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4/26 11:09:38
Name 탄야
Subject [질문] 6살 아이 바둑 배울만 한가요?
첫째가 언어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치료선생님이 아이가 인지능력이 좋고
보드게임에 집중을 잘한다고 바둑 배워보기를 권했는데요
비용을 바둑학원이 13만원이상 하더군요 .. 금전적으로 좀 부담되긴 합니다.
어제 학원에서 간단하게 테스트를 하고 왔다는데 많이 재밌어 하네요
자다가 갑자기 펑펑울길래(자기전에 속상한일이 있으면 가끔 이럽니다) 왜 우냐고 물어보니
바둑 재밌었는데 금방 끝나서 속상해서 울었다고 하네요;
부모된 입장에서 애가 좋아하는걸 시켜주고 싶기도 하고..
너무 이른나이(6세)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4/26 11:10
수정 아이콘
프로가 되는 이들중 4~5살에 바둑에 입문하는 경우가 제법 많이 있습니다.
16/04/26 11:15
수정 아이콘
4-5살에 하는 사람들은 천재형.. 아닌가요? 제가 바둑을 너무 어렵게 생각하고 있었는지도..
무무무무무무
16/04/26 11:13
수정 아이콘
6살 정도면 충분히 바둑 배울만합니다.
16/04/26 11:15
수정 아이콘
충분히 배울만한 나이였군요.. 감사합니다.
16/04/26 11:14
수정 아이콘
적극적으로 추천합니다.
16/04/26 11:14
수정 아이콘
시키고 싶어도 룰을 이해하지 못하고, 집중하지 못하는게 문제지 그렇지 않다면 배울만한 나이죠. 문제는 금액....이겠죠?
16/04/26 11:17
수정 아이콘
돈은 어떻게든 해봐야죠 적금을 줄여서라도.. ㅠㅠ
와이프가 옆에서 보기에는 생각보다 룰을 잘 이해해서 놀랐다고 하구요
학원에서 상담한바로는 한번 가르쳐보고 싶다고 했다는데 영업이겠지만 귀가 팔랑귀라..--;
솔로11년차
16/04/26 11:14
수정 아이콘
다른 고민이면 모르겠는데, 이른 나이에 시작하는 것이 걱정이시라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16/04/26 11:1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나이는 그다지 신경쓸게 아닌가보네요
미네기시 미나미
16/04/26 11:18
수정 아이콘
일단 아이가 재미를 느꼈다면 나이는 6살이면 충분할거 같아요. 이른 나이에 배울수록 재미삼아서 바둑돌을 가지고 놀고 습득도 더 빠를거에요.
Rorschach
16/04/26 11:19
수정 아이콘
강요로 시키는게 아니라 아이가 하고싶어하고 재밌어하는거라면 6살이면 웬만한건 뭐든지 괜찮다고 봅니다.
사악군
16/04/26 11:20
수정 아이콘
저렇게 하고 싶어하면 시켜주는게 맞겠죠. 오히려 며칠 다니고 재미없어 안할래..-_-로 부모신경에 스크래치갈까 걱정입니다. 크크크
16/04/26 11:22
수정 아이콘
하고 싶어하면 해 주시지요. 비용이 부담스럽기는 하나, 집에서 노는 것이 아닌 다음에야 무슨 학원을 가더라도 어차피 돈은 듭니다. 하고 싶은 것을 해 주는 것도 부모의 보람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이어트
16/04/26 11:26
수정 아이콘
저는 7살때 배웠는데 재미있게 배웠던거 같네요.
어둠의노사모
16/04/26 11:29
수정 아이콘
13만원이면 사실 요즘으로 치면 비싼 것도 아니죠. 그냥 시켜주시는 게 좋을 것 같네요. 뭐 사실 굳이 바둑 배우는 거 아니더라도 자기 재밌는 거 하면서 놀고오는 비용으로도 충분히 괜찮으니까요. 물론 사악군님 말대로 오래 안 갈 거라는 것도 염두에 두시고;;;
Riffrain
16/04/26 11:39
수정 아이콘
아이가 원한다면 학원 보내는 걸 추천드립니다.
주변에서 어렸을 때부터 바둑 학원 오래 다녔던 사람들을 보면 다들 최소한 한 방향으로는 머리가 남들보다 비상한 편이더라구요
16/04/26 11:59
수정 아이콘
귀엽네요 흐흐
아이가 어린 나이에 뭔가를 배우고 싶어 하는데, 그게 바둑이라면 전 무조건 시켜줄 거 같습니다.
집중력이나 두뇌발달 등 여러모로 도움 될 거고 어린 나이라 더 좋을 거에요.

