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5/08 18:23:11
Name 파랑파랑
Subject [질문] 공무원 시험 합격과 실패의 차이?
제 주변에 9급 공무원 시험 준비했던 분들을 돌이켜보니, 명문대 출신은 1,2년 이내에 다 붙었고,

전문대 출신은 전부 포기했거나, 3년이상 장기간 공부중인데 합격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학창시절에 공부 잘했던 사람들은 다 붙었는데, 뒤늦게 공부원 시험치는 분들의 경우 고전하는 모습을 많이 봐서

궁금하네요. 적어도 제 주변은 후자쪽일 때 합격자가 없었거든요.

이게 학력으로 인한 기본 베이스 + 집중력의 차이일까요? 아니면 그냥 노력부족인걸까요?, 혹은 공부방법이 잘못됐을 수도 있구요.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5/08 18:25
수정 아이콘
기본 베이스보다 큰건 '공부를 해봤는가' 라고 봅니다.
16/05/08 19:04
수정 아이콘
2222 거기에 +하면 얼마나 절박한가 인거같아요.
면역결핍
16/05/08 18:29
수정 아이콘
제 주변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붙었는데요...
2년해서 안되면 끝까지 안되더라구요...
윗분 말씀처럼 공부를 해봤는가
특히 영어공부를 단어암기 세부문법형태의 죽은영어 시스템으로 해봤는가가
상당히 차이가 났던걸로...
우리형
16/05/08 18:30
수정 아이콘
컷 높은 직렬은 관운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무무무무무무
16/05/08 18:30
수정 아이콘
선택과목을 제외하더라도 다섯 과목 중에 국어영어국사 세 과목이나 학창시절에 공부하던 과목이니 출발점이 완전히 다를 수 밖에요....
제한자격이 없는데다 부모님 세대에선 고졸 출신들도 많다보니 바람넣어서 누구나 도전하긴 하는데 결국 시험은 다 비슷한 거 같아요.
제 주변을 봐도 붙는 사람은 빨리 붙고 떨어지는 사람은 계속 떨어지더군요....
16/05/08 18:31
수정 아이콘
1. 공부습관을 얼마나 빨리 들일 수 있는가?
2. 영어를 얼마나 잘 하는가?

이게 가장 중요합니다.
16/05/08 18:47
수정 아이콘
애초에 시작 조건이 다른데 별 수 있나요.
게다가 그 시작 조건을 그 나이들어서 강제로 맞춘다는 것도 말이 안될 뿐더러 보통 그런 생각조차 안하죠.

겉으로야 아니라고 말해도..
전문대다닌 분들하고 적당한 4년제 출신 분들하고 학력차이가 없다면 말도 안되는 소리고..
그게 년년이 쌓여있을텐데 거기서 오는 것도 무시하기 힘들죠.

