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7/07 07:26:13
Name 어디쯤에
Subject [질문] 원룸/오피스텔 전세 vs 월세

안녕하세요, 내년초쯤 이사를 준비하고 있는 직딩입니다. 서울시내에서 혼자 사시는 분들이라면 다들 공감하시겠지만 월세가 너무 비싸요.. 그렇다고 전세를 옮기기엔 대출이나 보증금 때일 걱정에 우려가 되구요.

여하튼 현재 3000 / 35쯤 살고 있는 곳을 3000 / 50~60정도로 올려서 이사 갈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주변에서는 전세 대출을 고려해보지 않냐고 하더라구요. 은행권에서 3% 대출을 받을 수 있으면 이자 비용이 월세보다 훨씬 싸다구요.

3000/ 50~60이면 전세로 1.5 ~ 1.6억, 동네에 따라 오피스텔 / 신축 원룸에 입주 가능항 수준이더라구요. 그래서 제 질문은,

1. 해당 조건에 전세 / 월세 어느게 나을까요?

2. 전세 대출을 위한 조건이 까다롭나요? 혹은 한도가 정해져 있나요?

3. 전세대출시 급여통장을 설정해 놓는게 나은가요? 초년생이라 아직 따로 급여통장을 설정해 놓진 않고 있습니다.

친절한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싸구려신사
16/07/07 07:40
수정 아이콘
전세가 훨씬 이득이에요. 급여통장 설정해두면 해당은행에서 대출혜택을 받을수 있어 좋습니다.
16/07/07 08:09
수정 아이콘
전세는 원하는 물건이 없는게 문제죠. 있으면 들어가야..
여자친구
16/07/07 08:50
수정 아이콘
요즘 금리에 전세매물있으면 전세들어가야죠... 전세비한다면 월세는 1년에 약 7~800만원씩 길에버리는 꼴이라...
다이어트
16/07/07 08:52
수정 아이콘
전세는 있으면 무조건........
덴드로븀
16/07/07 09:07
수정 아이콘
전세가 훨씬 절약되고 좋지만 일단 매물이 없고,
전세나온건 상태가 안좋거나 택도없이 비싸거나...
그런가요
16/07/07 09:19
수정 아이콘
전세를 구할수 있다면 무조건 전세를 가야합니다
좋고 원하는 매물이 없어서 문제죠
16/07/07 11:12
수정 아이콘
전체적으로 전세대출 관련해서 답변드립니다.
1. 원룸이나 오피스텔은 주택 용도가 근린생활시설로 되어있어, 1금융 전세대출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생-도시형 생활주택? 으로 되어있거나 다세대 아파트 등으로 되어있어야 합니다.)
2. 저축은행 등 2금융 전세대출은 주택용도에 상관없이 대출이 가능하긴 할테지만, 이자를 계산해보면 월세 못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3. 보통 직장인이고 근로기간이 3개월 정도 이상(일정한 근로소득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와 근로증명서 같은 서류 필요), 특별히 신용불량이거나 하지 않으면 대출 요건은 그렇게 까다로운 편은 아닌 것 같습니다.
4. 윗분 말씀대로 주거래은행에 급여통장으로 설정해 두거나(이건 회사의 주거래은행과 일치해야하겠네요) 적금이나 보험상품을 이미 가입하고 있다거나, 신용카드 사용내역이 꾸준하다거나, 해당 은행의 전용어플을 사용하거나 하면 금리 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5. 전세대출엔 국가에서 장려하고 1금융에서 진행하는 '버팀목 전세대출' 등이 일단 있고, 이는 보통 1금융의 전세대출 상품보다는 조금 조건이 까다롭습니다.(무주택자여야하고 뭐 등등)
6. 아 그리고 전세대출을 통해 전세보증금을 지급한다는 계약서상 특약 명시가 있으면 좋고, 전세매물의 주인이 동의하는 것으로 해야 대출 진행이 수월합니다. 참 반드시 부동산을 통해 거래하고 작성된 계약서를 요구하는 은행도 있습니다.
7. 일단 요새 전세매물이 생기자마자 나가는 추세라, 일단 보증금의 70%까지 또는 연봉의 3배수?중 낮은 금액까지 대출이 가능하니 대충 전세 보증금을 어디까지 충당할 수 있는지 계산해서 일단 주거래은행 대충상담을 진행하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전세매물 찾고 거래하기로 하고 동의도 받고 상담을 진행하기는 사실상 시간도 힘들 뿐더러 거래하기로 해놓고 전세대출이 안된다고 하면 세입자나 집주인이나 곤란한 상황이 되기때문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6053 [질문] 맨유팬 분들은 포그바 현재 계약 진행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8] 별이지는언덕3569 16/07/07 3569
86052 [질문] 클래식곡인데 제목 좀 가르쳐주세요~ [6] 미남주인22001 16/07/07 22001
86051 [질문] [오버워치] 친구 구합니다 [3] RnR2317 16/07/07 2317
86050 [질문] 예비군 동미참 훈련 관련 질문입니다 [6] 글자밥청춘4905 16/07/07 4905
86049 [질문] 영단기 무료배포 책 다 받으셨나요? [26] AminG3574 16/07/07 3574
86047 [질문] [오버워치] 점수 상위% 인지 질문입니다. (+ 수학 정규분포 계산 질문) [7] 트루키7788 16/07/07 7788
86046 [질문] tv 구매에 조언 부탁드립니다 (평면 vs 커브드) [3] 빈라덴닮았다3273 16/07/07 3273
86045 [질문] 2.4ghz 사용하는 무선 헤드셋으로 티비 들을 수 있나요? 더쿤더2237 16/07/07 2237
86044 [질문] 원래 랩에서 가사 돌려쓰기가 흔한가요? [11] 신입사원4656 16/07/07 4656
86043 [질문] 거실에서 사용할 네트워크 플레이어 저가로 구성해봤습니다(스피커 추천 부탁) 귀여운호랑이3658 16/07/07 3658
86042 [질문] 빔 프로젝터 구입하려는데 안시 및 루멘이 뭔가요? [4] 꾸꾸3451 16/07/07 3451
86041 [질문] 파일경로 255자가 넘어가서 생기는 문제 질문입니다 [2] ...And justice2997 16/07/07 2997
86040 [질문] 학생 때 게임하는 시간,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36] 루체시4507 16/07/07 4507
86039 [질문] 스팀 게임 가격 질문드립니다. [6] 계란2652 16/07/07 2652
86038 [질문] 서산/당진에서 부천 가는 제일 빠른 길이 어딘가요? (자가용) [4] 김리프2552 16/07/07 2552
86037 [질문] [히어로즈] 히오스는 이대로 망하는 걸까요? (+현 메타 1티어 탱커는?) [5] Krasna4405 16/07/07 4405
86036 [질문] 애기들 안좋아해도 자기 애 놓으면 귀여울까요? [30] 구경꾼5442 16/07/07 5442
86035 [질문] 이 비닐(?)의 정체가 궁금합니다 [2] 소시[탱구]3060 16/07/07 3060
86034 [질문] 가로수길 데이트코스 질문입니다. HBKiD2731 16/07/07 2731
86033 [질문] 일본 신주쿠나 우에노 쪽에 대형 서점 있을까요? [2] 냉면과열무3279 16/07/07 3279
86032 [질문] 터키 배낭여행 어떻게 생각하세요? [12] Robbie2328 16/07/07 2328
86031 [질문] 월세 보증금에 대한 걱정.. 김피곤씨1706 16/07/07 1706
86030 [질문] [디아3] 지금 살만한가요?? [12] 착한밥팅z3060 16/07/07 306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