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7/11 18:30:29
Name ...And justice
Subject [질문] 라식,라섹후 불만족(부작용)을 느끼시는분 계신가요?
저는 올 3월에 대구소재 모병원(지역에서 제일큽니다)에서 라섹수술을 받고
만 4개월이 지나서 이번달초부터 자외선차단 안경도 벗고 치료안약도 모두 중단하고 생활하고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만족스럽지만 불만족스러운 부분을 한번 여쭤보고자 합니다.

1.야간 빛번짐은 거의 없어졌지만 저녁되면 전체적으로 눈이 피곤합니다.
   2번에 쓸 내용과 비슷하지만 저녁쯤되면 눈이 어리어리하고 포커스가 제대로 안잡힙니다.

2.어떤 목표물을 바라볼때 그목표물만 선명하게 보이는게 아니고
   전체적으로 포커스가 넓게 잡히면서 아웃포커싱되는 느낌입니다.
   이게 제일 불편한것중에 하난데 멀리도 잘보이고 시력도 1.2정도 나오긴하지만
   목표물을 좀더 선명하게 보기위해서 신경을 집중해서 봐야 예전 안경낀 느낌으로 보입니다.

3.예전 안경꼈을때는 미세한 조립을 위해 눈에서 10센치 안에서 작업을해도 잘 보이던것들이
   현재는 약 25센치 이후부터가 초점이 잡히고 그안으로 들어오면 흐리게 보입니다.
   이건 초점자체가 리셋된 느낌인데 가까운걸 보기위해서 따로 돋보기(?) 같은걸로 해결되는지요?

3번은 이제 다시 예전으로 돌릴수 없는 것 같아서 어쩔수 없는 부분인것 같구요.
지난달 정기검사에서는 예후가 좋다고 의사분이 말씀하셨고 8월에 마지막 정기검사인데
1,2번은 안정화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라섹이라는 수술의 특징때문에 좀더 기다려봐야하는 부분인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7/11 18:44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없던 안구건조증이ㅠㅠ
야릇한아이
16/07/11 19:13
수정 아이콘
외람된 질문일 수 있는데 혹시 나이가 40대 이상이신가요 ?
3번의 부작용은 보통 나이가 있으신 분들이 라식, 라섹에 대한 정보 없이
수술 후 근거리 볼때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인데 ..
25cm 이상의 거리부터 잘보인 다는 것은 노안인 상태입니다.
돋보기가 필요한 시점이 되는거구요. 겁나 불편하실 텐데 ...

