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3/24 12:43
이과:
연구실 출/퇴근, 연구실에서 각자 과제/프로젝트/연구/논문/공부 등을 하다가 수업을 다녀와서 또 반복 +퇴근후 술/당구/게임 +주말에는 연애(물론 있는 사람만) 로 거의 통일인 것 같습니다 얽매여 있다고 하기 보단 그냥 당연히 출근하고 본인이 해야할 과제나 공부가 많기 때문에 대놓고 어딜 놀러가긴 찝찝한 정도?
15/03/24 12:53
제 스케쥴(공대)
월화수목금 : 8시 40분 출근 ~ 10시 퇴근 토일 : 12시 출근 ~ 6시 퇴근 연구실에서 하는 일 : 프로젝트 or 본인 연구 or 논문 작성 상대적으로 시간이 없는 이유 1. 분신술을 쓸 수 없어서... ㅠㅠ 2. 나의 능력치와 교수님의 기대치가 천지차이라서... ㅠㅠ 3. 교수님이 찾을 때 연구실에 있어야 해서... ㅠㅠ
15/03/24 12:57
반면 문과(철학쪽이라고 들음)인 제 지인은
정해진 출 퇴근 같은 개념이 없고, 알아서 공부해서 논문쓰는 듯 한 느낌입니다. 주 1회정도 연구관련 교수님 면담 말고는 고정 스케쥴도 없고, 조교도 하지 않아서 수업 시간 외에는 말 그대로 프리.
15/03/24 12:58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문과는 말씀해주신대로 학부생시절 생활패턴+조교역할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수업의 난이도와 깊이가 학부와 비교해서 조금 빡세지는 감이있지만 그만큼 과목을 적게 듣기 때문에(보통3~4과목) 수업으로 인한 로드는 학부3학년때 전공 많이 들을때와 비슷한 정도입니다. 따라서 학부때 시간내서 연애하고 놀러다니는것처럼 비슷하게 시간관리와 인맥형성이 가능합니다. 연구(논문)은 윗분이 설명해주신대로 거의 개인의 역량에 달려있습니다. 공대/이과의 경우 일과시간은 수업+연구(논문)+과제(프로젝트)로 나누어집니다. 수업으로 인한 로드는 오히려 학부때보다 적은것이 일반적입니다.일단은 학부때와 비슷한 패턴으로 수업하고,과제내고,프로젝트하고,시험보는 식인데 오히려 학부때보다 과제나 프로젝트 면에서는 (일반적으로) 교수님들께서 배려를 많이 해주십니다. 물론 조교업무로 인한 로드는 추가로 있습니다. 공대/이과 대학원생의 메인role은 감히 기업과의 과제(프로젝트)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대부분의 연구실의 경우 문과와 달리 학생들에게 등록금+소정의 생활비가 지원되는것이 일반적인데, 이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업(혹은 정부)와 과제를 해야만 합니다. 따라서 모든 학생들이 이 과제(돈)에 묶여있기 때문에 강제적으로 참여, 수행해야하는 업무들이 있습니다. 많은 학생들로부터 '아 내 연구만 하고싶다.' '논문쓰고싶다' 라는 성토가 나오는것도 무리는 아닙니다. 공대/이과 대학원생들이 뭔가에 얽매여있다는 느낌을 받는것도 결국은 과제와 프로젝트가 주 원인입니다. 연구(논문)에는 결국 자신이 따로 시간을 내서 투자를 해야하지만, 현실적으로 많이 힘들기 때문에 진행하고 있는 과제와 연관되는 쪽으로 연구방향을 잡습니다. 조금 사려깊으신 교수님들의 경우는 연구방향을 미리 설정해서 과제를 따오시지만, 대부분은 과제를 미리 따오시고 그쪽으로 학생들이 연구방향을 잡기를 권고하십니다(특히 신입생의 경우). 이상 공대대학원 4학기째 다니고 있는 석사과정 학생이었습니다 다 쓰고 나니 흐...
15/03/24 13:03
이공계로 갔을경우, 학교 또는 집이죠. 집은 잠만 자는 곳이고 학교에서 잘때도 있고요.(?)
하기 나름인데, 학원 강사하시는 분들은 일하시면서 대학원 다니기도 하시고. 문과인 경제경영쪽은 직장인 대학원생들도 많아서 수업을 야간에 많이 하는 것 같네요. 학교에서 조교를 하는 것은 학비정도의 장학금 때문이고, 되도록 학습을 위해서는 행정조교보다는 교육조교,연구조교를 하는게 좋겠죠. 자리가 많이 없어서 경쟁은 치열할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