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5/12/16 17:15:25
Name 솔마
Subject [질문] 이신형, 김유진 등..스타1에서도 터졌을까요?
스타2 소식을 간간히 접하고 있는데 과거 스타1 시절때 알던 이름들이 아직도 활약을 하고있더군요.

김유진, 이신형은 pgr선수에도 뽑힐정도로 활약이 대단했었을거라는 어림짐작도 해봅니다.

문득 생각난게 예전 스타1 하다가 스타2에서 잘된 선수들...

스타1 지속되었어도 이렇게 포텐이 만개하고 좋은 성적 거두었을까요?

저는 만개했을거라는 생각인데, 또 일부 친구들은 스타2에 잘맞아서이지 스타1에서 잘했을거라는 보장이 없다네요.

(종족 바꾼 김도우, 김준호는 조금 애매합니다만..)

pgr분들 생각이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gt. Hammer
15/12/16 17:19
수정 아이콘
이신형 조성호는 스1도 꽤 괜찮게 했던 거 같은데 기억이 가물가물 하네요 흐흐;
Rorschach
15/12/16 17:19
수정 아이콘
모르는거죠. 알아 볼 방법도 없고.

그냥 '터졌을 가능성도 있다' 정도라고 봅니다.
마스터충달
15/12/16 17:19
수정 아이콘
이신형 선수는 꼼꼼한 스타일이라 스1에서도 터졌을 것 같은데
김유진 선수는 스타일이 스2에 더 잘 어울리는 것 같아서 (최고의 변태 플레이어!!) 스2라서 빵 터졌다고 생각되네요.
레너블
15/12/16 17:20
수정 아이콘
두 선수는 잘 모르겠지만 스타1이 조금 더 지속 되었다면 정명훈이 원탑자리에 그리고 그 밑에 김성현 정윤종이 가있지 않았을까 혼자 생각해본적이 있네요.
PolarBear
15/12/16 17:31
수정 아이콘
이신형은 스1에서도 유망주 소리를 들을때쯤... 병행 시즌이 시작되었죠.. 죽 갔었으면... 아마 조금더 올라오지 않았을려나 싶긴 하네요.
15/12/16 17:31
수정 아이콘
동일한 위상은 아니지만 터지긴 했을거라고 봅니다. 스1 재능러의 대표격인 이제동도 커리지 매치를 8번인가 떨어졌고 이영호의 경우도 갓모드 도달하기까지 시간이 꽤 걸렸죠. 결국 아무리 재능이 뛰어나도 어떤 임계치를 넘어서야지 아웃라이어가 될 수 있다고 보는데 포텐이 엄청나지만 단지 그 임계치를 쌓는 과정에 있었던 선수들이 분명 스1 막바지 때도 많이 있었을것이라고 보거든요. 그러다가 스1이 망하고 스2 들어가면서 그 전에 쌓아놨던 학습효과가 대다수의 프로게이머들 사이에서 리셋되는 결과가 오면서 세대 교체가 촉진된 것이지 스1이 지속됐어도 기존 게이머들의 기량 하락과 맞물려서 세대교체가 분명 있었을겁니다. 그때 스2에서 보이는 기량과 스1이 지속됐을 때 기대할 수 있었던 기량과는 꽤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을거라고 보는데 아무래도 완전히 같은 게임이 아니기 때문에 단언하긴 아무래도 힘들겠고 개인적인 추측으로는 그랬을거 같다 정도입니다.
전설의황제
15/12/16 17:35
수정 아이콘
정윤종은 김택용이상이었을듯 ...
트릴비
15/12/16 17:35
수정 아이콘
다른 선수들은 잘 모르겠지만 김유진, 이신형, 정윤종은 확실히 스타1판이 더 지속되었으면 스타1에서도 크게 터졌을 선수들이라고 생각합니다
15/12/16 17:54
수정 아이콘
어윤수는 스1에서 터졌어도 우승 없...
Aneurysm
15/12/16 17:57
수정 아이콘
스1실력이 이영호 할애비가 와도, 스2에서 '본좌'가
되는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고 봅니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우리는 늘 천재, 영웅, 해결사가
나타나주길 기다리고 동경하는것 같더라구요.

그치만 모든 종류를 잘하고
(게임, 운동, 학문 등등 같은 분야안에서.)
전성기가 영원한
천재는 만화가 아닌이상 없더라구요.
(인류역사상의 그 어떤 대단한 인물이라 해도
그렇더라구요.)

