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6/21 16:04
패키지게임이라 하드내부에 있는 요소를 불러오는 게임은 ssd에 까는게 낫지않나요? 그외의 일반 온라인게임은 별차이 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15/06/21 16:06
갑자기 많은 데이터를 불러오는 순간이 있는 경우에는 ssd와 hdd 차이를 느낄 수 있더라고요. 롤만 하더라도 한타나 교전시의 프레임드랍면에서 개인적으로 많은 차이를 느끼고, 로딩 속도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프레임에서 차이를 느낍니다.
15/06/21 16:16
자잘한 데이터를 계속 읽기 쓰기 하는 경우에는 SSD가 훨씬 유리하죠. 큰 데이터를 한 번 로딩해 놓고 난 후에는 디스크를 잘 안 쓰는 경우라면 별 차이가 없을 수 있겠습니다.
15/06/21 16:27
SSD가 가격을 뺀 거의 모든 면에서 HDD보다 낫습니다.
이는 게임들이 모든 요소들을 한번에 램에 안올려서 그렇구요. 하드디스크 내 파일에서 가져오는 요소들이 많을수록 SSD효과가 늘어납니다.
15/06/21 16:31
무슨 말도안되는 소리를...
SSD의 굴욕이네요 골대 앞에서 키퍼랑 1대1이 되었으면 메시랑 동팡저우랑 별 차이없다는 말로 들립니다
15/06/21 16:32
SSD에 까는 게 당연히 좋습니다. 다만 아직까지 SSD는 용량이 한정되어 있으니까 자주 쓰는 프로그램을 SSD에 깔고 가끔 하는 게임은 HDD에 까는 것이 효율적일 뿐이지요. 따라서 자주 하는 게임은 SSD에 까는 것이 이익입니다.
15/06/21 16:37
디아블로 같은 로딩이 많은 게임일수록 체감이 심하고 로딩이 끝난 후에 인게임되는 게임은 그렇게 까지는 많이 차이나지는 않을거에요.
ssd가 용량이 넉넉한건 아니니 잘 배분해서 쓰라는 말 같네요
15/06/21 16:42
대용량 게임을 설치했다면 하드디스크에 데이터가 서로 인접해서 저장될 가능성이 높은 편입니다.
하드디스크도 인접한 데이터를 쭉 읽는다면 SSD 못지 않은 성능을 내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런 속성을 활용한 서버 프로그램도 존재하고요(apache kafka라든가). 하지만 이런 걸 고려해서 게임을 만드는 경우는 없을 것 같고, PC 환경에서는 데이터 파편화가 흔히 일어나는 보통 상황을 감안하면 HDD가 SSD보다 나은 경우는 없다고 봐도 됩니다. 물론 데이터 상당 부분을 미리 메모리에 올려둬서 초기 로딩 이후로 로딩이 드물다면, 로딩 이후로는 SSD와 HDD 차이를 느끼는 경우는 적습니다. 그래서 PS 4에 하드디스크를 설치하나 SSD를 설치하나 체감 속도가 현격히 나지 않는다는 벤치마크도 있는데, 그래도 속도 차이가 분명 있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