그리고 대표적으로 부작용을 호소 하는 부분이
안구건조증 , 빛번짐, 수술 후 시간 경과후 시력감퇴 정도가 많이 보입니다.
...And justice
16/07/11 19:56
수정 아이콘
네 마흔둘입니다
근데 수술전 검사과정에서 아직 노안은 안왔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수술전에는 가까운거 다 보였어요.ㅠ
야릇한아이
16/07/11 20:22
수정 아이콘
그 부분이에요.
수술 전에는 근시 상태이기 때문에 근거리 작업시 불편한 점을 전혀 느끼지 못하지만
수술 후에는 정시로 만들어 주는 거기 때문에 근거리 작업이 불편한 즉, 노안의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선 당연히 수술하는 병원 쪽에서 충분히 설명을 해줘야 했을 부분이며
가까운 거리를 볼때 불편하지 않도록 수술을 했어야 한다는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justice님의 정확한 정보를 제가 알지 못하기 때문에 불가피한 부분인지 병원측의 미스인지
병원측의 설명이 충분 했지만 justice 님이 간과하고 넘어 갔는 부분이지는 알수가 없네요.
...And justice
16/07/11 21:22
수정 아이콘
야릇한 아이님이 말씀하신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었습니다
사실 이 병원이 대구에서 제일크고 많이 하는 병원에 친인척 지인이
병원에 계셔서 담당의로 정하고 저희 남매 4명이서 수술했는데;;
(저만 라섹,다른 형제는 라식)
의사분에게 설명이나 조언을 듣기보다 컨설턴트(?),앞에서 스케쥴 관리하는
간호사(?)분에게 설명을 듣는 경우가 더 많았습니다.
정기점검 하러 갈때마다 눈검사하면서 "예 됐습니다"
이 한마디 후엔 간호사랑 이후 어떻게 어떻게 하면된다 이야기를 했고요.
물론 궁금한건 제가 먼저 물어 봅니다만 ..하루에 봐야할 환자가 많아서
그런가 말을 상당히 아끼고 매뉴얼적인 답변들은 모두 간호사 통해서만
이뤄지니..손님 많고 바쁜 병원은 이게 좀 아쉽더군요
하여간 여러부분을 전부놓고 봤을땐 수술하긴 잘한것 같은데
만족도는 생각보다 별로이다 뭐 이정도네요.
조언,답변 주신 내용 감사합니다.듣고 바로 이해됐네요
야릇한아이
16/07/12 02:45
수정 아이콘
이것 또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3번의 경우가 1,2번을 동반한다 생각합니다.
가까운 거리를 응시할때 눈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일어나죠.
수술 후에 노안(중년환)의 증상이 나타나는 걸로 보아 수정체의 조절력이 충분치 않아 발생하는 점이라 생각합니다.
좀 더 쉽게 풀어서 설명하자면 가까운 거리를 응시할 때 수술 전보다 눈의 근육들이 더 많은 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몸의 상태가 충분히 좋은 오전에는 눈의 근육들이 힘이 충분하기에 피로한것을 못느끼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눈의 힘(눈의 근육들이 수축과 이완을 할 수 있는 힘)이 풀리면서 눈이 피로하거나
초점이 잘 안 잡히는 느낌 혹은 오전보다 오후에 시력이 뭔가 떨어진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원론적인 얘기를 드리면 가까운 거리를 응시하는 시간을 최대한 줄여주시고
여건이 안될 시에는 의식적으로 라도 잠깐 잠깐씩 먼곳(5m 이상이면 충분합니다) 을 바라봐 주는 습관을
들이시면 눈의 피로도를 좀 줄일 수 있습니다.(물론 해결책은 될 수 없죠)

또 다른 방법은 근거리를 볼 때 돋보기를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돋보기의 도움을 받으시면 초점을 맞추거나 저녁에 피로한 정도가 훨씬 나으실 거에요.
안경을 벗기 위해 수술을 했는데 또 안경을 써야 하는 상황이 참 안타깝네요 ㅠㅠ
마브라브
16/07/11 19:13
수정 아이콘
빛번짐은 거의 100프라 들었는데 평소 운전을 안해서 차이를 못느끼네 난 빛번짐 별로 안심하구나 했는데 운전하고보니 이게 꽤 지장이 크더군요. 안구건조증은 3,40프로정도라 들었는데 전 절반정도인듯. 뻑뻑하지만 굳이 약쓸정도까진 아닌. 2,3번은 그렇다쳐도 1번이 심각하네요. 지금은 견딜만해도 나이들면 피로도가 더 심해질텐데...
사토미
16/07/11 19:13
수정 아이콘
의사도 인정한 금수저 케이스라서 부작용을 체험못해봤습니다.