단, 정윤종선수는 스2보다 스1에서의
재능이 더 커보였습니다.
샤르미에티미
15/12/16 18:01
수정 아이콘
터질 만한 선수들이 스타2에서 다 터졌죠. 스타1 막바지 때도 데뷔한 지 좀 되고 성적은 중위권이었던 선수는 스타2에서도 그 정도에서 머물렀죠.
예전에 한창 스1VS스2 관련해서 재능론이 돌 때 안준영 해설인지 채정원 해설인지 전성기론을 들고 온 적이 있었는데 그것에 저는 동감하는 편입니다.
스타1 막바지 당시 경력이 오래되지 않고 기량이 만개하기 직전의 선수들이 스타2로 와서 기량이 만개했다고 보는 편입니다. 당연히 예외는 있고요.
스타2에서 이름 날린 선수들 중에 스타1에서 이름 날린 선수 얼마 없다는 걸 생각해보면 게임의 차이도 있지만 기량 만개 시점의 차이도 있다고 봅니다.
버스를잡자
15/12/16 18:07
수정 아이콘
김유진은 몰라도 이신형은 이미 스1시절에도 대성했는데요 뭐...

스1 막판에는 이영호 정명훈 제외하고 이신형이 테란 넘버 쓰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님
15/12/16 19:15
수정 아이콘
다른 선수는 모르겠는데 정윤종은 확실히 크게 터졌을 것 같네요.
문앞의늑대
15/12/16 19:53
수정 아이콘
이신형은 스1에서도 터졌었죠. 만개하려고 하는 타이밍에 스2로 넘어갔죠.
오프로디테
15/12/16 20:13
수정 아이콘
터졌을거 같아요.
이신형선수야 스1 막바지 시절 유망주를 넘어선 터질랑말랑 할만큼 잘했던걸로 기억하고
정윤종선수는 스크 연습실에서 김택용보다 더 잘한단 소리 들을 정도에 포텐 충만한 상태였고
김유진선수는 웅진 토스로 슬슬 기량 물오르는 시기 였던거 같은데...

윗분들 말씀대로 스1에서 유망주에서 기량이 올라오는 정도의 선수들이 스2로 간 뒤 포텐들이 터진것 같아요.
15/12/16 20:20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합니다
15/12/16 20:37
수정 아이콘
스1이랑 스2는 약간 다른 게임이라서 장담은 못하지만 스2에서 터진 선수들은 스1에서도 터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죠.
15/12/16 20:40
수정 아이콘
이신형선수 STX에 있을때 연습실에서 다른 선수들이 못이겼다고 했죠
그래서 프로리그에 계속 출전하고 성적도 괜찮았고요

정윤종선수는 T1 연습실 랭킹 계속 1위했고 스1으로 리그가 계속 이어졌다면 김택용선수 기록 다 깨버렸을거라고 정말 잘했죠
yangjyess
15/12/16 21:16
수정 아이콘
정윤종,이신형은 터진 상태였고... 김유진은 좀 힘들었을것 같습니다
고진감래
15/12/16 21:18
수정 아이콘
스1과 스2는 비슷하지만 완전 다른게임이라고 봅니다 비슷한 겜이니까 스2에서 터졌다고 스1에서도 터질거라는건 그 역도 성립해야 맞는거죠
스1에서 상위선수들 이영호정명훈김택용송병구허영무 등 많은 A급 선수들이 스1 커리어에 비하면 스2가서 죄다 망했다고 봐야죠

스2가서 대박 친 선수들중 대부분이 스1때는 거의 빛 못 본 선수들입니다

그리고 어느샌부턴가 이신형/정윤종선수가 고평가 됬던데 전 이거 납득하기 어렵더군요
아마 그 이유는 막바지에 이영호 상대로 밀리지 않는 인상적인 경기 두 어번 보여줘서 그 인상이 강렬했던 때문인거 같습니다
와이고수에서 전적 찾아보니 이신형선수 스1 최근 10전 4승6패 20전 8승12패 무슨 기량이 만개했다는건지 잘..
개인리그 커리어도 16강이 하이? 4강은 없는걸로 알고 8강은 한 두 번 있었는지 모르겠네요

정윤종선수도 찾아봤습니다 10전 6승4패 20전 11승9패 역시 개인리그 커리어 전무하고 김택용이요?
연습실 얘기는..연습실에서 잘한다 하는 선수들은 그동안 숱하게 많았죠

