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24 08:01:26
Name 살고싶다이직하자
Subject [질문] 헌혈 관련 질문드립니다.
최근에 헌혈을 정기적으로 하려고 결심하고
3월 초에 성분헌혈을 했습니다.
그전까지는 전혈헌혈만 몇차례 해봤었습니다.
잘 몰라서 간호사분이 추천하는대로 혈소판 헌혈을 했는데요,
그 이후에 검색해보니 종류가 여러가지 있더라구요.

전혈헌혈, 성분헌혈: 혈장헌혈, 혈소판헌혈, 혈소판혈장헌혈이 있던데,
제가 질문하고 싶은것은..

1. 이 중에서 가장 도움이 되는(?)헌혈이 있다면 어느것일까요? 가장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헌혈이랄까요...

2. 헌혈하는 사람의 신체에 가장 부담이 적은 헌혈 방식은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좀 검색해보니 혈소판 헌혈보다는 혈소판혈장헌혈이 좋더라~하는 후기도 있고 하던데..
둘다 좀 애매한 질문이지만..
   실제로는 어떤지 차이가 있는건지 아니면 똑같은건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자유형다람쥐
16/03/24 08:23
수정 아이콘
대체로 다 유용합니다. 제일 유용한 혈액은 헌혈의집에서 부족하다고 하는 혈액이죠 흐흐...
부담이 가장 적은 헌혈은 혈장헌혈이 아닐까 싶은데요. 혈장성분만 빼내고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은 다시 돌려받으니까 몸에서 만들어내야 할 혈액성분이 좀 덜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CLAMP 가능빈가
16/03/24 08:39
수정 아이콘
적십자가 얼마나 이득을 취하는진 모르지만, 전혈, 혈소판 헌혈은 어쨌든 사람에게 쓰이는 데 반해서
혈장은 사람에겐 별로 쓰이지 않고 약으로 만들어 적십자 배를 불리는데 사용돼서 혈장 헌혈은 하기가 싫던......
16/03/24 11:11
수정 아이콘
약으로 만드는 혈장은 유통기한이 지나 폐기된 것만을 사용하지, 그걸로 영리 이익을 취하지는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CLAMP 가능빈가
16/03/24 12:21
수정 아이콘
scania님이 알고 계신 거 말고 확인할 수 있는 글이 있나요?
헌혈 50번 정도 했고 궁금하고 관심도 있어서 관련 글은 어느 정도 찾아 봤었거든요.
따지거나 그런 거 아니고 궁금하고 알고 싶어서 그렇습니다. ^o^;
16/03/24 12:36
수정 아이콘
저도 저희병원 혈액관리에서 배운 겁니다만...
애초에 비리를 저지른 것도 아니고, 제대로 하고 있습니다!를 증명하는 길이 뭐가 있는지 여쭤보고 싶네요.
혈액관리법이나 적십자사 규약을 살펴보세요.
16/03/24 12:40
수정 아이콘
그리고 혈장은 사람에겐 별로 안 쓰인다는거... 그건 보통 사람 이야기죠...
그거 헌혈은 몸에 안좋다는 식의 괴담입니다. 의학을 조금만 배운 사람이면 그런소리 못합니다.
느린발걸음
16/03/24 11:56
수정 아이콘
혈장으로 백혈병이나 혈우병 환자를 의약제재를 만드는것으로 알고있는데 그거 없으면 그분들 죽어요...
CLAMP 가능빈가
16/03/24 12:23
수정 아이콘
심정적으로 그렇다는 거고요.
저도 헌혈 50번 정도 했는데, 반 정도는 혈장혈소판 헌혈입니다.
느린발걸음
16/03/24 13:03
수정 아이콘
앞뒤가 안맞네요. 성분헌혈이 사람들한테 별로 안쓰인다고 하셔서 백혈병 환자들한테 쓰인다고 말씀을 드렸는데...
심정적으로 그렇다는 건 무슨 말씀인지 잘 모르겠네요.
더스번 칼파랑
16/03/24 08:58
수정 아이콘
일단 말씀 드리면

1. 일단 헌혈의 집은 혈소판을 원하기는 합니다. 시간도 오래 걸려서 사람들이 잘 안하려는 것도 있고..(그래서 주는게 약간 더 세지만)

