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6/07 22:48:28
Name iMac
Subject [질문] 뮤텍스 & 세마포어에 대해서
OS 공부하다가 책을봐도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글 올립니다.

뮤텍스나 세마포어 둘다 critical section problem을 방지하기위해 사용하는 거잖아요?

근데 뮤텍스는 이해가 가겠습니다.

화장실이 1개이고 열쇠도 1개인 거죠

근데 세마포어는 여러개의 thread 에 대해서 하나의 resource에 대해서 유한한 갯수의 thread가 접근하는게끔  한다는 것 같은데 (count 해서 0되면 막고 등등)


그럼 결국에는 하나의 resource에 대해서  동시 접근이 가능하다는 소리 아닌가요?

세마포어가 어떻게 critical section problem을 해결하는 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Je ne sais quoi
16/06/07 23:38
수정 아이콘
제가 예전에 했던 걸 다 까먹어서 지금 정확히 기억이 안 나는데(틀리면 다른 분들이 정정해주실 겁니다 -_-;;)...
semaphore는 실행하는 thread들이 서로 알고 맞춰서(표현을 좀 더 정확히 해야 할텐데 -_-a) 동작을 해야 할겁니다. 그걸 사용자가 할 수 없어서, OS가 제공하는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리눅스, 윈도우 등등 OS따라 다를 거예요.
16/06/08 00:11
수정 아이콘
주활용 용도가 조금 다르기는 한데, 뮤텍스는 적어주신 단일 리소스에 대해 쓰기를 하는 경우에 대한 동기화를 보장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고, 세마포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여러 개의 리소스(예: DB 커넥션 풀 등)에 동시에 접근하는 스레드의 수를 제한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 그런데 세마포어로 접근을 허용한 여러개의 쓰레드 중 쓰기를 하는 쓰레드가 따로 있다면 쓰기를 하는 부분에 다시 세마포어를 1로 설정하거나 뮤텍스를 걸거나 내부에 다시 critical section을 만들어서 동기화를 보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Patrick Jane
16/06/08 01:31
수정 아이콘
세마포어를 4개의 화장실과 4개의 열쇠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아요. 공유자원의 갯수가 1인 세마포어 = 뮤택스인걸로 알고있습니다만... 만약 틀리다면 다른분들이 정정을 해주시겠....
16/06/08 03:26
수정 아이콘
우선 세마포어는 critical section을 만들기 위해 쓰는게 아니구요. 그래서 바이너리 세마포어 제외하면 잘 안 씁니다.
16/06/08 09:20
수정 아이콘
답변해주신분들감사합니다
잉여의슬픔
16/06/08 20:52
수정 아이콘
위에 Unikys님 설명해주신 게 정확한 것 같아요. 대체로 1. 카운트를 1로 설정하면 뮤텍스 처럼 쓸 수 있고 2. 공유된 resource pool 같은 것에 카운트를 총 리소스 수로 설정해서 쓸 수 있고 3. 쓰레드간 signalling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순서가 1번 프로세스가 먼저 실행된 다음에 2번이 실행돼야하면 1번은 V하고 2번은 P하는 식으로요. 여기 정리가 잘 돼있습니다. http://www.cs.cornell.edu/Courses/cs4410/2015su/lectures/lec07-sema.html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6683 [질문] 아파트 23층중에 17층이면 어떤가요? [10] 삭제됨4268 16/07/18 4268
86682 [질문] 직영편의점 6개월이상으로 근로계약서 작성후 기간못채울경우 질문.. [4] 삭제됨3568 16/07/18 3568
86681 [질문] [스포 있음] 왕좌의 게임 질문 드립니다. [8]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4103 16/07/18 4103
86679 [질문] 컴퓨터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 [8] 꽃미남태규행3381 16/07/18 3381
86678 [질문] 메인보드와 램 호환 질문입니다. [4] 칙촉2490 16/07/18 2490
86677 [질문] 척추 유합술? 관련 E-Sports3185 16/07/18 3185
86676 [질문] 어장관리인가요 이상황은? [17] 미터기5281 16/07/18 5281
86675 [질문] 업그레이드 관련 문의입니다. [6] 辛만두3021 16/07/18 3021
86673 [질문] 포켓몬 애니나 만화책을 보고 싶습니다. [1] 귀연태연3092 16/07/18 3092
86672 [질문] 우리가 느끼는 음식의 맛이 희소성이 비례할까요? [26] 성동구3903 16/07/18 3903
86671 [질문] 스페인/포르투갈 2월 중순 날씨 어떨까요? [16] 2015년10월9일9711 16/07/18 9711
86670 [질문] 런던 템즈강 산책로 질문 드립니다 [1] 힙합아부지3221 16/07/18 3221
86669 [질문] 오피스 구입 질문 [1] Jedi Woon2769 16/07/18 2769
86668 [질문] 19(?) 비뇨기과 진로기록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1] 아트스12959 16/07/18 12959
86667 [질문] 그래픽카드 + 내장그래픽 질문입니다.. [6] 트루키5582 16/07/18 5582
86666 [질문] 이필모씨 연기한 작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3] V.serum3116 16/07/18 3116
86665 [질문] 컴퓨터 가격 비교 사이트를 찾습니다. (다나와 제외) [2] 도망가지마10851 16/07/18 10851
86664 [질문] 호주 에그 한국에서 쓸 수 없나요? [1] Cherry3742 16/07/18 3742
86663 [질문] [하스스톤] 입문에 대한 질문입니다. [12] 라떼4478 16/07/17 4478
86662 [질문] 혹시 터키 교민분들 계신가요? [4] LG.33.박용택2947 16/07/17 2947
86661 [질문] 위치측위를 위한 Wi-Fi 핑거프린트 방식에 대해. [4] Jannaphile4255 16/07/17 4255
86660 [질문] 드라마 질문입니다. 이 드라마의 제목을 알고싶어요. [3] 절대불멸마수2610 16/07/17 2610
86659 [질문] 10월말 신혼여행지 추천부탁드립니다!! [14] 소시[탱구]3091 16/07/17 30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