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08 12:59:16
Name 순수한사랑
Subject [질문] [클래시로얄] 덱조언및 팁부탁드립니다


본캐입니다 아레나3











부캐인데 부캐는 뭔가 아레나3에서 2로 강등되고그러네요..


덱조언및 우선업글하면 좋은 카드 추천 부탁드려요

상자 4개다차면 너무 심심하네요.. 크라운까지 먹고나면 더더욱 할게없고

아레나는 그냥 무조건 올라가는게 좋은가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방민아
16/03/08 13:22
수정 아이콘
덱에서 컨셉을 못느끼겠습니다.

전 필드 컨트롤 덱으로
3코: 기사, 아처, 폭탄병
4코: 해골군대, 머스킷병
5코: 자이언트, 고블린 오두막, 위치
이렇게 쓰고 있고, 아레나1덱 임에도, 아레나 3에서 3:0으로 잘 이기고 있습니다.

드래곤, 프린스는 흙수저라 없습니다ㅜㅜ

덱 운영은 첫 카드는 무조건 상대가 올리는 것을 보고 올린다. 이게 끝입니다. 상대가 뭐 내는지 보고 맞춰 내면서, 조금씩 필드를 장악해나갑니다. 폭탄병, 해골군대(프린스/자이언트 명치 카운터용)는 방어용으로 많이 쓰이고, 나머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스펠이 없는 이유
전 스펠의 효율성이 별로라고 생각해서 넣지 않았어요. 방어타워+스펠+고블린통?? 정도로 재미없게 플레이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전 하스스톤을 잘 모르지만 얼방법사??와 약간 컨셉이 비슷하지 않나 생각해요. 문제는 쓸만한 방어타워가 대부분 아레나 4이후에 나오더라구요.

2) 드래곤, 프린스
드래곤, 프린스가 둘다 있다면 필드 컨트롤과 명치덱 둘을 게임내에서 바꿔가며 활용가능합니다. 폭탄병/드래곤/기사 등으로 한쪽라인을 5:5정도로 만들고, 빈 라인에 엘릭서 아껴서 프린스 닥돌하는 명치덱 진짜 싫어요. 아니면, 그냥 둘다 밀어넣고 한 라인 후벼파도 되구요. 드래곤/프린스 둘다 없는 유저로서 둘다 있는 유저 상대하기에 굉장히 버겁습니다. 아레나 3까지 올라오면서 한 3~4번 졌는데, 그 중 2번이 드래곤/프린스 둘 다 있는 덱이었어요ㅜㅜ 흙수저는 웁니다.

3코: 폭탄병, 기사, 아처
4코: 머스킷
5코: 드래곤, 프린스, 고블린 오두막
나머진 2코 창고블린이나, 5코 자이언트 넣으심 될거 같아요.. 사실 드래곤, 프린스 써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ㅜㅜ 좀 써봤어야알지... 용이 5코일줄 알았는데, 4코였네요. 개사기네 이거 크크 그러면 그냥 자이언트나 위치 넣으시면 될 거 같아요.
순수한사랑
16/03/08 13:31
수정 아이콘
덱은 스샷찍을려고 그냥 올렸습니다. 계속 바꾸고있어요

조언감사합니다.
16/03/08 13:27
수정 아이콘
상자가 다 쌓여 있더라도 아레나는 더 올라가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카드 기대값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첫 덱은 요즘 많이 활용되는 물량덱이랑 비슷하기는 한데 상대방이 주도권을 잡아버리면 대처만 하다가 끝나는 경우가 종종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해골 군대를 빼고 나이트나 몸빵이 좀 되는 카드를 하나 추가 해서 공격 시 프린스가 어그로를 조금이라도 덜 먹게 하는 것도 방법일 수가 있겠고
물량덱으로 가실 예정이시라면 초반은 힘들더라도 수비 위주로 가다가 마지막 1분에 (엘릭서 2배 타이밍) 모든걸 쏟아 내면 1~2 크라운은 무난할 것 같습니다.
순수한사랑
16/03/08 13:32
수정 아이콘
저는 방어는 잘안맞더라구요.. 물량덱 생각해봐야겠네요
16/03/08 13:38
수정 아이콘
사실 지금 가지고 계신 덱으로 닥공을 하기엔 좀 부족하긴 합니다. 하시려면 아기용을 활용한 덱을 연구하셔야 할 듯 한데.. 그러려면 마녀 / 창고블린 / 프린스 정도는 활용하셔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반 카드 레벨들이 아레나 2~3치고는 낮진 않아서 조금만 연구하시면 아레나 4는 충분하지 않을까 싶네요~
16/03/08 14:39
수정 아이콘
무과금 5렙 121/400 트로피 1217 입니다.

