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7/05 14:16:36
Name 좋은하루되세요
Subject [질문] 알고리즘 독학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알고리즘 이론을 독학하기 위한 책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언어는 [파이썬] 혹은 C++이면 좋을것 같고,
현재 저의 알고리즘적 사고의 깊이는 버블소트는 쉽게 구현하나, 머지소트나 퀵소트는 생각을 못해내는 수준입니다.

지금 [C언어로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이라는 책(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barcode=9788979143058)을 따라 공부하기 시작했지만, 계산량의 유도 과정과 같은 이론 및 개념설명에 한계를 느끼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알카드
16/07/05 14:19
수정 아이콘
www.hackerrank.com 가셔서 섹션 별로 문제 계속 풀다보시면 일정시기마다 비약적으로 상승하실거에요.
좋은하루되세요
16/07/05 19:41
수정 아이콘
좋은 링크 감사합니다.
방민아
16/07/05 14:52
수정 아이콘
프로그래밍 대회에서 배우는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 이요.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66260546&orderClick=LAG&Kc=

위에 hackerrank.com는 저도 애용하고 있습니다. 영어라 너무 하기 싫지만...

한글론
https://www.acmicpc.net/
이곳도 있어요.
좋은하루되세요
16/07/05 19:41
수정 아이콘
좋은 링크 감사합니다.
알고리즘은 주로 연습/실전으로 깨우치는게 대세군요
칸나바롱
16/07/05 15:08
수정 아이콘
머지소트나 퀵소트를 머리속에서 생각을 못해내는게 당연합니다.

원하시는게 알고리즘 이론 공부인지 아니면 문제 풀이를 위한 알고리즘 공부인지 .. 결국 하나로 수렴하긴 하는데 왜 공부하는지 좀 알려주시면 좋을것 같아요.

제일 좋은건.. intro to algorithm 책으로 MIT open course ware를 수강하는게 제일 좋을것 같은데... 이건 좀 힘들것 같고 ㅠㅠ

학교 자료구조랑 알고리즘 수업을 일단 수강하시는게 좋을 것 같내요..
알카드
16/07/05 15:16
수정 아이콘
솔직히 clrs 는 너무 어렵습니다.. 차라리 문제풀면서 그때그때 실제 코딩과 함께 관련 이론을 공부하는게 경험상 낫더군요..
칸나바롱
16/07/05 15:46
수정 아이콘
이론공부를 원하시는거 같아서.. 사실 진짜 좋은책이긴 한데 혼자서 공부하긴 너무 벅차죠..
타인의 고통
16/07/05 15:40
수정 아이콘
저도 hackerrank + 프로그래밍 대회에서 배우는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by 구종만) 추천 입니다..

비전공자로 프로그래밍 해봐야지 결심하고 올해 2월 부터 했는데 해커랭크하면서 금방 실력이 느는게 보이네요..
파이썬으로 시작해서 첨엔 뭣 모르고 했는데 하나하나 풀다보니 점수랑 등수 오르는 재미가 있고 푸는 재미도 있네요..
내가 몇등하고 있나 보면서 경쟁심을 갖고 하다보니 게임하는 것 같이 재밌더라구요..

알고리즘/자료구조/수학/파이썬/regular expressioin 문제는 풀 수 있는 건 거의 풀어보고 있어요..
순서는 파이선 먼저 하시고(파이선 신택스랑 간단한 알고리즘/자료구조 문제와 파이선에서 지원하는 자료구조 문제들로 있고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나머지는 번갈아가면서 정답률 높은 거 위주로 처음 도전하시는게 좋은 것 같아요..(첨엔 90프로 대 먼저 풀고 담엔 80프로 .. 이런 식으로 점점 어려운 문제 푸는 것이 좋은듯)
너무 어려운 문제는 스킵하시고 하다보면 나중에 안 풀리던게 풀리더라구요..
사실 어려운 게 어떤 포인트를 이해하지 못한 거라서 계속 잡는다고 풀리지는 않는 경향이 있더라구요..
실력이 오르면 그 포인트가 보여서 쉽게 풀리게 되는 거 같아요..

글구 파이썬으로 시작하실거면 기왕이면 파이썬 3 로 시작하길 권해드려요..
저도 첨엔 파이썬 2 로 하다가 중간에 바꿨는데, 많이 바뀌는 건 없는데, 최신 버전으로 하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syntax 가 약간 다르고 built-in 함수 들이 약간 다른데,, 좀 더 코드가 명확하고 옵션들이 편한 것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discussion 섹션란에 문제 설명(접근법/사용하면 좋은 function/허들 포인트)도 올리는데 정리하는 차원에서 도움이 됐던거 같아요..

https://www.hackerrank.com/neverloseks

파이선 문제는 전부 풀었고, 알고리즘은 현재 상위 3프로까지 왔네요.. 수학이랑 다른 부분도 거의 많이 풀어서 질문 주시면 도와드릴게요..
설명하다보면 저도 실력이 느는 거 같더라구요.. 생각 정리도 되고..

탑코더, 코더포스 등 코딩 사이트가 여러군데 있는데 너무 대회위주이고 연습 부분은 해커랭크가 편한듯 합니다..

강의 들으실 거면 udacity 강의가 초급은 들을만 했고(영어이긴 함) cousera 강의도 들을만 했는데(이것도 영어),, 사실 강의 보다는 코드 두들기는게 도움이 많이 됩니다..
저도 강의는 들어보다가 대충 스킵하고 그냥 코딩하는 걸로 바꿨어요..
python idle 을 켜놓고 이것저것 코드 실행하면서 손에 익히면서 하면 좋더라구요.. 저도 아직 idle 켜놓고 문법 맞나 확인할 때도 있네요..

