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16 08:27:53
Name 신입사원
Subject [질문] 헬스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헬스를 시작한지 3주째인 초보입니다.

그간 헬스하면서 궁금했던 점들이 생겼는데 답변 부탁 드릴게요.

1. 헬스하는데 무게를 어느정도 놓아야 하나요?
예로 팔운동하는 기구에서 20키로를 놓고 하면 살짝 가볍다?는 느낌이 들고 30을 두면 살짝 벅차다?는 느낌이 들어서 매번 고민이네요

2. 칼로리 관련 질문입니다. 아침을 보통 꼭 먹으라고 하는걸로 들었는데 아침 안먹으면 칼로리를 더 적게 섭취한거라 살이 더 빠지는거 아닌가요??

또, 6시 이후로 먹지말라는 것도 그 하루에 먹은 총량만 똑같다면 별로 상관없는거 아닌가요?

3. 자위나 성관계로 사정시 근육생성에 안좋을까요? 정액이 단백질로 알고 있는데...

4. 보통 어느정도 힘들때까지 해야 하나요? 그냥 하다보면 더 못하겠다 생각 들때까진 하는데 이젠 슬슬 알도 안배기고 하는데 이게 맞는건지 모르겠습니다.

5. 아직 초보라 부위를 정해서 하기가 뭐해서 우선 헬스장 가면 전체적으로 상체를 합니다. 전체적으로 상체를 10~15회로 4세트씩 하는데 세트별로 휴식시간은 어느정도가 좋은가요?

6. 호흡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힘쓸때 들이마시는거 맞죠? 근데 이거 신경쓰면 몇개했는지 숫자를 못세갰고 신경안쓰면 막 하고있고... 호흡 어떻게 하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재입대
16/03/16 08:38
수정 아이콘
정확한건 전문가분들이 알려주시겠지만 제가 알고 있는 상식선에서
2. 식사를 언제하던간에 하루에 섭취하는 총칼로리량에 비례한다고 합니다. 언제 먹느냐는 거의 영향이 없다고 하네요 보통 사람들이 먹을거 다먹고
야식 더챙겨먹으니 야식을 먹지마라 6시이후 먹지마라 하는거라고 들었습니다. 근데 왠만하면 운동하기 전에 먹는게 좋겟죠; 아침식사도 먹는게 낫다
안먹어도 속 괜찮으면 안먹는게 낫다 워낙 말이 많아서..자기전에 먹고 속버리지마라 정도 아니면 대부분 언제 먹든 상관없다고 하네요.
4. 보통...은 잘모르겠지만 저는 한 1년 한 그냥 일반인인데 부위마다 다르긴 하지만 하체 가슴 어깨 등 은 보통 아픈게 3,4일은 가는거 같습니다.
6. 저같은 경우 생각해보니 레터럴레이즈 말고는 다 비슷한데 힘뜰때(밀거나 당길때...)숨을 뱉습니다..
동네형
16/03/16 08:55
수정 아이콘
3. 노상관
6. 힘줄때 숨 들이마셔 참고 풀면서 내쉬고 이게 중량 좀 치는 분들인데
저중량이면 힘주면서 내쉬고 빼면서 드이마셔도 되구요.
편한대로하세용

나머지는 qna에 다 있는거네요
16/03/16 09:01
수정 아이콘
1. 매우힘들다 직전 정도가 이상적인데 부상위험등도 고려해야죠 초보면 어려운 운동은 낮은 무게로 자세습득부터 해야 할겁니다.

2. 끼니를 거르면 다음 식사때 더 많이 먹고 식사횟수가 적을수록 더 안좋을겁니다. 에너지를 축적하려는 성향이 높아진다고 해야 하나..
그리고 보통 야식을 참기 힘들어하니까 그런말이 있는거죠,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하루먹은 총량이 같다면 별 상관없는게 맞습니다.

3.전혀요.

4.더 못하겠다 정도면 훌륭히 하시는건데 너무 무리하시는건 안좋고 가능하면 모든 운동을 세트운동을 하세요. 30번해서 더 못하겠다 생각들 운동이면 10번씩 나누면 4세트 이상도 할수 있습니다.

5.세트별로 하시는군요..1분정도가 보통일텐데 왠지 느낌이 기구라는게 머신쪽 하시는거 같은데 자세 배워서 데드나 스쿼트 같은 전신운동 큰 운동하시는걸 목표로 하는게 좋아보입니다.

6.반대로 알고 있습니다. 힘쓸때 내뱉습니다.
Go2Universe
16/03/16 09:25
수정 아이콘
1. 매우 힘들다가 좋은데 근육통이면 좀 시도하고 관절이 아플거 같으면 절대 하지 마세요. 무게도 중요한데 셋트당 갯수도 중요한 부분이란거 기억하시구요.

2. 먹고하면 좋은게 혈당치가 올라가 운동량이 많아지는거 같더라구요. 전 그래서 보통 먹고 하는 편입니다.

