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5/20 11:40:56
Name 숲 해영
Subject [질문] 문과생이 미분적분학 들을 예정입니다(도움)

대학 계절학기에 개설되어서 들을 예정인데
문과생이라 고등학교때도 미적분은 배우지않았습니다  

1.처음 듣는것인데 따라가기 많이 벅찰까요?

2. 도움이 될만한 인강이나 교보재가 있을까요?

주위에 물어보니 다들 말리는 분위기더라구요 그렇지만 학점도 메꿔야되고 선택지가 많지 않아서 고민입니다 이과분들의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5/20 11:43
수정 아이콘
교양 미분정도면 다 고만고만합니다.

불안하시면 ebs책 보고가시는건 추천
숲 해영
16/05/20 12:0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2주라는 짧은기간동안 친절한 설명없이 진도만 확확 뺀다고 들어서요
Arya Stark
16/05/20 11:58
수정 아이콘
난이도 자체는 고만고만하지만 난이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학점을 잘받는게 오히려 힘들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계절 학기에 들으시면 수업의 진행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꽤 고전하실 수도 있겠네요.
숲 해영
16/05/20 12:01
수정 아이콘
영어수업이라 성적비율은 상대적으로 후할것같은데 아무래도 진도를 따라갈수있을지가 고민이네요
16/05/20 11:59
수정 아이콘
극한개념정도는 알고 가시는게 좋을수도있어요.
숲 해영
16/05/20 12:0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오랜만에 수학공부할생각하니 두렵네요
16/05/20 12:08
수정 아이콘
아마 대학교 수업이니 고등학교 과정은 다 이해한 걸 전제로 수업하겠죠?
고등학교 이과 교과서 내용정도는 한 번 보고 가시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제가 고등학교 다닐때에는 문과에선 삼각함수, 지수, 로그함수는 배우지 않았던 걸로 기억하거든요. 요즘은 교과과정이 어떤지 모르겠네요. 미적을 배우지 않은 문과 학생들을 위한 강좌라면 모르겠지만, 그냥 이과학생들이랑 같이 들으시게 되면 초반에 좀 헤매실 수도 있거든요. 대학교 과정엔 더 심화된 내용이 나오니까 기계적인 계산은 숙달한 채로 들으시는게 편하실 거 같아요.
아마 처음엔 수열 판정법에 대해 다룰 거 같은데 수열, 무한급수 쪽 부분도 복습해서 가시는게 편하실 거에요.
하카세
16/05/20 12:12
수정 아이콘
요즘 문과생들이 배우는 미적분1 교재라도 보고가심이 도움 되실거같네요.
The Variable
16/05/20 12:52
수정 아이콘
저는 문관데 많이 고생하실 거라 비추합니다. 경영학을 위한 수학 정도만 해도 이과 미적분까지 다 해야 되는 걸로 아는데, 상위권 학교면 미적분 배우고 온 학생들이 학점 쓸어가는 경향이 큽니다. 그나마 함수 이해만 잘 하면 이과 범위는 그냥 함수 다른정도라 커버가능한데, 문과 범위인 미적분과 통계 기본을 익히는 게 고학번한테는 엄청난 고통이죠. 저만해도 수학 잘 못하는데 미적분 안배운 선배들이랑 수업들으니까 학살하는 수준이었습니다. 저희 때 미적분 배운 신입 13학번 평균이랑 고학번 평균이랑 200점 만점에 60점 가까이 차이났습니다. 더군다나 연습할 시간도 별로 없는 계절이면 더더욱 힘들 거라 봅니다.
밀크커피
16/05/20 12:52
수정 아이콘
본 학기 중이어도 힘든데 진도를 빨리 빼는 계절학기면 글쎄요..
그나마 미분만 하는 수업이라면 괜찮을텐데, 미적분 동시에 하면 전 안들으시는 게 나을 것 같은데요..
꼭 미적분을 들으셔야 하는 이유가 있나요? 굳이 공업수학쪽을 들으셔야 한다면 선형대수 배우는 과목을 따로 수강할 수 있다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16/05/20 13:29
수정 아이콘
미분의 정의부터 배우니까 이론상 다 이해할 수는 있는데 진짜 열심히 하시는거 아니면 고등학교때 계속 해서 익숙해진 이과생과 경쟁하기 힘드십니다.
16/05/20 13:35
수정 아이콘
힘드실겁니다.
Nasty breaking B
16/05/20 13:37
수정 아이콘
계절이면 그냥 패스하시는 게 정신건강에 이로우실 겁니다.
16/05/20 13:38
수정 아이콘
따라가는 거야 학부과정은 처음부터 하나씩 가르쳐서 문제가 크게 안 되는데, 학점이 문제죠.
16/05/20 13:54
수정 아이콘
힘드실걸요