2번은 그리흔한 경우는 아닌듯한데요
오스카
16/07/11 19:54
수정 아이콘
수술한지 6년 넘었는데 부작용은 경험 못해봤네요.
본문의 부작용은 의사랑 상담하셔야 할 것 같네요.
16/07/11 20:50
수정 아이콘
맨눈으로 바람을 오래 쐬면 눈이 금방 피로해지더라구요
오래 하면 잠깐 시력이 나빠졌다가 자고 일어나면 돌아오더라구요
16/07/11 21:07
수정 아이콘
제가 10년도에 라섹을 했는데 빛번짐은 점점 번지더라고요 흐흐
밤에 운전하는게 좀 짜증납니다. 전 한번 더 할 수 있다고 하긴 하는데 굳이 더 하고싶지 않네요
그래도 아침에 일어났을때 맑아서 좋습니다
위 빛번짐에도 불구하고 수술한 것에 대해 후회는 없어요
RickBarry
16/07/11 21:53
수정 아이콘
작년까지만 해도 빛번짐이 심했는데
올해되니까 괜찮아지더라구요
아직까지는 안구건조가 있어서 안약을 수시로 넣어줘야하는게
좀 귀찮네요..
언제까지 넣어야 하는지도 모르겠구요..
프리템포
16/07/12 16:13
수정 아이콘
수술한지 2년짼데 1.0이 아니라 0.5 정도 나와서 그냥 안경 다시 착용 중입니다. 다만 예전처럼 두꺼운 렌즈 끼는 게 아니라 별 불만 없이 다니긴 하네요. 야간 빛번짐은 약간 있는데 운전할 때 불편한 정도는 아니고 그 외 부작용은 없습니다. 시력교정술은 워낙 케이스바이 케이스라서 어느 정도 개인에 따라 받아들여야 하는 부분도 있는 것 같급니다
어른이유
16/07/12 16:53
수정 아이콘
안구건조증에 빛번짐에 눈물마르면 시력도 생각보다 영... 그래도 불편한것보단 편한게 많아서 참고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6382 [질문] 2세대 아이돌 음악 중 어느노래가 가장 인기가 많았을까요? [11] 별이지는언덕3817 16/07/12 3817
86381 [질문] 컴퓨터 견적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4] 등가교환의법칙3087 16/07/12 3087
86380 [질문] 피부를 다시 하얗게 되돌리고싶어요. [2] This-Plus2391 16/07/12 2391
86379 [질문] 리눅스 vim 질문입니다. [10] mcmc3289 16/07/12 3289
86378 [질문] PC.에버노트.동기화. 암호를 계속 입력하라네요? [2] 몽유도원3856 16/07/12 3856
86377 [질문] 크루세이더퀘스트 광고음악 [1] MagicMan2230 16/07/12 2230
86376 [질문] [하소연] 유럽여행 한달 중에 이제 일주일 남았는데 약간 지치네요^^ [33] K54099 16/07/12 4099
86375 [질문] 아마씨 남자가 먹어도 될까요? [2] 삭제됨5681 16/07/12 5681
86374 [질문] [스타1] '온게임넷 스타리그'를 다시 연다면 말이죠..? [13] V.serum4777 16/07/12 4777
86373 [질문] 파리여행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6] peony3217 16/07/12 3217
86372 [질문] [오버워치] 경쟁전 언제 시작하는 게 좋나요? [7] 김여유3176 16/07/12 3176
86371 [질문] (문제 해결) 핸드폰 컴퓨터에 MTP모드로 연결하면 내장메모리/SD카드 둘다 인식이 안됩니다. [6] 콰트로치즈와퍼6589 16/07/12 6589
86370 [질문] 이게 제가 좀스러운 건가요? [44] pulson5686 16/07/12 5686
86369 [질문] 과일채소용 세제릉 설거지에 써도되나요? [7] 세이밥누님2624 16/07/12 2624
86368 [질문] 던파 신규 유저의 질문입니다. [6] 범고래3300 16/07/12 3300
86366 [질문] 원룸 입주 후 전기요금 질문입니다. [2] 상여선인4207 16/07/12 4207
86365 [질문] 중소기업 소프트웨어 단속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12] UnderDoG7200 16/07/12 7200
86364 [질문] 내부순환로 교통 체증 시각 질문입니다. [7] 기네스북2469 16/07/12 2469
86363 [질문] 두뇌싸움 만화 추천 받습니다. [17] 카미너스12955 16/07/12 12955
86362 [질문] 핸드혼 관련한 질문입니다. C92458 16/07/12 2458
86361 [질문] 제주도 렌트카 관련 질문입니다. [10] 어빈4054 16/07/12 4054
86360 [질문] [스타1] 한동욱선수 근황아시는분 계신가요? [3] 너는나의헛개수11969 16/07/12 11969
86359 [질문] [오버워치] 제 컴퓨터 사양인데 옵션설정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12] 자전거도둑3743 16/07/12 37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