어느정도 문제를 풀다가 좀 실력이 안 는다 싶을 때, 알고리즘 강의 듣는게 좋은데,, mit 나 yale 강의가 좋았어요..
(이것도 필요한 것만 골라서 들어봄)
좋은하루되세요
16/07/05 19:45
수정 아이콘
구체적인 방안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반년정도 꾸준히 하시다니, 제 롤모델이십니다. 크크크
칸나바롱
16/07/05 15:55
수정 아이콘
그리고 독학으로 공부하지 말고 ㅠ_ㅠ.. 스터디를 하시던가 과외를 하시던가. 커뮤니티 활동을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 혼자서는 공부 못해요.
좋은하루되세요
16/07/05 19:43
수정 아이콘
ocw 추천 감사합니다.^^
mit ocw가 다운도 되고 자막도 있어서 좋던데 이론적인것 궁금증은 그걸로 해결해야겠습니다.
MDIR.EXE
16/07/05 15:57
수정 아이콘
http://www.sangkon.com/2015/09/13/about_ds_book/
여기 나온 책중에 골라보시면 될듯합니다.
대회중심 알고리즘 커뮤니티는 https://algospot.com 이런 곳도 있습니다.
좋은하루되세요
16/07/05 19:49
수정 아이콘
좋은 링크 감사합니다.

링크해주신 글을 읽으면서 의문이 생겼는데, 자료구조(?)가 컴퓨터 공학적으로 [코딩에 중점을 두어 생각할때] 어떤가치를 가지는 분야인지 궁금합니다.
칸나바롱
16/07/05 20:11
수정 아이콘
자료구조는 말그대로 알파이자 오메가 입니다. 컴퓨터적으로 사고한다고 할때 그런 사고를 기르는 기초토양입니다.
MDIR.EXE
16/07/05 20:56
수정 아이콘
알고리즘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이고, 코딩측면에서 보면 입력된 [자료]를 가공해서 원하는 출력을 얻어내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전공 커리큘럼에서는 자료구조가 알고리즘의 선수과목입니다. 배열, 스택, 큐 같은 자료구조를 다루는 문제는 단순히 자료를 처리하는 문제를 넘어서 알고리즘 구현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습니다.
단순화 시키면 알고리즘이 자로구조 위에서 작동한다고 보는게 좋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7757 [질문] 아이폰 AS 센터 가서 USB 포트 교체하면 리퍼폰으로 주나요? [10] 키스도사4293 16/08/05 4293
87756 [질문] 여러분이 지폐를 다시 만들수 있다면 넣고 싶은 인물은 누구인가요? [36] 쎌라비5276 16/08/05 5276
87755 [질문] 내일 휴간데 조금 한가한 휴양지 없을까요? [6] 세작2871 16/08/05 2871
87754 [질문] 유선마우스 추천부탁드립니다. [4] 삭제됨3518 16/08/05 3518
87753 [질문] 어느쪽 SSD가 더 좋은 건가요? [6] Leviathan Wakes2375 16/08/04 2375
87752 [질문] 인터넷 의류 쇼핑몰 추천 부탁드립니다. [1] 돌아온 개장수3111 16/08/04 3111
87750 [질문] 김국진이랑 유재석을 축구선수에 비유하면 각각 누구일까요? [8] 톰가죽침대3909 16/08/04 3909
87749 [질문] 식당 서빙 알바 어떤가요? [9] K54009 16/08/04 4009
87748 [질문] 인터넷접속없이 할만한 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16] 예비군1년차9697 16/08/04 9697
87747 [질문] [스타2] 유즈맵 관련해서 질문입니다. 레가르2309 16/08/04 2309
87746 [질문] 강려크한 선크림 추천 부탁드립니다. [3] This-Plus2057 16/08/04 2057
87745 [질문] 음악을 찾습니다. [2] 톨기스2032 16/08/04 2032
87744 [질문] 밀폐형 쓰레기통 좋은 거 있을까요? [5] 빠독이3972 16/08/04 3972
87743 [질문]  차단기 전선이 불탔습니다. [1] 루엘령2848 16/08/04 2848
87741 [질문] 명작 RPG 추천해주세요. [41] 가넷12577 16/08/04 12577
87740 [질문] PC용 블루투스 이어폰에 대해 잘 아시는 분 계실까요. [4] fragment4882 16/08/04 4882
87739 [질문] MP3 320이랑 무손실음원 구분가능하세요? [9] 성기사4776 16/08/04 4776
87738 [질문] 서울 용산 혹은 강남 근처 괜찮은 와인바 추천받습니다 [5] Matt Harvey3213 16/08/04 3213
87737 [질문] 중고컴퓨터 가격좀 봐주세요. [2] 아가미라이토3105 16/08/04 3105
87736 [질문] 애완동물 호구조사(?) 해볼까 합니다. [17] 불통왕3862 16/08/04 3862
87735 [질문] usb허브 연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4] SuiteMan2743 16/08/04 2743
87734 [질문] 아이팟 터치 질문입니다(21:00 추가질문). [2] 성기사2623 16/08/04 2623
87733 [질문] 티몬으로 해외여행 해본신 분 계신가요? [4] Petrus2906 16/08/04 290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