부분을 차지하고
상위 노동시장은 지금처럼 일부계층이 독식하는 리얼 헬조선 시대가 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무무무무무무
16/07/14 14:39
수정 아이콘
하위 노동시장이야 지금도 동남아 & 조선족들이 독식하고 있고 이 추세야 계속 이어지겠죠....
그리고 이민자한테 중위권 일자리 줄 고용주는 없을겁니다. 헬조선은 딱히 경제문제만이 아니라 의식전반의 문제기 때문이죠.
Igor.G.Ne
16/07/14 14:56
수정 아이콘
지금이야 소위 막노동 일자리에 국한되어있는데, 머지않아 IT계열까지도 동남아&조선족이 들어설 것이라고 봅니다.
고용주는 딴거 필요없어요. 한푼이라도 싸게먹히고 1분이라도 더 부려먹을 수 있으면 해당 인력으로 대체하겠죠.
16/07/14 14:02
수정 아이콘
개혁..까진 모르겠지만
앞으로 갔다 뒤로 갔다 하긴 하지만 결과적으로 계속 전진은 하고 있죠
내 기대치보다 느려서 그렇지...
인생의 마스터
16/07/14 14:2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20세기말 급성장을 이룬 동력중 하나가
일 많이 하는 국민특성도 한몫 했죠.
서양의 역사와 비교해봐도 아직 인식의 변화를 기대하기엔 시간이 부족하지 않았나 싶네요.
16/07/14 16:10
수정 아이콘
원래 시간이 걸리는 일이니 포기하지 말라는 외국인의 말을 듣고 공감한 일이 있네요.
사실 지금 어이가 없을 정도의 헛소리가 연일 터져나오는 건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해 추진력을 모으는 타이밍인 거라고 생각합니다. 말같잖은 헛소리가 '누가 생각해도 허튼 소리'로 널리 인식되려면 일단 헛소리가 퍼져서 공분부터 사야겠죠.
16/07/14 19:06
수정 아이콘
튀니지가 민주화 개혁을 이루었지만 지금은 오히려 더 살기 힘들어졌다고 하네요. 우리나라도 개혁하더라도 어떻게 될지 알수 없을 거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6587 [질문] 그래픽카드가 이상합니다. [2] 열역학제2법칙2260 16/07/16 2260
86586 [질문] 힙합 노래, 앨범, 가수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삭제됨4810 16/07/16 4810
86585 [질문] 여자친구의 어이 없는 질문들 다 대답해 주시나요? [21] 뀨뀨7458 16/07/16 7458
86584 [질문] 갤 s7 조건좀 봐주세요 [10] 삭제됨3147 16/07/16 3147
86583 [질문] 어제까지 나오던 hdmi 모니터 소리가 갑자기 안나옵니다. [9] 구글3799 16/07/16 3799
86582 [질문] 마구마구 2016 모바일 인천, 현대 올스타 라인업인데요... 잘가라장동건2799 16/07/16 2799
86581 [질문] 어머니와 제가 폰을 바꾸려하는데.. [2] 클레어2537 16/07/16 2537
86580 [질문] [오버워치] 황금무기는 어떤 캐릭에 주는 게 좋을까요? [9] 이사무7208 16/07/16 7208
86578 [질문] 이것들은 가격들이 전부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5] 총사령관4396 16/07/16 4396
86577 [질문] [LOL] 롤챔스 직관 맥주 마실수있나요? 소녀시대2832 16/07/16 2832
86576 [질문] 서울강북에 시설좋고 기계식 키보드 구비되어있는 피시방 있나요? 프리템포2439 16/07/16 2439
86575 [질문] 스케줄 공유 어플 괜찮은거 있나요? [1] 시오리5447 16/07/16 5447
86574 [질문] 드라마 38사기동대에서 수영 연기.. [13] 이센스5496 16/07/16 5496
86573 [질문] 올해 최다고티는 어떤겜이 될까요? 그리고 어떤게임을 올해가장사랑하시는지? [6] 선동가2797 16/07/16 2797
86572 [질문] UFC 선수들 약물 관련한 질문입니다. [6] Dow3723 16/07/16 3723
86571 [질문] 만화 킹덤 전후 고조선 상황은 어땠나요? [2] 순례자4293 16/07/16 4293
86570 [질문] 영국 런던 가는 비행기표는 어디서 사는게 싼가요? [1] 신입사원2311 16/07/16 2311
86569 [질문] 더 위쳐3의 재미에 대한 질문입니다! [7] 스카야4470 16/07/16 4470
86568 [질문] Beats 헤드폰 AS어디서 되나요? [1] 얕은곰4353 16/07/16 4353
86567 [질문] 담주 월요일 터키항공 타고 터키 경유하는데.. [1] K53991 16/07/16 3991
86566 [질문] [오버워치] 피싱 사이트? Bard35673525 16/07/16 3525
86565 [질문] 1주일에 탄산음료 1.5리터 한 병 마시기 [20] sen vastaan4474 16/07/16 4474
86564 [질문] 집에 재산이 얼마나 있으면 인생이 편해질까요? [52] The Special One13478 16/07/16 1347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