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5/12/27 22:54:28
Name 전설의황제
Subject [질문] 이윤열선수 vs 임요환선수
임요환

역대전적 1033전 603승 430패 (58.4%)

[2009.7] e스타즈 헤리티지 4강
[2005.11] SO1 온게임넷 스타리그 준우승
[2004.11] EVER 2004 스타리그 준우승
[2004.01] KT-KTF 프리미어리그 통합 챔피언쉽 준우승
[2004.01] KT 메가패스 네스팟 프리미어 리그 우승
[2003.10] Toona배 BIG 4 SPECIAL 우승
[2003.07] 올림푸스배 2003 온게임넷 스타리그 3위
[2003.04] iTV 스타크래프트 랭킹결정전 5차 리그 4위
[2003.03] KTEC배 KPGA 투어 위너스챔피언쉽 2위
[2003.01] KTF 비기 4대천왕전 우승
[2002.11] 2002 WCG 스타크래프트 개인전 우승
[2002.10] SKY 2002 온게임넷 스타리그 준우승
[2002.10] 2002 KPGA TOUR 3차 리그 3위
[2002.04] 2002 KPGA TOUR 1차 리그 우승 (2002.4.14)
[2002.04] ITV 3차랭킹전 준우승
[2001.12] ITV 2차랭킹전 3위
[2001.12] SKY배 Ongamenet 스타리그 준우승
[2001.10] The 1st World Cyber Games 국가대표 선발전 우승
[2001.09] 코카콜라배 OSL 우승 (2001.9.8)
[2001.06] 최후의 결전 ‘last 1.07’ 임 요환 vs 기욤 특별전 우승
[2001.06] WCG 게이머 파티 특별전 임 요환 vs 프레드릭 우승
[2001.05] 3회 Game-q 스타리그 우승 (2001.5.2)
[2001.05] 한빛 소프트배 Ongamenet 스타리그 우승
[2001.03] Zzgame.com 배 프로게이머 32강초청전 우승
[2001.01] 겜TV Let's go 게임월드 한국최강 프로게이머 초청전 우승
[2000.12] 삼성 디지탈배 2000 KIGL 왕중왕전 우승
[2000.09] 삼성 디지탈배 KIGL 추계리그 프로게이머 랭킹1위
[2000.09] 제1회 Korea.Cnet 게임대회 우승 (2000.9.18)
[2000.05] 제1회 SBS 하나로통신배 멀티게임 챔피언쉽 3위(2000.5.14)
[2000.01] M.police배 게임대회 우승 (2000.1.9)
[1999.12] 제1회 SBS 멀티게임 챔피언쉽 우승 (1999.12.16)



이윤열

역대전적 1157전 708승 449패 (61.2%)

[2002년 4월] ITV 3차랭킹전 우승
[2002년 5월] ghemTV 스타리그 1차 3위
[2002년 6월] 2002 KPGA TOUR 2차 리그 우승
[2002년 9월] ITV 4차랭킹전 우승
[2002년 10월] 2002 KPGA TOUR 3차 리그 우승
[2003년 1월] 2002 KPGA TOUR 4차 리그 우승
[2003년 2월] 파나소닉배 OSL 우승
[2003년 1월] KTF 비기 4대천왕전 2위
[2003년 4월] ghemTV 3차 스타리그 우승
[2003년 3월] KTEC배 KPGA 투어 위너스챔피언쉽 3위
[2003년 4월] 벼룩시장 FindAll배 챌린저오픈 스타리그 2위
[2003년 6월] 핫브레이크 온게임넷 마스터즈 우승
[2003년 7월] Stout배 MBC게임 2003 스타리그 준우승
[2003년 11월] TG삼보배 2003 MBC게임 스타리그 3위
[2004년 1월] KT-KTF 프리미어리그 통합 챔피언쉽 우승
[2004년 1월] KTF BIgi 프리미어 리그 우승
[2004년 4월] 하나포스 센게임배 2004 MSL 준우승
[2005년 1월] KT-KTF 프리미어리그 통합 챔피언쉽 3위
[2005년 2월] 당신은 골프왕배 2004 MBC게임 스타리그 준우승
[2005년 3월] IOPS 04~05 스타리그 우승
[2005년 5월] 스니커즈 올스타리그 1라운드 우승
[2005년 7월] 스니커즈 올스타리그 통합 준우승
[2005년 8월] CKCG 스타부문 준우승
[2005년 10월] 블리즈콘 3위
[2006년 1월] 05 SKY프로리그 후기리그 다승왕
[2006년 7월] 06 SKY 프로리그 전기리그 다승왕
[2006년 8월] WEF 준우승
[2006년 9월] IEF 우승
[2006년 11월] 2차 슈퍼파이트 우승
[2006년 11월]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2 우승
[2007년 2월]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3 준우승
[2007년 3월] 신한은행 마스터즈 우승
[2009년 7월] 헤리티지 스타크래프트부문 준우승
[2009년 12월] IeSF 챌린지 스타 인비테이셔널 우승