저도 초보지만, 약간의 조언을 드리자면 상대 폰에 전화가 오지 않는 이상
한쪽을 공격으로 뚫기는 참 어렵습니다. 특히 무과금이라면요.
그래서 타워끼고 방어하기, 약한 공격은 타워로 방어를 기본으로 운영하며
첫 덧글의 방민아님 말씀처럼 엘릭서를 아끼다가 반대편으로 프린스+창 고블린 돌격을 자주 이용합니다.

저와 덱은 거의 비슷한데 해골무덤 => 발키리, 머스켓 병 => 창 고블린, 미니언 => 베이비 드래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프린스 1렙, 베이비 드래곤 1렙 ㅠㅠ

전 통 고블린, 자이언트 해골, 얼음 마법, 고렙 베이비 드래곤 사용하는 유저들을 매우 싫어합니다.
순수한사랑
16/03/08 14:47
수정 아이콘
부캐에 통고블린 떠서 써보니 좋더군요.. 자이해골은 좀 모르겠고..

프린스때문에 해골군대는 아껴두고있네요 다른거보다 젤 막기 수월해서
방민아
16/03/08 14:53
수정 아이콘
3코 해골무덤 말씀하시는거 같아요 크크
사령이
16/03/08 17:25
수정 아이콘
본캐 무과금 14일 2000 / 부캐 무과금 7일 1700

2000점까지 가장 쉽게 무과금이 올리는 방법은 하나 입니다. 모든 게임에 적용 될 수도 있는 말 입니다. 자기에게 맞는 쉬운 덱으로 계속 연습해서 실력을 늘리는 겁니다. 저도 첫날 아레나4까지 올렸는데 이후 이것저것 바꾸다가 정착한 덱으로 쭉 지금까지 하고 있습니다. 아직 하신지 얼마 안되셨으니 초보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어울릴 만한 쉬운 덱을 소개해 드릴게요. * 혹여나 연습해 보시고 도저히 안맞으면 다른 덱을 찾는게 현명한 방법 입니다. 다른 사람에게 쉽다고 나도 쉬운건 아니니까요.

화살비 해골무덤(캐논 대체가능) 자이언트 머스킷병
창고블린 봄버 마녀 나이트(고블린/호그라이더/미니언 대체가능)

여러 조언 글이 많기 떄문에 짤막하게만 팁을 쓰겠습니다.

1. 이 덱의 포인트는 상대방의 공격을 최소의 엘릭서로 수비해 낸 다음 자이언츠나 나이트를 앞세워 뒤에 원딜(봄버 머스킷 창고블린 마녀) 등을 배치에 공격가는 전략입니다.

2. 가장 중요한것은 최소의 엘릭서로 수비하는 것인데 유닛 간의 상성을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프린스(5)의 경우 타워 앞 해골무덤(4)에 막힌다(+1이득) 미니언패거리(5)는 화살비(3) 한방에 완전히 정리된다. (+2 이득) 이런 식으로 어떤식으로 상대 유닛에 대처에 유닛을 꺼내고 엘릭서 이득을 보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3. 빌딩을 활용한 수비법 + 응용
캐논이나 해골무덤을 맵 중앙에 지어줌으로 각종 자이언트나 나이트 프린스 페카 아기용 등의 어그로를 끌 수 있고, 그동안 소환한 다른 유닛들로 수비를 해낼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응용은 빌딩건물 뿐만 아니라 자이언트나 나이트도 좋은 어그로가 될 수 있습니다. 예을 들어 아기용이 혼자 달려오는데 막을 건물도 원딜도 없습니다. 그런데 나이트는 있다면 그냥 나이트를 타워 앞에 세우면 아기용은 타워에 맞으면서 나이트만 치는데 타워는 하나도 피가 깎이지 않고 나이트(3) 생존하며 아기용(4)은 죽습니다. 이런식으로 +1 엘릭서 이득에 나이트까지 적은 피지만 생존 함으로 1-2대 정도 탱킹을 할 수 있습니다.

