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7/06 11:34:32
Name 딱좋은나인데
Subject [질문] 일반인(?)들은 그래픽카드에 얼마까지 투자할까요?
요즘 amd와 엔비디아에서 그래픽카드가 계속 출시되고 있는데요.

하이엔드급 그래픽카드야 성능보고 우와 하고 넘어갈테고

실제 구입 가능한 선은 1060이나 480정도라고 생각하는데

이마저도 금액이 3~40만원에 육박하더군요.

개인적으로는 30만원을 마지노선으로 보고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30만원 이상하는 그래픽카드들을 많이 구입할까요?

떠들석한것만큼의 판매량은 안나오는게 아닐지...

궁금해서 질문 남겨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7/06 11:36
수정 아이콘
하이엔드 하는 사람들의 끝은 모르는 거니까요.. 저만해도 GTX770 쓰고 있는데, 지금 1080 지르려고 살펴보고 있습니다. 770 당시에는 하이엔드 급이 아니었는데, 괜히 이번에는 1080에 꽂혀가지고..
Sgt. Hammer
16/07/06 11:36
수정 아이콘
전 20이 한계입니다 크크크 ㅠㅠ
16/07/06 11:37
수정 아이콘
며칠전에 1080 구입했는데요, 이거 매물이 없어서 못삽니다... 매물뜨고 5~10분안에 다 나가더군요.
16/07/06 11:37
수정 아이콘
고사양 패키지 게임하는 분들이나 하드웨어에 민감한 분들이 많이들 사지 않을까요?
저야 롤, 오버워치 정도의 게임만 하는지라 항상 15만원대 그래픽카드를 구입하긴 하지만요 흐
16/07/06 11:40
수정 아이콘
제목만 보고 30생각하고 들어왔는데, 작성자분도 30이 기준이시군요..

그런데 제 생각엔 30도 이미 일반인 수준에선 꽤 쓴 거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일반인의 정의가 중요한데, 데스크탑을 사는 모든 인원으로 정의한다면 생각보다도 그냥 내장그래픽 쓰시는 분들도 많아요..

다만 일반인을 PC게임을 즐겨 하는 게이머로 정의한다면 그래도 내장 그래픽보다는 10~30만원대, 엔당 넘버링으로 따지면 x40~x60 정도 그래픽 카드 하나 정도는 구비하겠지만요.
16/07/06 11:45
수정 아이콘
~20
Cazellnu
16/07/06 11:46
수정 아이콘
20정도가 최대인것같네요
16/07/06 11:51
수정 아이콘
일반인들은 '그래픽카드' 라는 부품에 가격을 투자한다는 개념이 없죠. 부품들의 이름이나 성능, 역할도 잘 모르구요. 그냥 본체 뭉뚱그려서 얼마냐를 중시합니다.
아스미타
16/07/06 11:55
수정 아이콘
222 제가 지금 그러고 있어요 ㅠ
16/07/06 11:55
수정 아이콘
대부분 17만원 전후의 메인스트림?급 정도가 게이머가 그나마 비벼보는 수준이죠.

그걸 970으로 확 올라갔는데 원래 30 이상으로 넘어가면 콘솔이라는 걸출한 대체제가 있고 그래픽카드 가성비는 20 이하에서 가장 좋기 때문에 30 이하로 사는 분들도 어마어마하게 비싼거 사시는거죠
박용택
16/07/06 11:57
수정 아이콘
진짜 일반인으로 생각한다면
내장 그래픽만 가지고 산다가 정답일듯 합니다.

게임 안하는 사람 + 롤이나 서든 같은 가벼운 게임만 하는 사람
두 부류만 합쳐도 웬만한 게이머보다는 훨씬 많을 겁니다.

최근에는 오버워치때매 조금은 달라졌을지도..
16/07/06 12:00
수정 아이콘
전 보급형 라인(6시리즈)만 타오다가 3년전에 거하게 지른후 잘쓰고있습니다. 50정도 썼던것 같네요..

