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5/01/22 10:47:40
Name wish burn
Subject [질문] (완전뻘질문) 1달 1천만원 저축 대한민국 1%?
이걸로 친구랑 내기했는데요(치맥)

주제 :  매달 1천만원씩 모으면(or 1년에 1.2억 모으기. 수입이 다달이 다를 수 있으니) 대한민국 1%안에 든다

전 1%안에 든다
(대한민국 경제인구가 2천5백만이다. 그중 25만명이나 1달에 1천만원 모으냐?)

친구는 못든다
(봉급생활자야 유리지갑이지,자영업자는 탈루소득이 많다.
25만명이 1달에 1천만원 모아봤자 1년에 30조다.
우리나라 경제규모가 1년에 1500조인데 1%가 1년에 30조 못모으는건 말도 안된다)

차량이나 골프채,고급명품 할부금은 제외했지만,
아파트나 부동산 대출 상환은 저축으로 친다고 가정하면 누구 말이 맞다고 보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동물병원4층강당
15/01/22 10:51
수정 아이콘
글쎄요.. 내기까지 걸려있으면 정확한 자료가 필요하겠네요. 근데 순수 저축만으로 1천만원이 되어야 하는건가요? 그러면 부양가족이 3명이면 거의 1500 가까운 순익을 내야될텐데..... 뭐 자세한건 아랫분들이 써주시겠지만 전 1% 안에 들 것 같네요.
wish buRn
15/01/22 11:10
수정 아이콘
그냥 1인 기준으로요. 가구당이 아니라 1인 저축액.
내기를 좀 애매한거로 했네요..ㅡㅡ;;
동물병원4층강당
15/01/22 12:16
수정 아이콘
경제 활동 못하는 자녀들 있는 경우 요즘 돈 엄청 들어가죠.. 1500도 거의 경제활동 안한다고 가정한건데 사실 그 정도 벌면 경제활동 수준도 높아지니까 절반 저축한다고 생각해야겠네요. 순익 2천은 나야될듯..
wish buRn
15/01/22 12:39
수정 아이콘
동의되네요.
15/01/22 10:52
수정 아이콘
소득으로는 여유 있게 드는데 자산으로는 10년 모으면 12억인데 이게 상위 1%일 것 같지는 않아서 못 들 것 같은데요. 경제력의 정의가 중요할 듯하네요.
wish buRn
15/01/22 10:57
수정 아이콘
저축액 기준입니다. 분문수정할께요.
15/01/22 10:53
수정 아이콘
안된다 일듯 하네요. 1000만원 저금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월 2000 정도 벌면 1000만원 정도는 저금 가능 하다고 볼수 있기 때문에 그정도 버는 자영업자는 그리 비교적 흔할(?) 것 같습니다.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15/01/22 11:04
수정 아이콘
월 2000만원 수입도 무조건 1000만원 저축할 수 있는 것 아닙니다.
저희집이 가계수입 2000 조금 넘는데, 실제 저축하는 양은 얼마 되지 않습니다.
단순히 월 1000만원 이상 저축하는 사람으로 따지면 1%안에 충분히 들 수 있지 않을까요??
wish buRn
15/01/22 11:15
수정 아이콘
월1100벌고 1천 저축하는 경우도 대한민국을 뒤지면 몇십,몇백명은 나올테니,(부양가족없고 젊은 나이에 버는 케이스)
이런 케이스 감안하면 월1천 저축하는 사람이 25만명은 넘을꺼라고 보더군요.. 친구놈은요.
15/01/22 10:56
수정 아이콘
대충 50% 저축한다고 보고
월 2000 연 2억 4천 수입이면 1%안에 들어가지 않을까요?
wish buRn
15/01/22 11:17
수정 아이콘
2011년기준으론 상위1%가 33728만원을 번다는군요.
근데 상위1%내야 말로 빈부격차가 극심하니(재벌회장이 1년에 500억을 번다면 평균을 어마어마하게 끌어올리죠)...

