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5/30 11:11:03
Name RealGN
Subject [질문] 디카 초보가 질문 몇가지..


바디는 A57
렌즈는 캐스퍼구요 (70~300 F4.5~F5.6)
맨앞자리에서 찍었습니다 야간이고요

1. 해당 영상의 포커싱이 자꾸 빗나가는데 (무대에서 불나올때, 타 멤버와 위치 전환할때)
해결방법이 있는지

2. 무대후방 전광판 때문인가 영상을 보면 자꾸 역광처럼?
어두워졌다 밝아졌다 하는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3. 캐스퍼 렌즈에 전체적으로 만족은 하는데 구탐령 식령등으로 바꾸면
이런 야간 행사에서 품질향상을 기대해 볼만 할지


주 용도는 연예인 무대 촬영이며 사진보다는 동영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리아
16/05/30 11:28
수정 아이콘
질문 답글은 아니지만 다이아 보니 반갑네요
16/05/30 12:10
수정 아이콘
크크크 정말 오랜만의 무대였다고합니다
무무반자르반
16/05/30 11:58
수정 아이콘
a57 정도의 약간 구형 바디로는 동영상 af로 동체추적이 안되죵...

근데 이건 동영상 특화 최신 바디들로 찍은거 봐도 보는 입장에서는 100% 만족은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많이들 초점링 돌리면서 mf로도 찍기도 합니다

결론은 ...기변이 답입니다!
16/05/30 12:11
수정 아이콘
총알을 넉넉히 쓸수가 없는상황인데다가
업그레이드할꺼면 렌즈쪽을 생각하고있어서..

삼각대 꼽고 돌렸는데 좌우돌리는것도 힘들었는데
거기에 초점링까지 돌린다니... 어렵네요
16/05/30 12:05
수정 아이콘
1. 수동 포커싱 아니면 위상차 af가 잘 잡히는 경계면을 포커싱 하는 등의 조건을 만족시키든지 해야할듯 싶고

2. 수동으로 노출을 잡아야 할 것 같고

3. iso 이득 약간 볼 수 있겠지만 af사용시 불편할듯
16/05/30 12:13
수정 아이콘
답변너무 감사합니다.

3번에 추가질문좀 드릴께요 ㅠㅠ 다른건 스킬로 해결한다고 치고요

앞으로도 저정도 조명에찍을일이 많을것같은데

캐스퍼가 조리개는 떨어지지만 확실히 AF면에서 강하다고 하거든요
그냥 장단점 있는수준이고 옆그레이드다 싶다면 그냥 캐스퍼 쓰다가 유령으로 가려고하거든요

3번에 조금만 부연설명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6/05/30 12:38
수정 아이콘
야간 촬영시 셔속 60을 맞추려면 어차피 조리개는 최대개방 해야하고 나머지 부족한 노출은 iso로 조절을 해야 하는데
(망원렌즈의 경우 60 가지고는 삼각대 없이는 핸드블러가 생기니 셔속을 더 높게 할 수도 있고
모션블러를 좀 줄이고 싶으면 셔속을 올리는데 이 경우에는 노출이 더 필요하죠.)
소니 dslt는 af 사용시 최소 조리개가 3.5라, 2.8 짜리 써도 3.5로 변해서 여기서 보는 이득이 약간 줄어들고

캐스퍼가 SSM 모터를 쓰는 것에 반해 구탐령, 구식령은 일반 모터라 모터 돌아가는 소리가 잡히고, 속도도 느린대다
서드파티라 핀 신뢰도도 부족하죠.
초음파 모터를 단 요즘 제품이라면 유령과 비교해서 고민해볼만 하다고 봅니다. 사실 유령 화질이 가격에 비해 좋은 편이 아니라서요.
정지연
16/05/30 12:12
수정 아이콘
1. 화면내에 피사체가 여럿있을 경우 오토포커싱으로는 초점이 오락가락할 수 있으니 수동포커싱으로 전환하거나.. 센터 스팟 포커싱으로 바꾸고 피사체를 열심히 따라다니시는게 나아보입니다..
2. 조리개 수치가 배경에 있는 강한 조명의 밝기에 따라 조절되면서 그러는거 같습니다.. 배경에 밝은 빛의 led가 켜지면 전반적으로 화면이 밝다고 인식해서 조리개를 조여서 어둠게 만들거든요.. 그런데 피사체자체는 밝아지지 않았으니 화면이 어둡게 나오겠죠.. 이것도 역시 조리개 수치를 고정시키는게 좋습니다.
3. 비싼거로 가면 물론 화질 개선에는 좋겠죠.. 다만 그 차이가 엄청나게 크지는 않을겁니다.. 동영상용이면 바디를 바꾸는게 더 나을수도 있어요
16/05/30 12:14
수정 아이콘
A57이 시대에 비해 동영상 가성비가 너무 좋다고해서.. 간거라서
여기서 확 체감오게 가려면 GH2정도는 가야되는데 가격차가 넘 심하네요 ㅠㅠ
16/05/30 12:15
수정 아이콘
F2.8 렌즈로 간다고 해도 동영상 품질이 월등해지지는 않을거라는 말씀이시죠?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정지연
16/05/30 12:22
수정 아이콘
조리개수치가 작은(밝은) 70-200 f2.8 정도 되는 렌즈라면 조리개를 최대 개방으로 했을 경우 지금 쓰는 렌즈보다 1~2스탑정도 더 확보가 됩니다..
어차피 동영상이니 셔터스피드는 의미가 없고.. 대신 iso 수치가 1600으로 찍던게 800이나 400까지 낮출 수 있다는 얘기가 되죠.. iso 수치가 작아지면 화면에 노이즈가 적게 나오니 화질 개성이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동영상의 경우 노이즈가 많이 보이지는 않지만 영상내내 밝기가 고르지 못하다는게 가장 큰 문제인데 일단 측광 방법을 스팟측광으로 바꿔서 본판 찍기전에 테스트를 여러번 하면서 iso, 조리개 수치를 미리 셋팅해 놓고 찍는게 좋습니다..
이런 무대 영상이면 다른 가수나 mc 가 나와 있을때 미리 테스트로 찍어 보는면서 수치를 결정하는거죠..
어차피 동영상으로만 보는거면 사실 고급렌즈군으로 간다고 해서 화질에 눈에 띄는 차이를 만들기는 어렵습니다.. 사진은 한장에만 집중해서 보니까 화질 차이를 느낄수 있겠지만 동영상은 해상도도 사진보다 낮고 압축하는 과정에서 화질 손상이 있어서 렌즈에 의한 차이를 체감하기가 어렵습니다..
다만 위에 적은것처럼 빛을 확보할 수 있다는 면에서의 장점이 크죠..
16/05/30 12:27
수정 아이콘
제가 초보라서 ㅠㅠㅠㅠㅠㅠㅠ
ISO를 오토로 해서 저렇게 밝기가 왔다갔다 한건가요?

