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5/11/22 11:00:52
Name 생선가게 고양이
Subject [질문] [스타1] 프로토스 실드 배터리는 왜 자주 안쓰였나요??
제목이 곧 질문이긴 한데요.
어제 밤에 참 오래된 경기(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4강 강민 대 변은종)를 보다가 문득 든 생각인데요.
제가 실제 플레이는 테란만 하고 실력도 하수라 다른 종족에 대해서는 딱 중계 보는 정도밖에 몰라서 드리는 질문입니다.

실드 배터리는 왜 자주 안 쓰였나요??
활용하기가 너무 까다로워서 안 쓰인 건가요?? 아니면 별 필요가 없어서 안 쓰인 건가요??
저그전에 많이 활용되는 아칸 같은 경우에 실드 배터리를 활용했다면 훨씬 좋지 않았을까 싶어서요.
실드배터리뿐 아니라 파일런까지 전장 근처에 지어야 되니 시간+돈 때문에
유닛 하나를 더 뽑는 게 훨씬 나아서 실드배터리가 많이 활용되지 않은 건가요??

어쩌면 너무 초보적인 질문인 것 같기도 하지만 갑자기 궁금해서요^^;;;;
토스 유저 및 고수분들의 고견을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11/22 11:09
수정 아이콘
상대방이 올인러쉬 들어올때 소수 유닛 컨트롤로 막아야 할 때 빼고는 효용성이 거의 없습니다.
마나 채우는것도 오래걸리고 또 회복시켜주는 양도 은근히 적거든요.
생선가게 고양이
15/11/22 11:53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실드 많은 유닛에게는 굉장히 도움될 거라 생각했는데 그렇지도 않은가 보네요.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__)
15/11/22 11:19
수정 아이콘
전장에 배터리를 짓는건 설치도 힘들 뿐 아니라 회복양도 적고 회복할때 공격도 불가능해서 효율이 떨어지죠. 집에 지어서 회복 시키고 유닛을 움직이기엔 스타라는 게임 자체가 속도도 빠르고 유닛 한기 한기 중요도가 높은 편이 아니죠. 다만 초반 올인 수비할 때나 후반에 캐리어 운영할 때는 많이 사용됩니다. 사실 캐리어가 비싸고 쉴드량 많고 공중유닛이라 가장 효율적으로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유닛이라 생각하고 캐리어 사용시엔 배터리가 꽤나 좋다고 생각합니다.
생선가게 고양이
15/11/22 11:53
수정 아이콘
아칸보다는 오히려 캐리어 쪽에 더 도움이 되었었나 보네요.
갑자기 김캐리가 생각나는 흐흐흐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__)
Anthony Martial
15/11/22 11:22
수정 아이콘
저그전 더블넥 보편화 전에
원게이트나 투게이트 쓸 시절
원게이트하면 곧잘 쓰곤 했습니다
저그가 링드라로 입구뚫을 기미가 보이면요
생선가게 고양이
15/11/22 11:54
수정 아이콘
청록님이나 만두님 말씀도 그렇고 마샬님 말씀까지 들어보니
대체로 공격시보다는 수비시에 쓸모가 그래도 조금 있나보네요 흐흐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__)
15/11/22 11:38
수정 아이콘
미네랄이 초반에 중요한 토스에게 효율 안나오고 건물이 너무 옆으로 넓죠.
생선가게 고양이
15/11/22 11:55
수정 아이콘
건물이 넓은 것도 영향이 있나 보군요 흐흐
하긴 저도 (초보라) 팩토리 잘 못 지어서 탱크도 갇혀보고 해서ㅠ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__)
시나브로
15/11/22 15:20
수정 아이콘
생김새까지 크크..
솔로11년차
15/11/22 12:46
수정 아이콘
실드배터리는 기본적으로 방어타워죠. 테란이 벙커, 터렛, 저그가 성큰, 스포어라면 토스는 캐논, 배터리입니다.
방어타워를 공격적으로 쓴다는 건 상당히 제한적인데, 공격적으로 쓰인다면 벙커링 같은 형태가 되겠죠. 하지만 마린과 벙커의 궁합에 비해 질럿과 배터리의 궁합은 상당히 떨어집니다. 게다가, 무엇보다 타워를 공격적으로 쓰기에는 캐논러시만한 것이 없으니까요. 파일런을 짓고 배터리를 지을바에야 캐논을 짓는게 낫죠.
그 후엔 주기적으로 집으로 돌아와 실드를 채워야하는 건데, 본래도 효용이 좋지않았는데 스1은 물량전의 형태로 발전한 터라 유닛 하나하나의 가치가 상당히 떨어지죠. 그러니 뭐... 유닛의 가치가 훨씬 좋고, 체력만이 아니라 마나도 채워주고 밥집역할도 하는 워3의 문웰과는 효용면에서 확연히 차이나죠.