바둑 배워서 인생 망했다는 친구 아버지 얘기를 들은 적도 있습니다만.. (바둑에 너무 빠지는 바람에 바둑만 안 배웠어도 서울대 가셨을거라며..)
16/04/26 12:08
수정 아이콘
이른 나이에 바둑을 시킨다면 걱정할 건 하나밖에 없다고 봅니다.

[바둑돌 꿀꺽하기] <-- 이것만 걱정하시면 될 것 같네요.
16/04/26 12:09
수정 아이콘
저도 어릴때부터 다녔어요
5-6살쯤? 유치원 다닐때 갔으니

목적이야 집중력 향상이였지만
나름 3-4년 다닌 기억이 납니다

지금 기억하는거라곤 바둑돌 잡는 방법 정도지만
하심군
16/04/26 12:14
수정 아이콘
1달정도 시킨다고 생각하시고 해보세요. 저것도 나름 게임이라고 제가 12살인가 13살에 바둑학원 붐에 잠깐 다닌적 있는데 8살 아이한테 발리니깐 하기 싫더군요(...)
16/04/26 13:02
수정 아이콘
뭐든 꾸준히 할 수만 있다면 부모 입장에서 지지해 주는 게 좋지요. 돈이 아무리 많아도 아이기 하기 싫다고 하면 가르칠 방도가 없어요. 하고 싶다고 할 때 어지간하면 하게 해 주시고, 지원해 주세요.
16/04/26 13:03
수정 아이콘
전 강추합니다. 바둑이 심리정서면으로도 그렇고 집중력에 정말 좋아요. 13만원 투자할 가치 있다고봅니다.
Lightsaber
16/04/26 13:25
수정 아이콘
뭐든 어릴 때 재능을 계발시켜 주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조금만 나이먹어도 두뇌가 결정적인 요소들은 못 따라 간다는 느낌을 많이 받아서...
제이슨므라즈
16/04/26 13:27
수정 아이콘
저도 어렸을때 하도산만해서 바둑가르쳐서 영장류비슷한거 됐었다고합니다. 일년반배우고 이사간다고 그만뒀는데 프로기사 시키자고 원장님이 집에세번찾아왔었으니 적응못한것도아닐거구요
그나이가 7살이였르니 6살도 문제없을거에요
실루엣게임
16/04/26 13:31
수정 아이콘
저도 7살때 시작했었는데, 6살이면 큰문제 없을겁니다. 초등학교때 재미있게 했었고 집중에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Camomile
16/04/26 13:33
수정 아이콘
조치훈이 아마 5단 딴 시기가 5살이라고 합니다.
스파이어깨기
16/04/26 13:51
수정 아이콘
제가 6살 때부터 8살까지 뒀었습니다. 초등학교 1학년 때 이사가면서 그만뒀는데, 아직도 바둑을 어깨 너머로 즐기고는 있죠. 재미있을만 해요 흐흐
Leeroy_Jenkins
16/04/26 14:21
수정 아이콘
저도 7살때부턴가 배웠던거같았는데, 좋아하면 가르치시는게 맞지 않을까요? 저도 어려서는 참 재밌게 배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세종머앟괴꺼솟
16/04/26 14:49
수정 아이콘
킁 글내용같은 경우는 무조건 시켜야 할 거 같습니다 저렇게 좋아하는 거 보면 굳이 바둑으로 성공 안하더라도 지능개발에 엄청 도움 되겠네요
16/04/26 16:42
수정 아이콘
이거 왠지 한 십년 뒤에 유명 바둑기사의 탄생 비화로 나올것같은예감이 ....
스타카토
16/04/26 16:51
수정 아이콘
이곳은 전설의 시작이 될것같은 기분이 드네요.
10년후 이곳은 성지가 됩니다.
캡틴아메리카
16/04/26 17:08
수정 아이콘
10여 년 후 성지가 되길 바라겠습니다. 크크
언뜻 유재석
16/04/26 17:44
수정 아이콘
6살때인가.. 바둑학원을 갔다와서 집에서 펑펑 운 기억이 나요. 너무 금방 끝나서요.