김유진선수도 스1 최근10전-20전 보면 5할 유지입니다 당시에 큰 주목은 못 받았는데 스2에서 터졌죠
많은 스2 토스선수들 경기를 봤지만 김유진선수의 스2경기 보면 괜히 토스1인자가 아니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스2토스에 최적화 됬다고 할까..
스1의 이영호같은 느낌이에요 운영도 최고지만 전략/플레이에 거침이 없더군요 하고싶은대로 막 하면서 패배를 두려워하지 않는거 같더군요 스1이 끝나서 정말 아쉬운 선수들은 마지막 스타리거 4강인 허영무정명훈이영호김명운정도고 이 네 선수가 당시 최고 주가였고
네 선수 모두 스2가서는 그만...
레너블
15/12/16 21:23
수정 아이콘
이신형 정윤종 선수의 스1이 고평가 받는 이유는 막바지에 이영호선수에 밀리지 않는 경기력을 보여줘서가 아니고
아프리카에서 김택용이나 김윤중이나 등등 스1 선수들이 했던말때문이 커요.
같이 합숙했던 그리고 스타를 가장 아는 사람들이 본인 입으로 그랬거든요. 스1이 좀 더 갔으면 정윤종 이신형의 세상이 됬을거라고요.
막바지에 깨달음?을 얻었는지 연습실에서 기량이 말도안되게 성장했었대요.
고진감래
15/12/16 21:34
수정 아이콘
그런 일이 있었군요 근데 팩트로 리그에서는 보여준게 아무도 없어서.. 나중에 또 무슨 일이 생겨서 어떤 상황이 펼쳐질지는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택뱅리쌍덴허중 과반수가 인정한다면 신뢰성에 상당히 힘을 실어준다고 생각하는데 그 외 선수들이 그러는건 약간...
다른 분들은 모르겠지만 전 별로 신뢰가 안 갑니다...
레너블
15/12/16 22:05
수정 아이콘
리그에선 보여준게 없을수밖에 없죠.. 터지기전이라..
그리고 택뱅리쌍덴허중 과반수가 아니라 모두 그렇게 생각할거에요. 숙소에서 항상 1등했었다니까요. 이영호 이제동 전성기를 보던것처럼.
특히 같은 토스인 김택용이 정윤종 엄청 극찬했네요. 그냥 졌대요 막바지엔
고진감래
15/12/16 22:23
수정 아이콘
그렇게 생각한다는건 전적으로 레너블님 생각이지요 솔직히 김택용도 개인리그에서는 전성기 때 빼고는 거의 두각을 못 냈죠
김택용 말이 무슨 진리쯤 생각하시는거 같은데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보로미어
15/12/16 23:15
수정 아이콘
연습때만 상위권인 선수는 스1에서 꽤나 있지 않았나요.
연습경기와 방송대회 실력은 구분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대충 생각해봐도 문준희 선수 생각나네요. 숙소에서는 정말 잘했는데 방송대회 나와서 만날 죽만 써서 은퇴한 선수였죠.

제가 스1 리그 막바지때 방송을 보지 않았지만
이신형 정윤종 선수가 개인리그에서 준우승 혹은 우승 경력은 있나요? 아니면 프로리그에서 다승왕 급의 성적을 보여준 적은 있습니까? 없다면 그냥 if 아닌가요?
무식론자
15/12/17 01:31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스1에서도 잘했다, 터졌다고 하기에는 그만큼 보여준게 없죠.
콰트로치즈와퍼
15/12/16 21:29
수정 아이콘
게임은 보통 하나 특출나게 잘하면 다른 게임 해도 그럭저럭 잘 합니다. 특히나 스1과 스2는 둘다 RTS고, 그래도 나름 후속작이라 비슷한 부분이 좀 있다보니 스1 프로에서 상위권 선수였으면 스2는 아무리 못해도 선수생활은 가능한 정도의 기량까지는 보장된다고 봅니다.

근데 기대치만큼의 실력을 찍을 수 있는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죠... 스1의 여러 유망주들도 기대치만큼 못터진 경우가 많았는데, 스2에서 터진걸 근거로 스1의 포텐셜을 확인하는건 무리라고 봅니다.
HappyBath
15/12/16 22:05
수정 아이콘
기량이 만개했다고 하기는 애매하지만 이신형선수는 막바지 stx에서 밀어주는 확고한 에이스카드였고 정윤종선수는 이벤트전이긴 하지만 stx컵 결승전에서 이제동선수를 포함한 화승을 선봉올킬하기도 했었죠 김유진선수는 위에 언급한 두선수보다 보여준건 없었고 특색있는 경기를 많이 했던걸로 기억하네요 어윤수선수는 t1저그 이미지에 가려졌지만 4강도 진출했고 꽤나 포텐있었습니다
스1잘=스2잘이라고 할수는 없지만 스1막바지때의 유망주들이 스2에서 터진걸 보면 신기하긴 하네요
웅진저그
15/12/16 22:12
수정 아이콘
11-12시즌 프로리그나 티빙스타리그 당시를 생각해 보면 이신형 정윤종 김유진 순으로 먼저 터지거나 높이 올라갔을 것 같아요.
프로토스 너마저
15/12/16 23:13
수정 아이콘
정윤종 외에는 그닥 터질만한 건덕지는 없었다고 봅니다.
아리골드
15/12/16 23:17
수정 아이콘
어윤수 이신형 김유진 정윤종 굳이 한명더 추가하자면 김민철