그리고 실드배터리가 실드양을 비율에 따라 채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굳이 아칸에 효율이 좋지는 않습니다.
생선가게 고양이
15/11/22 21:11
수정 아이콘
워3는 제가 안해서 잘 알지는 못하지만 영웅? 그런 시스템으로 인해 유닛 한기 한기가 중요하다고 듣긴 했는데
역시 스타처럼 물량 중심 게임보다는 그런 쪽 게임에 더 적합하겠군요.
실드양을 채워주는 것도 아칸에 그다지 효율적이지 않은가 보네요.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__)
랄라스윗
15/11/22 12:53
수정 아이콘
EMP맞은 아비터에 배터리로 채워서 EMP를 한번 더 빠지게 한 뒤 진퉁 아비터로 리콜을 한다는 입스타를 실현시키는 걸 아프리카에서 보긴 봤습니다..
생선가게 고양이
15/11/22 21:12
수정 아이콘
헉!! 누군가 잘(?) 사용하긴 했군요 흐흐흐
저도 한 번 보고 싶네요. 검색해봐야 겠어요 흐흐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__)
15/11/22 13:14
수정 아이콘
그래도 스카웃보다는 종종 쓰이지 않았나..
생선가게 고양이
15/11/22 21:13
수정 아이콘
스카웃은 정말;;;;
예~~~~~전 무한할때 팀플에서 가끔 쓰긴 했었는데요 (선수들이 아니고 초보인 저랑 초보인 제 친구랑;;)
대공능력은 괜찮은 편이라 생각하는데 지상 공격능력이 너무 흐흐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__)
15/11/22 13:26
수정 아이콘
전진 전략때 나온경우도 꽤 있긴하죠
생선가게 고양이
15/11/22 21:14
수정 아이콘
전진 전략때, 그리고 수비 할 때 종종 나왔었나 봐요.
위키 찾아보니 박재영 선수 경기도 있고 흐흐흐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__)
Tyler Durden
15/11/22 13:26
수정 아이콘
근거리 공격유닛과 싸울때는 괜찮죠. 또는 원거리라도 숫자가 적을때.
배터리 채울려고 하는 시간에 원거리 공격 유닛이 그만큼 때리니까 효능도 없고요. 자리만 차지하고
보통 또 한번 모아서 전장에 나간후 전투후에 복귀를 해서 또 바로 나갈일이 잘 안 생기고하니 복귀 후 회복시간에 배터리없어도 쉴드는 차죠.
배터리 한개로는 모자르니 2-3개 지어야 되는데 효능도 별로 없기도 하고, 자리 차지도 하고, 포토캐넌 짓는게 나을 상황이 더 많다고 봅니다.
그나마 저그전 아칸이나 테란전 캐리어에 좋긴 하는데 배터리 채우기 번거롭기도 하고, 안쓰면 또 계륵이고, 쓸려면 병력복귀해야 하니 전술상 자유롭지 못하고 그렇죠.
생선가게 고양이
15/11/22 21:15
수정 아이콘
흠...역시 병력 운용이라든가 또 배터리를 여러개 지어야 한다든가 하는 문제가 있군요.
하긴 초단위로 상황이 휙휙 바뀌는데 배터리로 돌아와야 한다는 것이 병력 움직임에 큰 제약이 되겠네요ㅠ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__)
나루호도 류이치
15/11/22 13:46
수정 아이콘
'진짜' 이유는 그냥 잘 안쓰다보니 그걸 활용할 생각도 안하고, 그럼에 따라 더욱 더 안쓰이는 것이라 봅니다. 님의 말씀처럼 아칸 같은 경우는 거의 빈사상태의 유닛을 완전 새 것으로 만들기도 하고, 그 외에도 쉴드를 단박에 채워준다는 것은 플토 병력의 생존율을 크게 높여주죠.