4. 로얄TV 시청을 하지마라.

스타나 롤에서 초보자들이 가장 실력이 늘지 않는 이유는 최상위 프로들 경기를 보기 떄문입니다. 아직 중학교 과정도 끝내지 않았는데 모의고사 문제집을 풀고 있는 격이죠. 네이버카페나 인벤 그리고 레딧클래시로얄에 가시면 수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특히 무과금으로 낮은 아레나에서 플레이한 영상도 많습니다. 한번 찾아보시길 권합니다. 수십판은 해야 알 지식을 영상 한번으로 알게되는 경우도 있거든요.

5. 리플레이 활용
제가 스타나 롤을 할때도 남들보다 최소의 시간으로 티어를 올리곤 했는데 가장 주요했던게 리플레이 활용 이였습니다. 최소한 지는 경기는 다시 돌려보면서 중요한 지점에서 멈춰 어떻 덱을 어떤 위치에 어떤 타이밍에 냈어야 했는지 한번 다시 생각해 봅니다. 그러면 아무리 좋았던 플레이라도 더 좋은 플레이가 나오더라구요. 점수 올리는데 많은 판수는 필요없어요. 빠른 분들은 무과금도 200판 2주 이내로 다들 2000점에 도달 하니까요. 가장 빠른 분은 1주 100판만에 오른 분도 봤..(나이가 19이라지만 흠)


아레나는 무조건 높은게 좋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391 [질문] 치과 믿어야할까요?.. [23] 삭제됨4816 16/03/08 4816
79390 [질문] 윈도우 10 한영 전환 질문드립니다 [2] 포도사과1649 16/03/08 1649
79389 [질문] 게시물을 찾고 있습니다. 도시의미학931 16/03/08 931
79388 [질문] 뱃살이 생긴게 맞을까요? [3] 삭제됨1893 16/03/08 1893
79387 [질문] 제게 맞는 노트북 추천 부탁드려욤 [2] 이센스1675 16/03/08 1675
79386 [질문] 이어폰을 하나 사려고 하는데요... 모델명이 궁금해서요. [16] alphamale1875 16/03/08 1875
79385 [질문] 고등부 영어 커리큘럼이 궁금합니다. 게롤트1575 16/03/08 1575
79384 [질문] 운전면허 갱신기간 질문입니다. [4] fhbtyjs1572 16/03/08 1572
79383 [질문] 어댑터/충전기 구매 문의 드립니다. 豚6921232 16/03/08 1232
79382 [질문] 전세금 대출 문의 드려요 [10] DogSound-_-*5016 16/03/08 5016
79381 [질문] 게임대회 초청가수 공연 순서 질문.. [5] 솔마1524 16/03/08 1524
79380 [질문] 폴란드를 여행할 때 독일어가 도움될까요? [4] 소야테3519 16/03/08 3519
79379 [질문] 영어 면접 관련 동영상 강의 및 사이트 문댄서1330 16/03/08 1330
79378 [질문] [TOS] 위저드직업트리 뭐가좋을까요? [6] 민최강1341 16/03/08 1341
79377 [질문] [LOL] 피지컬이 안좋은 사람이 어디까지 올라갈수 있나요? [33] 톰가죽침대5199 16/03/08 5199
79376 [질문] 둘이서 같이 할만한 온라인 게임 추천해주세요~ [7] CrucialStar9970 16/03/08 9970
79375 [질문] 라디오스타 초창기, 음담패설 같은 개판(?) 예능 없을까요? [9] 후메참2282 16/03/08 2282
79374 [질문] 커리의 오픈 3점 성공확률은 몇% 정도 되나요? [5] 마르키아르2858 16/03/08 2858
79373 [질문] [WOW] 던전 혈투의 전장 보스몹이 얼어있습니다. [4] 주전자5251 16/03/08 5251
79371 [질문] [LOL] 락스타이거즈 선수들 나이가 어떻게 되나요? [5] RENTON6949 16/03/08 6949
79370 [질문] 평균과 표준편차 관련 질문 [10] Je ne sais quoi1653 16/03/08 1653
79369 [질문] 체지방 감소를 위한 식단 바꾸기 질문 [5] 스위든2074 16/03/08 2074
79368 [질문] [하스스톤] 어떻게 즐겨야 하나요?? [17] Bruce Wayne 2677 16/03/08 26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