========================================================

게이머로 따졌을때 이둘은 거의 동급에서 미세한 차이라고 봐야될까요

아니면 명백히 한 클래스이상 차이는 난다고 봐야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FastVulture
15/12/27 22:55
수정 아이콘
단순 전적이나 우승 이런거로만 따지면 임요환 선수가 이윤열 선수에게 아무래도 밀리죠;
다만 그만이 가지는 상징성 스타성 이런게 워낙 어마어마해서....
ohmylove
15/12/27 22:57
수정 아이콘
단순 커리어로는 밀리나(이윤열에게 커리어로 들이댈 게이머는 이영호 정도밖에 없다고 봅니다)
상징성 스타성으론 임요환만한 게이머가 없죠.
사티레브
15/12/27 22:58
수정 아이콘
그냥 액면가 커리어로만 보면 이윤열 압승수준같은데
이미 판이 끝난 마당에 판을 만든자는 그냥 논외로 해아할듯
카미너스
15/12/27 22:59
수정 아이콘
임요환=마이클조던
이윤열=윌트체임벌린
절름발이이리
15/12/27 23:23
수정 아이콘
클래스 차이는 꽤 나지요.
전설의황제
15/12/27 23:27
수정 아이콘
이윤열이 꽤 위라는 소리신가요?
절름발이이리
15/12/27 23:29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15/12/28 00:05
수정 아이콘
상징성 제외하면 이윤열 압승
하민수민유민아빠
15/12/28 00:07
수정 아이콘
커리어로 따지면 이윤열은 이영호와 비교해야한다고 봐요
솔로11년차
15/12/28 00:09
수정 아이콘
전성기 기준으로는 비교할 수 없이 둘 다 뛰어났다고 생각하구요.(서로 배경상황이 달라서 비교할 방법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선수로서 두 사람을 평가하자면 이윤열의 오랜 활약을 평가해야겠죠.
ohmylove
15/12/28 02:01
수정 아이콘
'최'전성기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이윤열은 전성기만 3번이 와서..
솔로11년차
15/12/28 02:18
수정 아이콘
네. 최전성기를 말하는 거죠.
15/12/28 00:43
수정 아이콘
커리어 이외의 것들을 합해도 이윤열이 압도적이라 생각...
RookieKid
15/12/28 00:52
수정 아이콘
임빠...였습니다만
임요환 선수가 특유의 5:5 기질(....)과 스타1 막판쯤에 '몰락'해버린 후에 스타2로 전향했고, 스타2에서도 별로 두각을 못나타냈는데
이윤열 선수는 우승 우승 우승 에서 기량이 떨어진 시기가 길지 않았죠
15/12/28 01:21
수정 아이콘
'게이머'로서는 이윤열 압승. 커리어 줄 수는 비슷해도 무게감의 차이가 압도적이죠.
Anthony Martial
15/12/28 02:42
수정 아이콘
그냥 이름 빼고 a b로 보면
B가 위죠
단순 커리어만 봐도...
또 b가 a의 시대를 뺏어왔다는 것도 있고요

그러나 스타판 뿐만 아니라
지금의 이스포츠의 기틀은 만든 사람이니....