마치 디파일러가 정말 좋았지만 프로게이머들 사이에서 '유행' 하기 전까지는 디파일러의 다크스웜이 크게 활용되지 않았던 것과 마찬가지라 봅니다. 아마 스타리그가 계속되고 누군가가 배터리를 잘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줬더라면 배터리 역시 충분한 가지를 지닌 건물로 평가받았을거라 봅니다.

p.s: 2게이트 하드코어 질럿러쉬의 경우 배터리까지 지어서 그야말로 '올인' 하는 경우도 종종 봤던 기억이 나네요.
생선가게 고양이
15/11/22 21:16
수정 아이콘
스1이 조금 더 오래갔다면 어쩌면 볼 수 있었을...까요 흐흐흐
말씀해주신 디파일러처럼 유행하는 날이 왔다면 또 경기 양상이 달라졌을지도 모르겠네요.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__)
15/11/22 14:24
수정 아이콘
배터리가 메딕처럼 자동치료만 해줬어도 종종 쓰이지 않았을까 마 그래 생각을..
생선가게 고양이
15/11/22 21:17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위에 Tyler Durden님께서 지적해 주셨듯이 실드 채우려면 병력을 배터리 쪽으로 이동을 시켜야 하니...
그런데 자동치료가 될 정도였다면 토스가 무시무시해지지 않았을까요 흐흐흐;;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__)
울트라면이야
15/11/22 14:33
수정 아이콘
음.... 테저전에서 플래그맞은 베슬을 일일이 수리하지 않는 것과 동일한 이유라 봅니다. 후반에 매크로컨하기도 바쁜데 이래저래 유닛 골라서 충전하고 다시 전장합류하고.... 귀찮으니까요 ^^;;; 저도 이런 생각해보긴 합니다. 테프전 후반모드에서 아비터vs베슬 마법대결할때 주력부대에 다크아칸 한마리 끼워서 옵저버로 시야 밝혀놓고 이엠피 쓰러오면 먼저 피드백 날려서 베슬터뜨리는....죄송합니다. 이상 입스타였습니다;;;
15/11/22 16:28
수정 아이콘
플레이그 맞은 베슬은 일일이 수리 다 합니다. 배터리는 다른 것보다 효율이 안습이라 안쓰는거에요. 차는 쉴드량도 쥐꼬린데 지으려면 앞마당에 지어야하는데 앞마당에 짓기엔 너무 크죠.
울트라면이야
15/11/22 19:02
수정 아이콘
프로게이머급에선 수리안하더라구요.수리하는 시간에 써먹지 못하고 손쓰는게 번거로워서인지 아니면 그시간에 마나쓰는게 더 효율적이라 그러는지...
15/11/22 19:04
수정 아이콘
SK가장 많이 쓰고 잘 쓰는 구성훈 방송 보면 항상 수리합니다. 애초에 sk가 사장될 즈음에는 그런 피지컬이 안됐을뿐입니다.
생선가게 고양이
15/11/22 21:20
수정 아이콘
울트라면이야님//말씀하신 입스타(?)도 스1이 조금 더 오래갔으면 실현되지 않았을까요 흐흐흐;;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__)
뷰데님//베슬 수리 여부는 제가 잘 몰라서 이 논쟁(?, 의견교환?)에 낄 수가 없네요 흐흐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__)
페르펙티오
15/11/22 15:49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 실드라는 물건이 공격타입 소중대형 상관없이 항상 최대 데미지를 받는다는게 제일 큰거 같아요..