하지만 주위에서 견적물어보면 30만원 넘어가면 다른거 없냐고 물어보긴 하더라구요.
동네형
16/07/06 12:02
수정 아이콘
그래픽 카드를 따로 사는 견적을 뽑는거부터 일반인이 아니죠... 특정용도 이외의 기능은 내장으로 충분히 차고 넘쳐서.
파란아게하
16/07/06 12:05
수정 아이콘
내장요
Otherwise
16/07/06 12:06
수정 아이콘
메인스트림급 제품이 30만 넘어가더군요.
16/07/06 12:27
수정 아이콘
스팀 유저중에서도 gtx970 이상 사용하는 유저는 5%밖에 안돼죠. 전체로 보면 1%는 될까요. 산다고해도 지포스 xx50, xx60정도의 메인스트림이 주류맞아요.
16/07/06 12:38
수정 아이콘
아직도 gtx750ti가 잘 팔리는 이유가..
16/07/06 12:39
수정 아이콘
게임은 하는데 컴퓨터를 잘 모르는 사람들 기준으로
좀 맞춘다 싶으면 본체에 100만원선 다른부품가격 생각하면 그래픽 카드에는 20선 정도인 것 같습니다.
적당히 맞추면 60~80. 그래픽 카드는 15선 정도.
옆에서 누가 계속 바람 넣지 않는 이상 150 이상 쓰는 사람은 거의 못봤네요.

판매량은 피시방에서 무얼 사느냐가 중요하지 않을까요?
16/07/06 12:45
수정 아이콘
내장이죠.
게임안하는 사람과 게임 한다고 해도 라이트 유저는 내장으로 돌아가면 만족합니다.
샤르미에티미
16/07/06 12:47
수정 아이콘
구입한다고 해도 20만원 대가 마지노선인 것 같습니다. 물론 더 비싼 걸로 맞춰달라고 하는 경우도 있고 그냥 돈이 많아서
비싼 것 사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내장 혹은 10만원대에서 해결 보고 좀 좋다 싶은 게 20만원 대 정도...
일체유심조
16/07/06 13:10
수정 아이콘
예전부터 그래픽카드는 20만원이 메인이고 10만원이 보급형 50이 하이앤드였는데 사실상 지포스가 독점으로 30만원이 메인 20만원이 보급 하이앤드 100만원 안팍으로 가격이 많이 올랐죠.지속적으로 싸지던 cpu도 인텔 독점으로 얼마전부터 오르고 있구요.암드가 흥해야 cpu든 gpu든 다시 싸질텐데 영 힘들 못 써서 안타까워요.소문처럼 삼성이 인수해서 치킨게임 한번 보여주면 좋겠어요.
지나가다...
16/07/06 13:20
수정 아이콘
전 10만 원대를 넘긴 적이 없네요. 15~6 정도가 최대였던 것 같습니다. 지금 쓰는 건 5.5짜리 중고이고요.
FastVulture
16/07/06 13:41
수정 아이콘
8월에 컴살건데 960으로 가려구요...
다이어트
16/07/06 14:01
수정 아이콘
그냥 최신겜 (지금이라면 오버워치) 돌아가나? 이정도선으로 구매하지 않을까요. 비싸야 20...
16/07/06 14:10
수정 아이콘
20만원대가 보통 마지노선이죠. 어짜피 옵션 하이앤드로 안돌릴거면 20만원대에서 웬만한 게임 다 할 수 있으니까요.
1q2w3e4r!
16/07/06 14:59
수정 아이콘
판매량도 그렇고 주위시선도 그렇고 10중반~20사이가 마지노선인듯
근데 올해 시리즈부터 가격체계가 무너져 버렸어요.
보급형이 넘 비쌈
forangel
16/07/06 15:29
수정 아이콘
저도 20만원대..
더이상은 제가 활용할 건덕지가 없네요. 게임을 하는것도 아니고...
총예산에서 모니터나 다른곳에 더 씁니다.
몽키매직
16/07/06 15:44
수정 아이콘
마켓쉐어를 보면 인텔 내장그래픽이 70% 고
NVIDIA, AMD 는 각각 10% 대 입니다.