나중에 시간이 많이 지나서 스1에 대한
기억이 희미해져도 종목불문
이스포츠의 역사를 논할때
이윤열은 뺄수 있어도 임요환은 못빼죠
항즐이
15/12/30 00:56
수정 아이콘
통합 규정 공지 기념 질게 캠페인입니다.
질문자는 자신의 글에 대해 감사의 피드백을 잊지 말아 주십시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1829 [질문] [LOL] 내일 롤드컵 스포없이 볼 수 있을까요? [7] SangHyeok Jeong2115 16/10/21 2115
91655 [질문] [LOL] ROX vs SKT 밴 예상 어떻게 하시나요..? [23] 챔쁜이2323 16/10/18 2323
91642 [질문] [LOL] 토, 일 4강경기 블루, 레드 팀 정해졌나요? [2] 아마존장인1889 16/10/17 1889
91593 [질문] [LOL] 롤드컵 하이라이트... [4] Magicien1850 16/10/16 1850
91519 [질문] [크루세이더 퀘스트] 1달된 크린이 질문입니다. [20] Curian3048 16/10/15 3048
87893 [질문] [하스스톤] 저는 왜이리 못할까요? [30] 아이군3942 16/08/08 3942
85542 [질문] 잉글랜드 축구대표팀의 실력은 어느정도로 봐야될까요? [21] wish buRn3156 16/06/29 3156
85356 [질문] [워크3] 조작사건에 대하여 시간순으로 알고싶습니다. [22] 맥아담스5903 16/06/26 5903
85121 [질문] 미국에서 코파 아메리카 무관심인가요? [6] 릴리스2227 16/06/21 2227
83534 [질문] [하스스톤] 박태민해설 정말 마음에 들지 않네요. [22] 시드마이어4228 16/05/24 4228
83507 [질문] [야구] 양상문 감독 평가는 어떤가요? [9] 클레멘티아2796 16/05/23 2796
82015 [질문] 임시공휴일은 갑자기 왜 나온 건가요? [11] 코왕3154 16/04/26 3154
81705 [질문] [수도권] 주말 3일동안 혼자서 뭐하죠? ㅠㅠ [6] RedSkai1740 16/04/21 1740
80815 [질문] [스타2] 2016 스포티비 스타리그 시즌1 BGM 좀 알려주세요 하후돈1759 16/04/03 1759
79534 [질문] 이세돌 vs 기사 1200명? [8] 에텔레로사3080 16/03/11 3080
79217 [질문] [LOL] 금일 IEM 중계질문 [4] 키토1868 16/03/06 1868
78235 [질문] [스타1] 임요환 전선수의 얼라이 마인 논란 [19] 王天君3054 16/02/17 3054
77479 [질문] [스타1] 육룡순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래더순위 어디서 보나요? [27] HesBlUe6550 16/02/04 6550
75049 [질문] 이윤열선수 vs 임요환선수 [17] 전설의황제2640 15/12/27 2640
74342 [질문] [스타1] 송병구 인크루트 스타리그 우승때 토너먼트 최대 고비는? [8] SKY921673 15/12/15 1673
73539 [질문] [LOL] 페이커 왜 제드 르블랑 안하나요? [13] 가지않은길3826 15/12/03 3826
72767 [질문] 축빠와 야빠간에 사이가 나쁜 이유가 뭔가요? [10] 톰가죽침대2395 15/11/22 2395
72749 [질문] [스타1] 프로토스 실드 배터리는 왜 자주 안쓰였나요?? [32] 생선가게 고양이9369 15/11/22 936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