2. 신체 부담이 덜 되는 것은 개인차가 있을것 같습니다. 200회가 넘는 동안 80% 이상을 혈소판으로 해서 그런거기는 하겠지만
기본적으로 하고 나서 피로감은 비슷한거 같더라고요. 다만 개인적으로는 혈소판혈장 헌혈을 피했습니다.
헌혈을 많이 해서 철분 수치가 낮은데 저거 하다보니까 철분 수치 복귀가 잘 안되는것 같아서....
16/03/24 11:09
수정 아이콘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님께 직접 여쭤본 답을 드립니다.
가장 유용한 것은 전혈입니다. 전혈가지고 여러개 성분으로 다 나눠 쓸 수 있습니다.

헌혈의 집에서는 실적때문에 자주 할 수 있는 혈소판을 원하지만 그게 가장 유용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신체 부담은 헌혈 후 다음 기간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시면 됩니다. 짧을수록 대체적으로 부담이 덜한 헌혈법입니다.
정확하게는 본인 몸에 생산을 잘 하는게 부담이 덜하겠죠. 피검사 해봐야 압니다.
16/03/24 12:09
수정 아이콘
1. 전혈이요 (단호)
2. 이건 개인차가 있....
살고싶다이직하자
16/03/29 17:43
수정 아이콘
모두 답변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0279 [질문] 노래노래 능력자분.. (허밍포함) [3] Outstanding1506 16/03/25 1506
80278 [질문] 컴퓨터 견적 짜봤습니다. 평가 부탁드려요. [4] 고구마아2362 16/03/25 2362
80277 [질문] 엑셀 함수 질문 [2] 새벽녘1478 16/03/25 1478
80276 [질문] 최근 러시아 경제에 대해 알고 싶은데요 [1] 피아니시모1372 16/03/25 1372
80275 [질문] 자작웹툰을 올려보고 싶은데 유머게시판을 이용하면 되나요? [27] 6년째도피중2299 16/03/24 2299
80273 [질문] 청색광 차단안경 쓸만한가요? [5] 신입사원2059 16/03/24 2059
80272 [질문] [헬스] 너~~~~~무 허약한것 같습니다. 운동을 할 수가 없어요 [16] 블루레인코트6688 16/03/24 6688
80271 [질문] 아침고요수목원 근처 식당질문드려요 [3] 꿍이아빠1870 16/03/24 1870
80270 [질문] 컴퓨터 인터넷 질문드립니다 [2] 홍수현1601 16/03/24 1601
80269 [질문] [LOL] 게임중 끊김현상 [2] RealGN1640 16/03/24 1640
80268 [질문] 우체국 알뜰폰 요금제 질문입니다. [8] 어둠의노사모1995 16/03/24 1995
80267 [질문] 이번 분기 애니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Yande.re2317 16/03/24 2317
80266 [질문] 노트북 부품을 조건별로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나요? [2] 감자돌돌이1501 16/03/24 1501
80265 [질문] 새누리당을 지지하는 영남권분들은 새누리당 이름을 지지하는건가요? [19] 랜슬롯2558 16/03/24 2558
80264 [질문] 제주도 렌터카 업체 문의 [13] 에프케이2206 16/03/24 2206
80263 [질문] 무슨 웹툰이었을까? [4] 항돌이2277 16/03/24 2277
80262 [질문] 십년이면 강산이 변하나요? [11] Dr.깽2390 16/03/24 2390
80261 [질문] . [2] 삭제됨1335 16/03/24 1335
80260 [질문] 술 먹기전에 먹는 약?음료? 추천부탁드립니다 [11] 손예진10164 16/03/24 10164
80259 [질문] 요즘에 목통증이 부쩍 심해졌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2] 도쿄타워1550 16/03/24 1550
80258 [질문] 라면대회에 쓸소스 [12] 삭제됨2487 16/03/24 2487
80257 [질문] 유니버셜스튜디오 쿨재팬을 샀는데 익스4 추가 구매 무리수일까요? BISANG1513 16/03/24 1513
80256 [질문] 스스로 머리 다듬는 분 계신가요? [5] 이혜리1617 16/03/24 16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