세기말 두각 나타내던 애들 결국 전부다 스2에서 우승했습니다.
스1에서도 충분히 터질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HappyBath
15/12/16 23:22
수정 아이콘
if라는것 자체가 의미가 없긴하죠 연습실 본좌 출신으로는 유명한 문준희선수나 테윤환선수 사례도 있고 허영무선수도 데뷔초 김가을감독이 엄청푸쉬해줬는데 공식전 9연패였나... 눈물의 에결 첫승후 상승세를 타며 극복하긴했지만요 또 기억나는건 작은북 박준오선수 연습실에선 이제동선수 다음이라고 알려졌지만 전역후 임요환선수에게 핵을맞는 굴욕적인 사건도 있었죠
신중함
15/12/17 01:12
수정 아이콘
다른 선수는 잘 모르겠는데... 개인적으로 이신형 선수는 계기만 있다면 우승권에 근접한 기량을 갖추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솔직히 나머지 선수들은 (스1만 놓고 본다면) 그리 높이 평가되진 않네요. 우승권에 도전하기엔 조금 미흡하지 않나 그런 느낌이었어요.
Otherwise
15/12/17 01:18
수정 아이콘
정윤종은 진짜 스1 잘 했어요
Ishihara Satomi
15/12/17 19:33
수정 아이콘
딱히 a급 되기도 힘들었을거 같은데.. 정윤종이 그나마 가능성 좀 있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9462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2383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1883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4914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6763
180654 [질문] 발가락 쪽 염증은 어느 진료과로 가야 할까요? [12] 오늘우리는874 25/05/21 874
180653 [질문] 부활 네버엔딩스토리 라이브중에.. [2] v.Serum1695 25/05/21 1695
180652 [질문] 보드게임 잘 아시거나 즐겨하시는 분 계신가요?? [15] 원스1910 25/05/20 1910
180651 [질문] 세븐 나이츠 리버스 해보신/하시는 분 계신가요? [9] 선플러1630 25/05/20 1630
180650 [질문] 왜 내가 뀐 방귀는 참을만 하고 남이 뀐건 거북할까요? [12] 싱싱싱싱2405 25/05/20 2405
180649 [질문] 아이패드 업뎃후 인터넷 연결 오류 해결 아시나요? [12] 두드리짱1419 25/05/20 1419
180648 [질문] 이런 책 커버 구매처 좀 알려주세요 [3] 인민 프로듀서797 25/05/20 797
180647 [질문] 5070ti에 적절한 파워서플라이 외 [8] 일신650 25/05/20 650
180646 [질문] 제주시 혼술할 만한 맛있는 식당이나 이자카야 추천 부탁드립니다 [4] 회회아비966 25/05/20 966
180645 [질문] 타이베이 가족여행 문의드립니다. [6] Karolin1683 25/05/20 1683
180644 [질문] 스포츠 선수 중 의도적 먹튀를 찾습니다 [20] 기다리다2292 25/05/20 2292
180643 [질문] PC 부품 드래곤볼 하시는 분들은... [13] 카리나1162 25/05/20 1162
180642 [질문] amd 내장그래픽으로 트리플 모니터 사용 중 모니터 하나 미인식 문제 [6] Red Key904 25/05/20 904
180641 [삭제예정] LH 행복주택 서류제출 선정 관련 질문 [7] 리스 제임스992 25/05/20 992
180640 [질문] 챗gpt 음성 인식 활용법 문의드립니다 [2] 구아바구아바495 25/05/20 495
180639 [질문] 제주도 렌트카 비용 문의 [11] 택배1845 25/05/19 1845
180638 [질문] 스타1 리마스터 픽셀 뭉개짐 현상 [7] 윤지호1689 25/05/19 1689
180637 [질문] 올해들어 긴장하면 땀이 갑자기 많이 날때 병원은 어디로? [4] 라온하제1787 25/05/19 178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