중위수로 따지면 내장그래픽...
16/07/06 17:02
수정 아이콘
중고 9550 -> 중고 4850 -> 중고 7850을 산 입장에서 10~15만원정도가 마지노선입니다.
게임은 문명 정도...
페이커센빠이
16/07/06 17:16
수정 아이콘
저도 뭐 지갑이 두툼한 처지가 아니긴한데 이번에 1070 구입했습니다 비레퍼 63만정도..
16/07/06 17:22
수정 아이콘
pc 본체만 100~110 준다고 했을 때
ssd, cpu, power, mother board, case 하면
80 아닐까요?

그럼 남는게 20~30이니까
대충 이 선에서 사게 될 거 같네요.
토모리 나오
16/07/06 17:27
수정 아이콘
겜많이 안하는편인데(특히 콘솔겜처럼 사양이 필요한 겜은 안하고 요즘엔 오버워치만 한 두판정도 하네요.) 1월에 컴이 갑자기 고장나면서 새로 살때 950 oc로 샀습니다.
이젠 안나올 꺼 같지만 대작MMO는 한번씩 해봐서 이정도면 그래도 돌릴 순 있을 것 같아서요
딱좋은나인데
16/07/06 18:03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 댓글보니 좋은 그래픽카드를 사고픈 욕구가 확 줄어드네요..
으 넘나 비싼것...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6039 [질문] 스팀 게임 가격 질문드립니다. [6] 계란2660 16/07/07 2660
86038 [질문] 서산/당진에서 부천 가는 제일 빠른 길이 어딘가요? (자가용) [4] 김리프2555 16/07/07 2555
86037 [질문] [히어로즈] 히오스는 이대로 망하는 걸까요? (+현 메타 1티어 탱커는?) [5] Krasna4446 16/07/07 4446
86036 [질문] 애기들 안좋아해도 자기 애 놓으면 귀여울까요? [30] 구경꾼5507 16/07/07 5507
86035 [질문] 이 비닐(?)의 정체가 궁금합니다 [2] 소시[탱구]3132 16/07/07 3132
86034 [질문] 가로수길 데이트코스 질문입니다. HBKiD2755 16/07/07 2755
86033 [질문] 일본 신주쿠나 우에노 쪽에 대형 서점 있을까요? [2] 냉면과열무3286 16/07/07 3286
86032 [질문] 터키 배낭여행 어떻게 생각하세요? [12] Robbie2343 16/07/07 2343
86031 [질문] 월세 보증금에 대한 걱정.. 김피곤씨1713 16/07/07 1713
86030 [질문] [디아3] 지금 살만한가요?? [12] 착한밥팅z3094 16/07/07 3094
86029 [질문] 호날두가 유로 우승하면 어느정도 위치까지 올라갈까요? [54] 에버그린5942 16/07/07 5942
86028 [질문] 부가세신고서 관련 질문입니다. [4] 흐흐흐흐흐흐2120 16/07/07 2120
86027 [질문] [야구] 1사 1루 2,3 풀카운트에서 1루주자는 무조건 뛴다? [10] 인디3660 16/07/07 3660
86026 [질문] 장르불문 1인칭 총싸움게임제외 플스4게임 추천해주세요. [19] 선동가4333 16/07/07 4333
86025 [질문]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정숙성을 향상시키는 장치(기관)을 뭐라고 하죠...? [7] 엑셀2517 16/07/07 2517
86024 [질문] [WOW] 올만에...(고고학, 골드벌기) [6] 애플민트5693 16/07/07 5693
86023 [질문] 진격의 거인 질문입니다(스포없음) [3] 삭제됨2006 16/07/07 2006
86022 [질문] 대구 괜찮은 통증클리닉 추천 부탁드립니다. [2] Starscape2619 16/07/07 2619
86021 [질문] 결혼 파혼시 위자료 문의입니다. [14] 삭제됨5595 16/07/07 5595
86020 [질문] 사기업과 공무원 전부경험해보신 분 계실까요? [11] 싸구려신사5663 16/07/07 5663
86019 [질문] 원룸/오피스텔 전세 vs 월세 [7] 어디쯤에5906 16/07/07 5906
86018 [질문] 컴퓨터 부팅이 안됩니다.. (비프음안남) [8] kongkaka9370 16/07/07 9370
86017 [질문] 방금 없어진 유게 머나먼 우주이야기 [3] 홍수현2405 16/07/07 24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