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1/05 20:03
많이들 알고 있...
면제가 아니라 일종의 방위 산업체죠. 3년간 연구원으로 일하는 겁니다. 그거 하자고 박사를 한다니... 말도 안 됩니다. 박사가 얼마나 힘든데요.
15/01/05 20:04
국내 박사를 한국대학에서 받으면 되는데 아무나 다 되지는 않습니다.
시험을 쳐서 붙어야 해요. 그러면 박사과정 하면서 병역대체복무가 가능하고, 총 4년 걸립니다. 석사까지 하면 6
15/01/05 20:06
전문연구요원이죠.
카이스트제외한 학교에서는 전문연 편입을 위해 따로 시험을 쳐야하고, 박사 수료이후(학점 다 채운 이후)부터 3년 카운트합니다. 원래 근무일지정도만 썼는데 얼마전부터 학교에 카드키달고 출퇴근시 찍어야하는 등등 점점 빡세지더라구요. 얼핏 이공계박사가면 면제받는다 정도는 많이 아실껄요? 별 생각 없는 사람이 이것때문에 박사가는건 비추입니다. 개인적으로 카이스트 대학원이 타대와 비교해서 좋은 이유중에서 1%정도는 별 준비없이도 전문연 편입이 가능해서가 아닐까라고 생각합니다.
15/01/05 20:06
이공계 학생이면 모를 수가 없죠. 근데 뭐 한국사 1급 있어야 되고 영어성적도 있어야 되고 꽤 까다롭습니다. 영어성적이 자격제도 아니고 위에서부터 자르는 걸로 알고요.
15/01/05 20:12
근데 그거 하려고 박사하는 사람은 없죠.. (2)....
3년이 복무기간이고 예전보다는 좀 더 타이트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손등인식으로 출근 찍더라구요 크크 군대에서 고생해도 2년 이걸해도 3년이라....우리 나라 남자들이 고생이 많구나 싶습니다..;;;
15/01/05 20:17
이거 때문에 박사과정 밟기시작하면 갑을관계가 아닌 완전 갑정관계정도??로 묶인다고 하더라구요
중간에 그만두면 군대 바로 가야되니 교수가 시키는거 묵묵히 다해야되고 부당한 대우 받아도 뭐라할수 없죠...
15/01/05 20:29
전문연구요원 출신(?)인데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지만, 막 그냥 다되는건 아닙니다.
저희 때는 용산에 있는 고등학교에서 다같이 영어, 국사 시험봐서 순위대로 자격이 주어졌습니다. 그 이후에는 선발방법이 좀 바뀌었더군요. 보통 박사 5년정도 걸리는데, 공부가 많이 좋으면 추천하지만 군대 때문이라면 위기가 닥칠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15/01/05 20:40
2~3년동안 박사과정을 수료해야 자격이 주어지고, 그 이후에 시험을 쳐서 통과하고 (저때는 시험 자체가 쉬웠는데, 요새는 한국사자격검정이랑 텝스였나? 여튼 난이도가 올라갔습니다.), 또 그 이후에 3년을 복무해야합니다. 군대를 다녀오지 않아서 함부로 말하면 안되겠지만 7년째 연구실생활를 하면서 드는 생각은 그냥 군대 다녀올껄 입니다...
15/01/05 20:46
글쓴 분이 말씀하신 것처럼 제 주변에도 그거 하려고 박사 하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많이 알려진 부분이기도 하고..
박사 하려다보니 그렇다던데? 아 그렇구나. 그럼 그렇게 하면 되겠네 정도의 유야무야..
15/01/05 21:09
선후 관계를 바꿔서 생각하면 괴롭죠. 제가 동기들이랑 석사가 2년인 이유는 1년이면 아무나 다 하고 3년이면 아무도 안하기 때문이다.. 라고 하는데.. 박사야 뭐...........
15/01/05 21:20
정말 작정하고 군대 안가려고 마음만 먹으면 대체복무의 길은 정말 어마어마 합니다.
올림픽 가서 메달따는사람들만 부러워 할게 아니라 산업기능요원, 방위산업체, 예술어쩌구, 체육어쩌구 해서 정말 많아요. 특히 방위산업체는 진입장벽이 좀 낮은편인기도 하죠.
15/01/05 22:10
방위산업체에서 일을 하는 사회복무요원이 바로 산업기능요원인데, 이건 2014년부터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출신 고졸에게만 TO가 주어지는 한정적인 제도로 일단 바뀌긴 했습니다. 점점 좁아지고는 있어요.
15/01/05 22:56
왜 이 댓글이 없는지는 모르겠는데 박사도 필요없고 석사하고 전문연구요원 자격으로 국내 회사에서 일하며 군대 대체할수있습니다.
자격 요건 : 석사 이고 전문연구요원 자격으로 박사 과정을 떼우냐 회사에서 일하면서 떼우냐의 차이죠.
15/01/05 23:58
네.. 서울 경기도 권이랑 나머지 지방이랑 TO가 따로인 걸로 알고 있고요.
지방은 KAIST와 포스텍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만 두 학교다 워낙 학생수가 적은 편이라서,,,, 경북대와 부산대도 상당수를 차지합니다. 뭐 예전에는 영어랑 국사만 시험쳐서 어느정도 되면 된다고 들었는데, 우선은 수도권보다 지방이 난이도가 훠얼~~~~씬 낮았다는 사실.. 수도권은 SKY 부터가 인원이 상당수라 난이도가 헬이지만, 지방은 그런게 덜하죠..흐흐 지금은 어떤지 잘 모르겠군요. 적어도 이공계 박사에 지원하는 남학생이라면 도전해 볼만 합니다. 그리고, MB가 참 호작질을 많이 해두었지만, 석사만 마치고 시험없는 전문연구요원에 도전하는 것도 꽤 의미가 있습니다. MB가 중소기업 살리겠다고, 얼마없던 대기업 전문연 TO를 대폭 줄였죠...
15/01/06 10:00
학점 백분위 점수x3에 텝스 점수÷3.3을 더해서 총 600점 만점으로 해서 정원을 뽑습니다. 박사과정 수료 후에요. 학사 병특은 없어졌습니다. 어줍잖게 특성화 고교 나온 애들 배려해준다고 고졸 병특을 만들어줘서..
15/01/06 20:05
여기 전문연구요원 출신분들 많지 않나요?
제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전문연구요원으로 복무했고 지금 예비군 3년차입니다. 4주 군사훈련은 받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