아빠가 여기저기 묻고 오시더니 바로 다음날 등록시켜 주셨어요. 그게 아마 처음 바둑을 접했던 계기였던것 같아요.

-XXX 9단. LG배 세계기왕전 우승자
16/04/26 17:48
수정 아이콘
헉 댓글이..;
답변 감사합니다.
꼭 시켜봐야겠네요
그리고 전 대통령 시킬겁니다. 가능성이 있어요

https://pgr21.com/?b=10&n=142060
법기정원가든
16/04/26 18:34
수정 아이콘
차차차차차차차자자차차차자자기 대선후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2033 [질문] 제주도에서의 소개팅 방법? [20] 아스가르드7910 16/04/27 7910
82032 [질문] 울릉도 여행이 궁금합니다. [2] chsksrkd1440 16/04/27 1440
82031 [질문] 러블리즈 "그대에게"가 망했나요? [9] ohmylove2738 16/04/27 2738
82030 [질문] NBA 역대 베스트5 어떻게 될까요? [17] 카레맛똥4351 16/04/27 4351
82029 [질문] 비타민 좀 추천해주세요(그외 관련 질문) [2] 버스를잡자1614 16/04/27 1614
82028 [질문] 트로피코5 질문입니다! [3] 난순수해6692 16/04/27 6692
82027 [질문] 미용목적 피부과 잘 아시는분! [8] arq.Gstar1891 16/04/27 1891
82026 [질문] 기침이 너무 심하면 어디과로 가야하나요? [11] 롱리다2207 16/04/27 2207
82025 [질문] 로맨스 영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콰트로치즈와퍼1974 16/04/27 1974
82024 [질문] [LOL] 듀오 맞춰보실분 계실까요 wiggle1959 16/04/27 1959
82023 [질문] 페이스북이 미쳐 있네요...ㅠ.ㅠ [5] 미남주인2654 16/04/27 2654
82022 [질문] 안무 영상 추천해주실만한거 있을까요? [5] 오빠나추워1467 16/04/27 1467
82021 [질문] 갤s7 sd카드 암호화중이라고 5시간째 뜨고있어요 ㅠㅠ 도와주세요 부폰3813 16/04/27 3813
82020 [질문] 왜 어벤져스:씨빌워 가 아니라 캡틴아메리카 인가요? [12] V.serum3620 16/04/27 3620
82019 [질문] 오늘 송창식 왜 홀드가 없나요? [8] ll Apink ll3234 16/04/26 3234
82018 [질문] 과거 젝스키스가 추던 안무가 요즘 아이돌 안무보다 쉽나요? [19] 비타에듀4674 16/04/26 4674
82017 [질문] 버스기사의 욕 [7] 마제스티3172 16/04/26 3172
82016 [질문] 토익 RC 고득점 공략법에 대해 [10] 연필깎이2012 16/04/26 2012
82015 [질문] 임시공휴일은 갑자기 왜 나온 건가요? [11] 코왕3295 16/04/26 3295
82014 [질문] 저같은 사람은 마블 취향이 아닌건가요? [18] 뀨뀨3481 16/04/26 3481
82013 [질문] 아이허브 비타민D 마그네슘 칼슘 영양제 질문입니다. [4] 제이슨므라즈4694 16/04/26 4694
82012 [질문] 인텔 g860 듀얼모니터 사용 질문입니다. [2] 오상현2332 16/04/26 2332
82010 [질문] [공무원] 법과목이 이렇게나 어렵습니까?? [10] 불통왕4129 16/04/26 41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