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31 13:11:50
Name 오스카
Subject [질문] 볼링 초보 질문입니다.
볼링에 재미 들려서 가끔 치는 정도인데요.

마이볼은 없어서 볼링장에 비치된 하우스볼로 칩니다.

훅을 주려면 볼을 굴릴 때 화살표 중 맨오른쪽에서 두번째 화살표를 겨냥해서 악수하듯? 손을 들어올리라고 해서 해봤는데 됐다 안됐다가 하는데요. 잘 될 땐 1,3번 사이로 들어가고 안 될 땐 3,10번 핀 사이로 굴러가는데요.

인터넷 좀 찾아보니까 하우스볼은 훅이 불가능한 공이라고 하더라구요. 그런데 이게 프로선수들이 하듯 막 왼쪽에서 굴려서 마구처럼 휘어들어가는 큰 훅이 아니라, 끝에서만 살짝 휘는 소소한 훅도 불가능한 건가요?

+하우스볼로 치려면 직구만 노리는 게 더 나은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좋은하루되세요
16/03/31 13:19
수정 아이콘
하우스볼로도 숏훅은 가능합니다.
특정 볼링장에 능숙해지면 롱훅도 넣은 사람도 보았습니다.
다만 마이볼이 아니여선지 에버리지 150~170정도만 나오더군요.
Neurosurgery
16/03/31 13:27
수정 아이콘
예전 경험에 의하면 손가락을 엄지를 빼고 던지면 훅이 되던데요.
16/03/31 13:52
수정 아이콘
볼링 레일을 보면, 중반까지는 기름칠이 되어있어서 공이 미끄러지기 때문에 스핀이 걸리지 않고요. 기름칠이 사라지는 부분부터 스핀이 시작되게 됩니다. 우선, 이런 정비를 볼링장에서 잘 했는지도 스핀에 영향을 주게 되긴 합니다.

하지만 결론은 스핀 잘주는사람은 잘 하더라구요;
16/03/31 14:05
수정 아이콘
하우스볼로만 치는데, 훅 잘 들어갑니다. 양 가에 하나씩 남은 스페어볼도 훅으로 잘 처리하곤 합니다.
훅을 영상으로 배웠는데, 악수 하듯이 손모양을 놓으면 된다고 해서 몇번 해보니 잘 들어가더라구요.
좀 익숙해지면 스트레이트보단 확실히 힘도 덜들고 쉽게쉽게 쳐집니다.
캐간지볼러
16/03/31 15:57
수정 아이콘
하우스볼 (전 돌탱이라고 부릅니다.)로 미세하게 휘어질 순 있으나, 보통 볼링에서 말하는 훅을 줄 수는 없습니다.
마이볼과 하우스볼은 겉의 재질, 속의 모양 모두 다릅니다. 속에 코어라고 하는 추 비슷한 게 있어서 12시 방향의 회전이 아니라 비스듬하게 회전을 주면 자연스럽게 휘어지는 것이고, 하우스볼은 코어가 없습니다. 그리고 마이볼의 겉의 재질에 의해 볼링장 레인에 있는 기름을 이기면서 훅이 들어가는 거구요.
훅의 모양이 끝에서 (Break Point) 살짝 휘는 것과 전체적으로 활처럼 휘는 건 1. 공의 성능 차이 2. 사람의 능력 차이입니다.

말이 길어졌는데, 어쨋건 하우스볼로는 직구 치는게 나중에 볼링 제대로 배우실려면 나을 겁니다.
오스카
16/03/31 18:3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프로 선수들 중에도 직구로 치는 선수도 있나요?
캐간지볼러
16/03/31 19:06
수정 아이콘
제가 한창 볼을 쳤던 2000년대 중반에 잠시 유행한 적은 있습니다. 하우스볼같은 공으로 친 건 아니고, 마이볼로 직구를 쳤죠. 동남아 프로볼러 사이에서 유행했는데 '스피너'라고 불렀습니다. 회전하는 방향을 아예 9시-3시 방향으로 굴리게 만들어서 파괴력을 극대화하는 방식이었는데, 손목에 무리도 많이 가고, 그냥 훅보다 별로여서 금방 사라졌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0670 [질문] 취업 자기소개서 작성 시 논문 작성일자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8] 막강테란2699 16/03/31 2699
80668 [질문] 양쪽 눈의 시력이 다르면 한쪽으로만 보는 게 사실일지요...? [13] nexon5962 16/03/31 5962
80667 [질문] 프렌치메이드 롤케익 드셔보신분 계신가요? [2] 키토1391 16/03/31 1391
80666 [질문] 호적을 옮기는 방법을 알고싶어요. [5] 향티8008 16/03/31 8008
80665 [질문] 아무것도 열심히 못하겠는 무기력감 어떻게 해야하나요? [9] 삭제됨2211 16/03/31 2211
80664 [질문] (법률) 자전거 타고가다가 오토바이랑 골목길 인도 도로 경계에서 충돌했거든요 [3] 신과함께1594 16/03/31 1594
80663 [질문] ZeroMQ 관련 질문드립니다. [1] 포도사과1342 16/03/31 1342
80662 [질문] 넷플릭스 드라마 추천해 주세요~ [8] 1q2w3e4r!1708 16/03/31 1708
80661 [질문] 보약 먹으면 살찌나요? [7] purflower892605 16/03/31 2605
80660 [질문] 최근 김현수 사태는 윤석민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 [4] 유유히2495 16/03/31 2495
80659 [질문] 용산역 근처에 호텔이 있나요? [4] 청춘불패2393 16/03/31 2393
80658 [질문] 보험을 해지하면 설계사에 불이익이 큰가요? [13] 로즈마리8386 16/03/31 8386
80657 [질문] [히어로즈] 내일 글로벌 챔피언쉽에 대해서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2] 레가르1504 16/03/31 1504
80656 [질문] 서류 없는 스쿠터를 받았는데 새로 서류를 만들고 싶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7] Christmas2794 16/03/31 2794
80655 [질문] 슬랙스에 어울리는 구두, 운동화 추천해주세요. [3] 기억의습작5079 16/03/31 5079
80654 [질문] 태블릿 사려는데 추천 부탁드립니다. [5] 비수꽂는 남자1451 16/03/31 1451
80653 [질문] 멀티탭에서 이정도가 허용되는지(?) 궁금합니다. [6] 도시의미학2227 16/03/31 2227
80651 [질문] 프로듀스 101 픽미 노래 누가부른거에요? [4] 돌고래씨3210 16/03/31 3210
80650 [질문] 다크소울 3 예약구매 할만할까요? [8] 아재1937 16/03/31 1937
80649 [질문] 스마트폰 게임 질문입니다 [2] opxdwwnoaqewu1455 16/03/31 1455
80648 [질문] [스타1] 채팅 안보는 플러그인 없나요? 더쿤더1472 16/03/31 1472
80647 [질문] 진해 군항제 질문 [13] up2036 16/03/31 2036
80646 [질문] 라스베가스에서 3박4일... 뭘 해야 알차게 보낼까요? [25] 유노윤하2313 16/03/31 23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