미적분 독학으로 적당히 알고 있는 상태로 들었을떄도
계절학기 특유의 진도 쭉쭉빼기에
꽤 고생했거든요
16/05/20 14:02
수정 아이콘
상위권 대학일수록 고시생들이 많이 드는 고시 과목 or 타전공 이과 과목에서 평범한 문과생이 학점따기가 정말 힘들어집니다. 상대평가라면 수업 수준과 관계 없이 일단 변별력을 내야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학기 중이라면 하루 종일 이것만 꾸준히 잡고 있어야 A언저리 가능한 수준이고 계절이면 물리적으로 A받는게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가끔 경제/경영학과 애들이 해외유학가려고 이과 과목을 듣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도 대부분 방학 때 몇달 동안 선행 학습하고 도전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달과별
16/05/20 14:58
수정 아이콘
해석학 자체가 그냥 외우면 얼마 뒤에 이해되는 과목입니다. 정의나 개념같은걸 그냥 외워버리시면 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빼놓지 않으신다면 이과생들보다 좋은 점수 받으 실 수 있을 겁니다. 미리 시작하세요.
16/05/20 15:16
수정 아이콘
일단 머릿속에 주입하고 시키는대로 계산하고 증명하고 그러면 시험보는건 문제 없을거예요. 처음부터 다 이해할 생각은 버리는 게 좋구요.
자바초코칩
16/05/20 15:31
수정 아이콘
학점 받기 힘든 것 각오하고 피똥(..)싸면 이수할 수 있으실 겁니다.
있는 그대로 외우고 계산하고 증명하는 것.. 말은 참 쉬운데.. 어려워요.. 생각보다 더 어려워요..
클레어
16/05/20 15:43
수정 아이콘
교양이면 수업내용을 따라가기도 어려운 수준은 아닐겁니다만 이과 사람들과 비교하면 출발선부터 다른거라 학점은 별로 안좋게 나올 가능성이 크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3369 [질문] 운전중 고라니를 받았습니다. 질문입니다 [4] 해피바스3492 16/05/21 3492
83368 [질문] 왕좌의 게임 시즌6 다시보기할 수 있는 곳 없나요? [1] John Snow4369 16/05/21 4369
83367 [질문] 홋카이도 렌터카 업체 추천 부탁드립니다. [4] F24S2345 16/05/21 2345
83366 [질문] 핸드폰 보험가입 하십니까? [9] 누구도날막지모텔2244 16/05/21 2244
83365 [질문] 아이튠즈 에서 구입한 음악들 컴퓨터로 옮길수 있나요? [2] 삭제됨2343 16/05/21 2343
83364 [질문] 상환날짜가 토요일이어도 월요일로 연기될까요? [3] 다레니안1793 16/05/21 1793
83362 [질문] 결혼식에서 식권나눠줄때 예식장측에서 속이는걸 방지하려면 웨딩스탬프 찍어놓는게 좋을까요? [13] plane11692 16/05/21 11692
83361 [질문] 가족이 결혼을 하는데 예식장에서 술병개수 정확히 세는 방법, 식권사기 안당하는 법이 있을까요? [10] plane3442 16/05/21 3442
83360 [질문] 아우디 차에 대한 질문 [6] 비야레알2529 16/05/21 2529
83359 [질문] 90년대, 2000년대 최고 인기의 솔로 여가수는 누굴까요? [19] kien5122 16/05/21 5122
83358 [질문] 곡성 많이 무섭나요? [16] 로즈마리4073 16/05/21 4073
83357 [질문] 노트북 구매 관련 질문입니다. rnsr1850 16/05/21 1850
83356 [질문] 위산 역류 응급처방같은거 있을까요? [2] PG131947 16/05/21 1947
83355 [질문] 운전 면허 취득관련해서... [1] 보아1581 16/05/21 1581
83354 [질문] 진삼국무쌍6!!!! [3] MagicMan2343 16/05/21 2343
83352 [질문] 피지알 색이 변했네요. [3] 가넷2320 16/05/21 2320
83351 [질문] 멜로 드라마 및 영화추천해주세요.(중국,일본,대만등) [11] 밤식빵6545 16/05/21 6545
83350 [질문] 전원이 아예 안들어오다 파워를 계속 누르니까 들어왔습니다. [3] 무무무무무무1959 16/05/20 1959
83349 [질문] 기계식 키보드 추천 부탁 합니다. [14] 딱좋은나인데2884 16/05/20 2884
83348 [질문] 고전게임을 할 시 스크린샷 찍는법 아시는분 있나요 [4] 조홍2306 16/05/20 2306
83347 [질문] 직장 동료와의 관계 문제로 인한 작은 고민이 있어쇼. [4] 커피마시쪙3057 16/05/20 3057
83346 [질문] 포커페이스를 못해서 걱정입니다.. [7] 몽롱한새벽1960 16/05/20 1960
83345 [질문] 러블리즈 앨범 인트로에 대한 질문입니다. [3] 단수1634 16/05/20 16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