1%커트라인 통과하는 사람은 어떨까가 내기의 내용이어서요.
15/01/22 10:57
수정 아이콘
아버지가 월 1500~600 버시는데

월 1000만원 저축 힘듭니다.. 2천대 넘어가야 저축이 그나마... 그래서 1%안에 된다고 봅니다
wish buRn
15/01/22 11:31
수정 아이콘
연배나 지위가 생기시면 고정비용도 늘 수밖에 없죠.
15/01/22 11:03
수정 아이콘
1%는 안 될 것 같아요.
wish buRn
15/01/22 11:32
수정 아이콘
1%면 25만명이죠. 많다면 많은 숫자죠.
미메시스
15/01/22 11:06
수정 아이콘
http://www.newspim.com/view.jsp?newsId=20140710000570
이거보면 1% 안에 들거같네요.
wish buRn
15/01/22 11:47
수정 아이콘
확실히 서울에 많이 살긴 하네요.
15/01/22 11:13
수정 아이콘
월소득 2천 정도 되도 통장에 꽂히는 금액이 4인가족 기준 1400이 안될겁니다.
천만원 저금하려면 연봉이 3억은 넘어야 하지 않나 싶고..(월 실수령 1600~1700대 수준)
하기 블로그를 참조해보면 소득 25만등 정도는 1억 초중반대입니다.
http://ppss.kr/archives/29156
탈루소득 감안해도 월 저축 1천만이면 1%안에 충분히 들어간다고 봅니다.
완전연소
15/01/22 11:22
수정 아이콘
이게 맞죠.
많이 벌어보면 세금이 얼마나 무서운지 알게 됩니다.

잘나가는! 운동선수, 연예인 등을 제외하면 20대에 억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직업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되고,
30대 이후에는 독립하거나 부양가족이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니까 월 1,100만 원을 벌어서 1,000만 원을 저축하는 일은
전체 인구 비율로 따져볼 때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wish buRn
15/01/22 11:50
수정 아이콘
성공한 지하경제인(?)이 있을 수 있지만,
이런 사람들이 몇만단위를 넘기긴 힘들 것 같아요.
싸구려신사
15/01/22 11:20
수정 아이콘
1프로안에 든다고 생각합니다
wish buRn
15/01/22 11:46
수정 아이콘
내기조건을 충족시킬 사람들이라면
중견기업이상 임원급+ 성공한 전문직 or 자영업자 + 성공한 스포츠&연예인+ 금수저들.. 정도구요.

성공한 지하경제(?)인이 있을 수 있겠지만,이런 케이스가 몇만단위를 넘긴 힘들 것 같은데요.
싸구려신사
15/01/22 12:15
수정 아이콘
그러니깐 1프로 안에 든다고 말씀드린겁니다.
wish buRn
15/01/22 12:29
수정 아이콘
예. 저도 동의한다는 리플이었습니다. ^^;;
15/01/22 11:24
수정 아이콘
무조건 1%안에 들죠 - -;

