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7/09 16:03:34
Name Annnnnnn
Subject [질문] 주말부부.. 질문합니다
내년 봄쯤에 결혼식 하려고 생각중인 예비 신부입니다.
남자친구 직장이 충청남도이고 전 경남 진주에요.
둘다 직장을 그만 두기 힘든 상황이라 주말 부부 하려고 생각중인데... 나중에 육아문제도 그렇고 집을 구하려해도 어디로 구할지도 걱정이고.. 선배님들 조언 좀 구해봅니다. 꼭 직장을 그만두고 합쳐서 살아야할지 아니면 한 3년후 남자친구가 이쪽으로 발령을 받을때 까지 기다릴것인지.. 너무 고민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이스타일
16/07/09 16:21
수정 아이콘
음.... 질문 내용이 이해가 잘 안가는데
어차피 평일은 따로 지내니 집은 두 채가 필요한거 아닌가요?
Annnnnnn
16/07/09 16:28
수정 아이콘
ㅠㅠ 제가 질문을 헷갈리게 적었나보네요.. 주말 부부를 꼭 해야할지 아니면 돈 좀 적게 벌더라도 합쳐서 사는게 맞는건지.. 혹시 경험자분들 계시면 조언이나 경험담이 듣고싶어서요

남자친구는 사택에 살고 전 지금 살고 있는 집이있는데 결혼하게되면 이 집 처분하고 새로 이사가려고해요
가라한
16/07/09 17:21
수정 아이콘
제 주변에 보면 주말 부부들도 꽤 잘들 살던데요.
그런데 주로 남자들이라 여자 분 입장에서는 어떨지 모르겠네요.
한 2-3년 있다가 합치실 계획이라면 무리하게 바로 합치지 않아도 괜찮으리라 생각하긴 합니다.
neogeese
16/07/09 17:27
수정 아이콘
경험자는 아니지만 주변 분들 보면서 느낀점을 말씀 드리면 정답은 없다고 봅니다. 주말 부부로 8년을 보내고 합치셨는데 15년 동안 알콩 달콩 잘 살고 계시는 분들도 있고 주말부부 1년도 안돼 이혼 하신 분들도 있었어요. 결국 서로간에 믿음과 불편한점들 양보해가면 되는 문제라 마음가짐이 중요 하겠죠.
3년후에 남자친구 분이 지금 지역으로 발령 받을수 있는 계획이 있다면야 별 문제 없을거 같네요. 육아 계획도 그 이후로 잡으시면 문제 없을 테고요,
대부분 주말부부로 힘들어 하시는게 외로움 때문인데 구체적인 계획이 있으신 분들 보면 그걸로 위안 삼고 힘내게 된다고 하더라고요.
무무무무무무
16/07/09 17:54
수정 아이콘
답은 없는거라서요. 주말부부하다 쌍으로 바람 핀 케이스도 봤고 신혼부터 주말부부하는데 잘사는 케이스도 봤고....
개인적으로는 주말부부 그렇게 나쁘다고 생각 안해서.... 더구나 2-3년하면 합칠 수 있는데 아이라도 생긴 게 아니면 모를까
그것 때문에 직장 그만두시는 건 별로네요.
어피치
16/07/09 17:55
수정 아이콘
경험자는 아니지만.. 일단 3년정도 주말부부로 지내실 예정이면 자녀계획은 3년 뒤로 미루셔야 하겠네요.

그런데 저는 왠지 이 질문이 맞벌이를 하는 것이 좋겠느냐, 전업주부가 좋겠느냐 하는 문제처럼도 들립니다.
'돈을 좀 적게 벌더라도' 라는 단서라든가, 주말부부를 하려니 육아와 주택 등에 이런저런 고민이 많다고 하시는 점들로 미루어 봐서요.

어쨌든 자녀가 생기신 이후에도 계속해서 직장생활을 하실 생각이라면, 지금 일을 그만두는건 좀 불리하겠지요.
만약에 언젠가는 전업주부를 하실 생각이라면, 굳이 지금 주말부부를 하실 이유가 없구요.
예비남편분이 '3년뒤에는 발령을 받아 진주로 갈테니, 당분간 주말부부로 살자'고 먼저 제안하신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요.

그런데 한편으로는 자녀계획만 뒤로 미룬다면, (임신 출산 육아를 남편없이 혼자서 직장생활 하면서 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봅니다)
맞벌이 부부에게 주말부부는 오히려 좀 편한부분도 있지 싶습니다. 한동안 같이 살다가 떨어져사는게 아니라 처음부터 주말부부로 시작하면 외로움 같은 문제도 딱히 있을 것 같지 않고요.
Annnnnnn
16/07/09 18:57
수정 아이콘
끄앙 고견들 너무 감사드립니다! 자세히 말씀해주셔서 많이 참고할거 같아요!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6271 [질문] 챔스 우승 vs 유로 우승 [24] 마르키아르6546 16/07/11 6546
86270 [질문] 친구들끼리 여행을 가려고 합니다 차량 질문이요 [16] 패스파인더3255 16/07/11 3255
86269 [질문] (PC) 그래픽 카드 업그레이드 할려고 하는데 도와주세요. [4] 히스조커4366 16/07/11 4366
86268 [질문] kt 휴대폰 교체 전화 [2] dragon82373 16/07/11 2373
86267 [질문] 벨트 가죽을 사고싶은데요~ [3] 리니시아4825 16/07/11 4825
86266 [질문] vip 클럽 아시는곳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자스민, 트리니티 같은) [1] Secundo3666 16/07/11 3666
86265 [질문] 코인 노래방이 수익성이 있을까요? [26] 신입사원22047 16/07/11 22047
86264 [질문] PC방 창업준비중입니다. PC 사양한번 봐주세요 [10] 브랜드3592 16/07/11 3592
86263 [질문] 흡연자분들! 처음 담배 폈을때 어떠셨나요? [20] 레너블63723 16/07/11 63723
86262 [질문] 20만원대 테블릿PC 추천 부탁드립니다. NomarK2744 16/07/11 2744
86260 [질문] 연금 복권에 관한 질문 [3] 아이유3211 16/07/11 3211
86259 [질문] 중고차 관련 질문입니다~ [4] Outstanding3310 16/07/11 3310
86257 [질문] [나눔완료] 독일 인스턴트 음식들이에요~ [10] 미남주인4697 16/07/11 4697
86255 [질문] 자동차 베터리 충전 문의 [3] 체크카드2751 16/07/11 2751
86253 [질문] 호날두가 이번 유로 우승한다면 어느정도까지 올라갈 수 있을까요? [33]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6669 16/07/11 6669
86252 [질문] 직장인이 집을 사는 과정 질문입니다. [3] 삭제됨2860 16/07/10 2860
86251 [질문] 모바일에서 특정 홈페이지 접속 차단할 수 있는 방법 없을까요??? [2] 光海2948 16/07/10 2948
86250 [질문] Poketmon Go 하고 계신분 있으신가요? [4] 밀어서 잠금해제4101 16/07/10 4101
86249 [질문] [LOL] 현재 lck 수준이 어느정도인가요? [2] 삭제됨4149 16/07/10 4149
86248 [질문] (NBA) 이 사진이 다른스포츠로 치면 어떤 상황인가요? [20] 파란무테3789 16/07/10 3789
86247 [질문] (KBO) 삼성의 추락원인은 무엇인가요? [20] 파란무테5303 16/07/10 5303
86246 [질문] 얼음과 불의 노래 새 번역본 질문입니다. [7] cald5030 16/07/10 5030
86245 [질문] 티비 스피커 질문합니다 [3] 물어보지마세요2414 16/07/10 24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