실드 효율이 엉망이고 배터리 자체 효율도 별로니 당연스럽게 안쓰이는거 같습니다
생선가게 고양이
15/11/22 21:18
수정 아이콘
실드가 데미지를 그렇게 입는군요 몰랐습니다;;;;
그렇다하면 지어서 실드 채우는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없기도 하겠네요ㅠ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__)
페르펙티오
15/11/22 22:13
수정 아이콘
드라군이 벌쳐한테 강하기도, 약하기도 한 이유도 그거죠

벌쳐공격 4방이면 80이나되는 실드가 다 날아 가버립니다
생선가게 고양이
15/11/22 23:16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대체로 드라군 만나면 마인만 심으려고 했는데
그래서 제가 초보인가 보네요ㅠ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_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1829 [질문] [LOL] 내일 롤드컵 스포없이 볼 수 있을까요? [7] SangHyeok Jeong2125 16/10/21 2125
91655 [질문] [LOL] ROX vs SKT 밴 예상 어떻게 하시나요..? [23] 챔쁜이2343 16/10/18 2343
91642 [질문] [LOL] 토, 일 4강경기 블루, 레드 팀 정해졌나요? [2] 아마존장인1908 16/10/17 1908
91593 [질문] [LOL] 롤드컵 하이라이트... [4] Magicien1857 16/10/16 1857
91519 [질문] [크루세이더 퀘스트] 1달된 크린이 질문입니다. [20] Curian3056 16/10/15 3056
87893 [질문] [하스스톤] 저는 왜이리 못할까요? [30] 아이군3957 16/08/08 3957
85542 [질문] 잉글랜드 축구대표팀의 실력은 어느정도로 봐야될까요? [21] wish buRn3168 16/06/29 3168
85356 [질문] [워크3] 조작사건에 대하여 시간순으로 알고싶습니다. [22] 맥아담스5945 16/06/26 5945
85121 [질문] 미국에서 코파 아메리카 무관심인가요? [6] 릴리스2238 16/06/21 2238
83534 [질문] [하스스톤] 박태민해설 정말 마음에 들지 않네요. [22] 시드마이어4230 16/05/24 4230
83507 [질문] [야구] 양상문 감독 평가는 어떤가요? [9] 클레멘티아2804 16/05/23 2804
82015 [질문] 임시공휴일은 갑자기 왜 나온 건가요? [11] 코왕3154 16/04/26 3154
81705 [질문] [수도권] 주말 3일동안 혼자서 뭐하죠? ㅠㅠ [6] RedSkai1742 16/04/21 1742
80815 [질문] [스타2] 2016 스포티비 스타리그 시즌1 BGM 좀 알려주세요 하후돈1770 16/04/03 1770
79534 [질문] 이세돌 vs 기사 1200명? [8] 에텔레로사3090 16/03/11 3090
79217 [질문] [LOL] 금일 IEM 중계질문 [4] 키토1868 16/03/06 1868
78235 [질문] [스타1] 임요환 전선수의 얼라이 마인 논란 [19] 王天君3057 16/02/17 3057
77479 [질문] [스타1] 육룡순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래더순위 어디서 보나요? [27] HesBlUe6567 16/02/04 6567
75049 [질문] 이윤열선수 vs 임요환선수 [17] 전설의황제2646 15/12/27 2646
74342 [질문] [스타1] 송병구 인크루트 스타리그 우승때 토너먼트 최대 고비는? [8] SKY921679 15/12/15 1679
73539 [질문] [LOL] 페이커 왜 제드 르블랑 안하나요? [13] 가지않은길3827 15/12/03 3827
72767 [질문] 축빠와 야빠간에 사이가 나쁜 이유가 뭔가요? [10] 톰가죽침대2404 15/11/22 2404
72749 [질문] [스타1] 프로토스 실드 배터리는 왜 자주 안쓰였나요?? [32] 생선가게 고양이9385 15/11/22 93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