월 천만원을 저축할수 있다는건.. 실 수령이 월 1500 전후는 된다는건데. 그 정도면 실제 수입은 월 2천이 넘는 사람인데요..
wish buRn
15/01/22 11:58
수정 아이콘
실수령 1500인데 1천 저축하면,사실 충분히 아껴사는 케이스죠.
15/01/22 13:40
수정 아이콘
한국 소득 1%가 3억이 넘을거에요. 그렇게 버는 사람은 다른 걸 찾아서 그렇게 저축을 안하겠지만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15/01/22 11:49
수정 아이콘
개인사업자나 법인사업자가 아닌한 월급쟁이로는 월 실수령 1800찍어도 1000만원 저축하기 어렵습니다.
물론, 급여가 높은 분들 중에서 삶의 목표를 월 1000이상 저축으로 하고 계신 분이라면 당연히 가능하겠지만, 일반적으로는 삶의 질 향상이 목표기 때문에 씀씀이도 같이 커져서 살다보면 남는 돈은 월소득 800일때나 큰 차이가 없는 기현상이 벌어집니다.
법인카드가 있는 법인사업자라면 몰라도 봉급생활자로는 저축에 확실한 목표를 세우지 않는 한 정말 어렵습니다.
wish buRn
15/01/22 11:59
수정 아이콘
내기때문에 좀 알아봤는데.. 월천 저축도 엄청난 벽이더군요..ㅡㅡ;;
장가가야지
15/01/22 12:10
수정 아이콘
월 천 저축할려면 연봉 3~4억 이상은 되야하지 않을까요
wish buRn
15/01/22 12:38
수정 아이콘
소득만큼 증가할 소비&세금를 생각하면.. 연봉 3억은 넘어야겠죠..
15/01/22 13:56
수정 아이콘
연봉3억도 뭐 세후면 몰라도 세전이면 38% 소득세니깐 네트론 1억8천, 여기서 1억 2천 저축해야하니 쉬운 목표는 아닙니다. 대출끼고 있을 수도 있고.. 애들 둘 정도 밑에 교육비만으로도 6천 쓰는 집안도 그 정도 연봉에선 흔한 일이고..
wish buRn
15/01/22 15:06
수정 아이콘
아파트대출금 갚는것까진 저축으로 봐준다는 전제인데요(대출값 상환 = 자산증가니까요)
교육비감안하면 쉽지않겠네요..;;
도라귀염
15/01/22 12:26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글쓴분이나 친구분 두분중에 한분이라든지 두분다 해당되기 때문에 너는 상위1%자나 이런식으로 말이 나오면서 내기가 나온 모양인듯 합니다 나름 부럽네요
wish buRn
15/01/22 12:36
수정 아이콘
그럼 치맥이 아니라 횟집으로 내기했겠죠..ㅜㅜ
15/01/22 13:00
수정 아이콘
http://media.daum.net/economic/newsview?newsid=20140915151812211
가구당 100만원 이상 저축하는 사람 비율이 2.8% 라는데요... 하하.
저정도는 더 되지 않을까 싶은데..
더 많이 버는 거랑 은행 저축을 하는것은 다르니까요. 은행만이지 싶네요.
15/01/22 13:55
수정 아이콘
이건 좀 충격적인데요.. 대출 갚는거 빼고 이야긴지.. 아님 정기 적금에 든 상품만 이야긴지.. 대략 돈이 돌아서 어디어디로 빠져나가기 하지만 일단 100만원 이상 다달이 통장에 넣는 가구수는 훨씬 더 될거 같은데..
wish buRn
15/01/22 15:07
수정 아이콘
그럴겁니다. 펀드가입은 저축율에서 제외했던거 같네요.
15/01/22 13:42
수정 아이콘
저축 천만원이 기준이면 될 거 같은데 크크; 상위 1%가 월 천만원 저축할 능력이 안되는 것 같지는 않고 딴 데 쓰는거라 봅니다.
wish buRn
15/01/22 15:11
수정 아이콘
그럴 확률이 높겠네요. 물려받은게 많을 확률도 높구요.
15/01/22 14:59
수정 아이콘
1천만원 이상을 순수 저축이라면 1% 안에 들어갈것 같고 1천만원 이상을 재테크에 쓴다라면 (저축, 주식, 부동산 등 믹스해서) 1% 밖일것 같습니다.
wish buRn
15/01/22 15:28
수정 아이콘
후자 기준입니다. 요즘은 금리때문에 다른 재테크를 운용하는게 다반사라서..
15/01/22 16:07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1% 안에는 못들지 않을까 추측해 봅니다.
wish buRn
15/01/22 21:45
수정 아이콘
하긴 제가 모르는 우물밖엔 뭐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 -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8545 [질문] 뻘질문) 돼지가 철갑상어급으로 귀해지면.. [16] wish burn2058 15/04/23 2058
53653 [질문] 이러면 끝났다고 봐야겠죠? [49] wish burn4481 15/02/11 4481
52220 [질문] (완전뻘질문) 1달 1천만원 저축 대한민국 1%? [44] wish burn3638 15/01/22 3638
49986 [질문] 전성기 이만수급 포수가 나타난다면 몸값은? [16] wish burn2291 14/12/21 2291
48182 [질문] (스포?) 영화 레옹 질문입니다. [13] wish burn5126 14/11/27 5126
46187 [질문] 대전에 괜찮은 해산물집 있을까요? [4] wish burn1008 14/11/02 1008
44886 [질문] (계층&내용누설) 파이브스타스토리 설정관련 질문입니다. [4] wish burn693 14/10/16 693
42404 [질문] SK t끼리 35요금제 데이터 요금 질문입니다 [6] wish burn1507 14/09/13 1507
39691 [질문] 자삭합니다. 본문 내용없습니다 [7] wish burn1406 14/08/07 1406
37534 [질문] 반바스텐 vs 클린스만. 선수시절 평가는? [13] wish burn2786 14/07/09 2786
36153 [질문] 컨페드컵 우승 vs 월드컵8강 [15] wish burn1687 14/06/21 1687
35217 [질문] 조선시대 생산력vs신라시대 생산력 [13] wish burn3543 14/06/10 3543
34069 [질문] 자존감키우는 것도 방법있나요? [50] wish burn2542 14/05/27 2542
33370 [질문] 대전에서 소개팅할만한 장소있을까요? [11] wish burn1237 14/05/18 1237
33153 [질문] (스포?) 영화 '저지드레드(2012년버전)'질문입니다 [7] wish burn1016 14/05/15 1016
32388 [질문] 선진국은 사회계층(?)이 고착되어있나요? [23] wish burn2156 14/05/06 2156
31592 [질문] (스포?) 얼불노 무력비교 질문입니다 [22] wish burn2442 14/04/25 2442
31067 [질문] 차량에 녹이 생기면..;; [6] wish burn1225 14/04/18 1225
30127 [질문] (스포주의) 영화 신세계 질문입니다 [10] wish burn4085 14/04/05 4085
28024 [질문] [뻘글] 콩레블 vs 짭레블 당신의 선택은? [8] wish burn2320 14/03/11 2320
27505 [질문] 슬슬 결혼에 대한 압박이 들어오는데요.. [35] wish burn2894 14/03/04 2894
26731 [질문] 고전게임을 찾습니다 [2] wish burn1220 14/02/22 1220
22682 [질문] 세종이나 태종이 조선말에 태어났다면.. [16] wish burn2003 14/01/02 200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