물론 그 상황을 깨는 분도 존재하긴 하지만..
그런건 그냥 규격외의 상황이죠. 결코 보편적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음..
16/05/08 18:59
수정 아이콘
그냥 모든 조건을 다 합쳐서, '공부하고 문제 풀어서 많이 맞추는 능력'에서 차이가 많이 나는 거죠.
누군가는 머리가 비상해서 한두번 보고도 저 능력이 뛰어날수도 있는거고
누군가는 남들 한두번 볼 때, 열심히 해서 4~5번 보고 시험쳐서 저 능력이 뛰어날수도 있는거고.
그게 무엇이 되었든 간에, 학창시절에 공부를 잘한 요인이 공무원 시험에도 비슷하게 적용 되는 거죠.
16/05/08 19:08
수정 아이콘
공부를 좀 했던사람들은 합격선 1문제정도 차이... 까지는 1년이면 올라가더라고요. 거기서 합격하고 말고는 또다른 문제이긴 하지만요.
평소 공부를 좀 덜 했던사람들은 합격선까지가 더걸리게 되므로.. 거기에 운까지 따라서 합격하려면 몇년은 더걸리는거 같아요.
니가가라하와��
16/05/08 19:10
수정 아이콘
인원 적게 뽑거나 컷 높은 직렬은 운이 필수입니다만 말씀한 추세가 얼추 맞습니다.
사회나와보면 왜 학벌학벌 노래를 부르는지 공감도 어느정도될정도니까요. 간혹 낮은학벌임에도 군계일학들이 있지만 그 비율이 너무희박하죠.
특히 공부못하는 사람들은 자기가 공부를 안해서 못한다고 생각하는데 공부는 하는거 자체가 실력이죠.
공부습관 잡혀있고 안잡혀있고의 차이가 정말정말 커요.
어둠의노사모
16/05/08 19:17
수정 아이콘
전부다죠... 제 주위에도 합격은 거의 대부분 1년 미만에 다 붙더군요.
신과함께
16/05/08 19:18
수정 아이콘
그래도 엉덩이 무거운 분들은 2년 넘어도 합격하는 분들이 있기는 있더라고요.
정말 앉아서 집중이 되든 안되든 책 붙잡고 어떻게 한자라도 읽으면서 앉아있는것 자체도
공무원 공부에서는 정말 크다고 생각합니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객관식이고
높은 이해도가 있다면 좋지만 이해를 못해도 생암기로도 문제들을 풀 수 있기 때문입니다.
파랑파랑
16/05/08 19:2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무식론자
16/05/08 19:53
수정 아이콘
공부하는 것도 습관이죠. 기존에 그 습관이 든 사람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차이가 나는게 당연하고요.
it's the kick
16/05/08 22:43
수정 아이콘
의무교육기간의 절대치만 따져도 12년이라... 안 하던 사람이 따라잡으려면 당연히 시간에 비해 밀도 높은 공부량이 필요하겠죠
5픽미드갑니다
16/05/09 07:07
수정 아이콘
제가 느낀점 중 하나는 공부를 안해봤어도 2년정도안에 합격선까지 가는 사람들은 소설책이라도 많이 읽어본 사람들은 책을 거의 읽지 않은 사람과 차이가 많다는 겁니다. 단어나 문장에 대한 이해도 자체가 달라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2678 [질문] 3박 4일 제주 여행 질문입니다. [7] 공개무시금지2455 16/05/09 2455
82677 [질문] [LOL] 이번 msi 꿀잼경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리오넬 호날두2155 16/05/09 2155
82676 [질문] ps4게임 질문입니다 (오딘스피어 vs 언챠티드 합본) [14] pritana2975 16/05/09 2975
82675 [질문] 블루투스 이어폰 좀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노네임1979 16/05/09 1979
82672 [질문] TEPS 난이도가 9급 공무원 시험보다 높나요? [16] 삭제됨12389 16/05/09 12389
82671 [질문] 7,8월 너무 덥지않은 유럽여행지 있을까요? [9] 위너3458 16/05/09 3458
82670 [질문] 사진 구도 배우기 좋은 블로그 있을까요? [12] 굿리치[alt]3010 16/05/09 3010
82669 [질문] 첫 안경 [2] 비야레알1510 16/05/09 1510
82668 [질문] [오버워치] 스펙 문의입니다. 제 컴퓨터 상태를 봐주세요 [4] 총사령관3066 16/05/09 3066
82667 [질문] 영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별이지는언덕2254 16/05/09 2254
82666 [질문] 노트북용 램의 문제 여부 확인 [3] TheLonelyBiscuit1711 16/05/08 1711
82665 [질문] 작업관리자 목록이 안 뜹니다. [2] 막강테란2043 16/05/08 2043
82663 [질문] 폴라리스 랩소디 vs 눈마새 [30] iMac3370 16/05/08 3370
82662 [질문] 아이폰 사진관리 질문입니다 SaiNT1484 16/05/08 1484
82661 [질문] 즐거운, 이색적인 만남/데이트를 하고 싶습니다. 칼 오베1775 16/05/08 1775
82660 [질문] 포토샵 입문 어떻게 하나요? [6] 신입사원1822 16/05/08 1822
82659 [질문] 마리텔 양정원방 방송사고 때 나온 음악 좀 알려주세요. [2] 간디가2576 16/05/08 2576
82657 [질문] 마리텔을 보다가 네일에 관한 질문을 올립니다. [2] 삼성전자홧팅1766 16/05/08 1766
82656 [질문] 전세자금대출에 대해서 몇가지 여쭤봅니다... [6] FeeLinG2446 16/05/08 2446
82655 [질문] 공부습관 길들이기. 공부를 어떻게 하셨나요? [8] 뜨거운형제들3079 16/05/08 3079
82654 [질문] [LOL] 요즘 랭겜은 몇인 파티로 가능한가요? [3] 종이컵1948 16/05/08 1948
82651 [질문] 수비수는 아무리 잘해도 펠마메 취급 못 받나요? [29] ohmylove3530 16/05/08 3530
82650 [질문] [워크3] 내에서 모욕죄 형성 여부 및 절차 에 대해 질문드려봅니다. [13] 이사무4236 16/05/08 42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