다른가수무대로 연습 많이했는데 정작 해지고 나니까.....다 바뀌어가지고 ㅠ
정지연
16/05/30 12:34
수정 아이콘
설정을 어떻게 했는지 알수가 없지만 아마도 iso수치나 조리개수치 중 최소한 하나는 오토로 되어 있는걸로 추정이 됩니다..
동영상에서는 셔터스피드가 의미가 없기 때문에 iso와 조리개 수치로 밝기가 결정되는데 그게 오락가락하는걸 보면 실제 무대위에 조명이 오락가락했던지 그렇지 않으면 그걸 찍는 카메라에서 두 수치가 오락가락해서 변화가 왔던지 한거라 보거든요..
영상을 보면 15초쯤에 배경에 밝은게 별로 없을때는 밝게 찍히다가 30초쯤에 움직여서 대형 전광판 앞으로 왔을때는 다시 어둡게 찍히는걸 알수 있습니다..
그건 카메라에서 빛을 측정할때 화면 전체의 빛을 다 체크해서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고 있다는 의미가 되거든요.. 전광판을 밝기 때문에 빛이 많이 들어오니까 어둡게 조정하고 배경이 어두우면 빛이 부족하니까 밝게 나오게 조정하고.. 이런걸 카메라가 알아서 해줘서 고맙기는 한데 인공지능 수준이 아니다 보니 의도와 달리 어둡게 혹은 밝게 찍힐 수 가 있어요. 이렇게 오락가락하는걸 막으려면 조리개와 iso 수치를 고정시켜줘야겠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3893 [질문] 추석 친척분들과의 여행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새강이1975 16/05/31 1975
83892 [질문] 생초보 기준 2달이면 피아노 얼마만큼 배울 수 있을까요? [10] 부채4179 16/05/31 4179
83891 [질문] 세금 질문있습니다 [1] 답변봇1854 16/05/30 1854
83890 [질문] 임요환 등 프로게이머 합창 [2] 조광래2573 16/05/30 2573
83889 [질문] [야알못] 야구에서 (타자입장)볼넷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궁금합니다 [27] V.serum3520 16/05/30 3520
83888 [질문] 개가 이상하게 힘이 없고 잘때 흰자를 띕니다. [6] 부모님좀그만찾아3104 16/05/30 3104
83887 [질문] 박원순시장하고 보수기독교계하고 사이가 나쁜가요? [7] 도깽이2413 16/05/30 2413
83886 [질문] [하스스톤] concede 덱은 무슨 의미인가요" [6] 귀연태연2914 16/05/30 2914
83885 [질문] 블랙박스문의 입니다. [2] 싸구려신사1874 16/05/30 1874
83884 [질문] 매틀랩 or 통계에 관한 질문입니다 ㅠㅠ [4] MagicMan1490 16/05/30 1490
83883 [질문] [하스스톤] 폰 재접속 안하고 계속 켜 둘 수 없나요? [2] 딴딴4302 16/05/30 4302
83881 [질문] 의사이신분 계신가요? [4] RevolutiNist2789 16/05/30 2789
83880 [질문] 쿡가대표 대본 있겠죠? [12] 짱짱걸제시카3726 16/05/30 3726
83879 [질문] 사랑이라는 게 뭔가요? [32] 저글링앞다리8678 16/05/30 8678
83878 [질문] 거제도 펜션 추천부탁드려요 Uglyman2041 16/05/30 2041
83877 [질문] 스마트 티비안에 있는 미국드라마 추천부탁드려요! [4] Cherish2036 16/05/30 2036
83876 [질문] OX 문제, 괄호 채워넣기 문제로 나오는 퀴즈 공부 노하우 좀 전수해주세요! [1] 구닌2099 16/05/30 2099
83875 [질문] [LOL] 바뀐 랭겜 픽 방식은 사실상 실패한 방식 아닌가요? [15] 톰가죽침대4271 16/05/30 4271
83874 [질문] 동영상에서 숨소리만 제거하는 법? [2] Dan9107 16/05/30 9107
83873 [질문] 뉴욕 여행 관련 질문입니다. [3] 독수리의습격2296 16/05/30 2296
83872 [질문] [LOL] 재간둥이로 왜곡을 어떻게 피하죠? [22] 레너블3078 16/05/30 3078
83871 [질문] [스타1] 프테전 이런저런 질문 있습니다 [11] 슬라임3612 16/05/30 3612
83870 [질문] 이번엔 강아지 산책 소변에 관한 질문입니다. [3] 어느새주말2655 16/05/30 265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