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4/04 13:53
각 지역(아시아, 유럽, 북미, 중국)에 4명씩 블리즈컨 TO가 배정되어 있습니다.
아시아를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면 이번 따효니 선수가 우승한 윈터를 포함, 윈터, 스프링, 서머 챔피언십을 통해 우승자가 블리즈컨을 직행하게 되고 진출자를 제외한 아시아 지역 포인트 최상위 8명이 최종 선발전을 통해서 우승한 1명이 마지막 자리를 차지하게 됩니다.(유럽, 북미도 똑같습니다.) 아시아 챔피언십 선발 기준은 한국, 대만에서 각 2명, 일본 1명, 오세아니아 1명, 동남아 1명, 아시아 포인트 1위 1명이며 한국은 하마코 시즌 우승자와 자체 선발전 우승자에게 2장의 카드가 지급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하마코 시즌 4 우승자였던 서긔 선수와 선발전 우승자인 따효니 선수, 그리고 아시아 포인트 1위였던 핸섬가이 선수가 진출했었죠. 나라 별로 선발 기준은 다르며 한국 선발전은 한국에서 포인트 32명이(정확히는 31명 + 와글와글 하스스톤 챔피언십 우승자 1명) 예선을 통해 8명을 선발하고 오프라인 대회를 통해 우승자를 가립니다. 챔피언십의 경우 다른 대회 진행 사정상 TV로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어요 블리즈컨때는 히오스랑 겹치기도 하고 모든 경기를 TV로 중계하지는 않습니다. 하마코 예선에 대해서는 사견을 붙이자면 저도 싱글 토너먼트식 예선은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스타2같은 게임도 듀얼 방식으로 예선을 하는데 더 운이 많이 작용하는 하스스톤에서 싱글 방식은... 최근 많이 도입되는 스위스리그나 더블엘리미 같은 방식이 더 맞다고 보이고요 선발전 예선에서는 스위스 리그 방식을 썼는데 왜 하마코는 그대로 싱글엘리미였는지 모르겠네요
16/04/04 23:23
선발전 예선은 26명이라서 오전에 시작해서 오후에 다 끝냈는데 하마코는 이번에 530명 정도 참여했습니다.
할려면 할수있는데 하스스톤에 그만큼의 비용을 투자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거겠죠.
16/04/04 23:21
● 각 지역 챔피언쉽 관련 질문입니다. 이번에, 아시아, 유럽, 북미 각각 챔피언쉽을 진행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이 챔피언쉽이, 상반기, 하반기로 진행되는 건지, 아니면 1년에 한 번 열리는지 궁금합니다. = 겨울,봄,여름 에 한번씩 열리며 가을에는 블리즈컨을 합니다. - 또한, 각 지역별 챔피언쉽 진출자는 어떻게 결정되는지도 궁금합니다. 지역마다 뽑는게 다른데 아시아에서 한국은 = 하마코 우승자 한명, 블리즈컨 포인트 상위26명 토너먼트를 통해서 두명을 뽑습니다. - 각 지역 챔피언쉽 우승자는 블리즈컨 직행 티켓 얻는 게 맞죠? = 네 - 블리즈컨은 총 몇 명의 선수로 시작하며, LoL처럼 각 지역별로 정해진 진출자 인원 수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유럽,미국,중국,아시아 에서 겨울,봄,여름 총 12번의 챔피언쉽을 하므로 12명의 블컨 진출자가 결정되며 블컨을 하기전에 라스트콜이라고 각 지역에서 토너먼트로 한명의 마지막 블컨 진출자를 결정합니다. 이렇게 유럽,미국,중국,아시아 각 4명씩 총 16명의 선수가 블리즈컨을 나갑니다. ● OGN 중계 관련 질문입니다. - 챔피언쉽이면, 그래도 중요한 대회인데 TV로는 방송하지 않더군요. 인터넷을 통해서만 시청할 수 있던데, 중계권 문제로 방송을 못하는 건지, 아니면 작년 대회나, 블리즈컨도 원래 TV로는 방송을 하지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 자세한건 모르겠습니다. ● OGN 하스스톤 마스터즈 코리아 관련 질문입니다. - 개인적으로, 지금 예선 방식은 많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참가자에게 동등한 조건을 주는 것 외에는, 장점이 없어보이는데 이전 시즌 우승자 조차 시드가 없고, 한 번 지면 바로 탈락인 이 시스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깜짝 스타 발굴을 위한 것일까요. = 원래는 하마코 우승자 시드가 있었는데 블리자드에서 이번년부터 모든 참가자가 동등한 조건에서 시작하라는 방침을 내려서 시드를 없앴습니다. 현재 하스같은 운빨x망겜에서 시드는 너무나 큰 혜택이기 때문에 저는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이런 운을 줄이는 선발방식은 온게임넷이 고민해야될 문제인데 시즌5 때까지 싱글토너먼트를 고집하고 있습니다. - 하마코에서 성적이 좋으면 블리즈컨으로 가는 지름길이 될 수 있는지, 아니면 그냥 우승 상금만 많은 권위가 없는 대회인지 궁금합니다. = 하마코에서도 블리즈컨 포인트를 부여해주고 우승시 블컨직행이 가능하기에 한국에서 롤챔스처럼 하스스톤 대표리그 라고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