3. 이 것 많이 하면 칼로리 소모 심합니다. 강추해요

4. 전 1년하고 데드, 스쿼드 제 체중까지 왔네요. 여기서부턴 다른 차원으로 이동같아 보이더라구요. 달릴것인가 유지할것인가.

5. 전 3분할(어깨 상태 좋으면 어깨는 따로해서 4분할 합니다. 등, 하체, 가슴, 어깨 이런 식으로요 전 휴식시간 1분 유지할려고 노력중이네요)

6 크게 상관없어보이더라구요. 편하게 몸따라 가면 될거 같아요.
16/03/16 11:44
수정 아이콘
1. 자세가 제대로 잡혀있지 않은데 중량올리는건 자살행위입니다. 저도 한때 중량뽕에 취해서 그저 무겁게만 들다가 최근에 크게 깨닫고 저중량부터 차근차근 다시 올라가고 있어요. 처음이라면 절대적으로 저중량부터 정확한 자세로 하세요.

2. 아침 안먹어도 그만큼 낮에 먹으면 똑같습니다.

3. 한번 사정하는 정액에 단백질이라고 해봐야 밥 한 숟갈 만큼도 없을겁니다. 대부분 수분이예요.

4. 알 배겨야 운동되는거 아닙니다. 저는 메인운동프로그램 시간을 딱 1시간 잡고 한시간 안에 온몸을 조진다는 각오로 그냥 X나게 열심히 합니다. 폰 들여다보지 않고 열심히 하면 한시간이면 충분히 전신을 다 털어버릴 수 있어요.

5. 목표하시는 골이 어떤것인지는 모르겠지만 하체 없이 상체 없습니다. 상체를 키우는게 목적이다 해도 하체와 병행하는게 훨씬 성과가 빠릅니다.

6. 이건 운동성향따라 갈리는 것 같은데 저는 스쿼트나 데드시엔 힘 주는 포인트에서 최대한 들이마셔서 흉곽을 팽창시키고 허리를 세워 복압을 유지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862 [질문] [LOL] 현 화제가 되는 BJ 실력 좋기로 유명하지 않았나요? [21] 딴딴3871 16/03/17 3871
79861 [질문] 앱스토어랑 아이튠즈 쓰시는분들 급히 질문드립니다. [8] 송주희2189 16/03/17 2189
79860 [질문] 모니터 연결선(RGB, DVI, HDMI)관련 문의에요 [6] 무조건한놈만2010 16/03/17 2010
79859 [질문] 패드립+나이로 진상떠는 것에 대한 반박 짤방 찾습니다. [1] The)UnderTaker2223 16/03/17 2223
79858 [질문] 앱개발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싶습니다. [2] MoveCrowd1141 16/03/17 1141
79856 [질문] fm2016 초보 입니다. 초보팁좀 부탁드려요 [5] 노래하는몽상가4088 16/03/17 4088
79855 [질문]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핸드폰 재부팅현상 어떡해야 할까요 [4] 스키너2989 16/03/16 2989
79854 [질문] 외장하드 질문합니다. [3] 소다수1715 16/03/16 1715
79853 [질문] 신도림 기준 도보 1시간 이내에 괜찮은 기사식당이 있으면 추천 부탁드릴게요. [5] 미남주인2566 16/03/16 2566
79852 [질문] 경찰 근무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8] 삭제됨3374 16/03/16 3374
79851 [질문] 농산물 온라인 직거래에 대해서.. [5] 지바고2350 16/03/16 2350
79850 [질문] 취준 과정 질문입니다. [2] 마제스티2345 16/03/16 2345
79849 [질문] 3월말쯤 일본여행 항공권 예약하신분 계신가요? [22] 구름이가는곳wwww2369 16/03/16 2369
79847 [질문] 클래시 로얄 유닛 왼쪽위 숫자 [3] workbee1909 16/03/16 1909
79846 [질문] 인적성 인강 선생님 추전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호날두호우호우1426 16/03/16 1426
79845 [질문] 뚝섬역 근처 카페 [4] 금모모1946 16/03/16 1946
79844 [질문] 컴퓨터의 폴더 및 파일 분류는 어떻게 하시는지요...? [5] nexon1703 16/03/16 1703
79843 [질문] 공항 라운지 사용을 위해, 연회비 5만원짜리 카드를 사는게 이득일까요? [18] 박용택4581 16/03/16 4581
79842 [질문] 과거 모스크바대학 유대인 신입생 [2] 현금이 왕이다1513 16/03/16 1513
79841 [질문] 독일 여행 질문입니다. [5] 빙봉1449 16/03/16 1449
79840 [질문] [잠시오픈] 취업용 증명사진 다시 찍어야 할까요? [15] 뀨뀨2232 16/03/16 2232
79839 [질문] 온천에 래쉬가드 가능한가요? [8] 우메보시6334 16/03/16 6334
79838 [질문] 스마트폰(갤럭시s5)에서 일본어 입력에 관한 질문입니다 [2] 도연초1585 16/03/16 15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