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4/12/11 16:34:16
Name 모쏠로메테오
Subject [질문] [스타1] 이제동 vs 이윤열은 결론이 난 상황인가요?
이윤열
양대리그 : 우승 6회/준우승 4회/4강 1회
겜티비 1회 우승/1회 준우승
Itv 2회 우승
프리미어리그 1회 우승
프로리그 다승왕 2회


총전적 580승 308패 (65.3%)
vs Terran 222전 146승 76패 (65.8%)
vs Protoss 274전 176승 98패 (64.2%)
vs Zerg 392전 258승 134패 (65.8%)


양대 개인리그 본선 전적
224전 139승 85패 (62.1%)
vs Terran 70전 46승 24패 (65.7%)
vs Protoss 58전 31승 27패 (53.4%)
vs Zerg 96전 62승 34패 (64.6%)


프로리그 전적
157전 84승 73패 (53.5%)
vs Terran 70전 38승 32패 (54.3%)
vs Protoss 44전 25승 19패 (56.8%)
vs Zerg 43전 21승 22패 (48.8%)



이제동
양대리그 : 우승 5회/준우승 4회/4강 3회
GSL 1회 우승
WCG 1회 우승
WCG 한국대표 선발전 2회 우승
천하제일 스타리그 1회 우승
프로리그 MVP 2회
프로리그 다승왕 2회
프로리그 신인왕


총전적 839전 574승 265패 (68.4%)
vs Terran 330전 211승 119패 (63.9%)
vs Protoss 245전 169승 76패 (69.0%)
vs Zerg 264전 194승 70패 (73.5%)


양대 개인리그 본선 전적
217전 143승 74패 (65.9%)
vs Terran 100전 59승 41패 (59.0%)
vs Protoss 66전 50승 16패 (75.8%)
vs Zerg 51전 34승 17패 (66.7%)


프로리그 전적
347전 240승 107패 (69.2%)
vs Terran 122전 78승 44패 (63.9%)
vs Protoss 76전 48승 28패 (63.2%)
vs Zerg 149전 114승 35패 (76.5%)

이거 결론이 났나요?
활동기간, 승률, 꾸준함 다 제쳐두고 우승 1회 더 한 이윤열 win인지

아니면 이제동인지 둘 다 아니면 결론이 나지 않았는지 문득 궁금하네요. 전반적인 커리어가 너무 비슷해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ohmylove
14/12/11 16:37
수정 아이콘
이윤열 win이죠

따질려면 이윤열 vs 이영호 면 몰라도
yangjyess
14/12/11 16:40
수정 아이콘
이제동 win 으로 봅니다. 총전적이 너무 차이가 많이 나요. 스타2에서 우승한것도 개인적으로는 큰 점수를 줍니다.
14/12/11 16:40
수정 아이콘
이윤열 대 이제동은 비교글을 거의 못 본듯해서

이 자료만 보면 박빙인데

전성기는 이윤열 꾸준함은 이제동

근데 테란은 사기니까 이제동 미세우위 정도로
14/12/11 16:41
수정 아이콘
이윤열
14/12/11 16:43
수정 아이콘
이윤열 본좌시절에 이영호 이제동이 활동 한 시절만큼 경기수가 많았으면 비교 할 수 있을텐데......

프로리그에서부터 경기숫자 차이가 넘사벽이라.......

저그로..... 게다가 저저괴물인 이제동을 약간 위라 생각합니다 저는..
天龍人
14/12/11 16:43
수정 아이콘
전 꾸준함의 이제동요 저그이기도 하구요
14/12/11 16:46
수정 아이콘
이윤열 win이죠. 그 시대에는 경기수가 그렇게 많지 않았는데요. 시대의 지배자였기도 하고...
마인러쉬
14/12/11 16:47
수정 아이콘
저는 이윤열이요. 테란을 사기종족으로 만든게 이윤열이죠. 이윤열 전에 특출난 테란이라고 하면 임요환뿐이었는데 임요환은 테란이라 잘했던 게 아니라 특유의 깜짝전략으로 상대하는 느낌이었다면 테란이랑 종족자체를 타종족들에게 사기라고 인식시켜준 최초의 인물을 이윤열이라고 봐서요
로이스루패스
14/12/11 16:49
수정 아이콘
이윤열이라는 테란의 등장부터 지켜본 사람으로써는 당연 이윤열의 손을 들어주고 싶네요. 임요환 선수 전성기떄는 '임요환이 어떻게 이길까?"가 기대되었다면, 이윤열 선수의 전성기때는 '어떻게 하면 이윤열을 이길 수 있을까?'가 궁금해졌었거든요..
터져라스캐럽
14/12/11 16:52
수정 아이콘
전 이윤열이요~
FastVulture
14/12/11 16:52
수정 아이콘
이거는 이윤열 win인거 같아요. (스1 한정)
이영호가 아닌 이상...
14/12/11 16:54
수정 아이콘
이건 이윤열이죠....
하루빨리
14/12/11 16:54
수정 아이콘
이제동선수는 현재진행형이고 이윤열선수는 과거죠.
그러므로 이제동선수 Win
14/12/11 16:59
수정 아이콘
스2까지 치면 이제동 스1만 하면 이윤열
검은별
14/12/11 16:59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하면 꾸준함이 떠올랐는데 수치를 보니 꾸준함은 오히려 이제동 선수였네요.
윤세나
14/12/11 17:02
수정 아이콘
스1만 해도 이제동이죠
구름이가는곳
14/12/11 17:09
수정 아이콘
이제동 한표
王天君
14/12/11 17:14
수정 아이콘
그런데 이런 식의 기록만 가지고 선수의 위대함을 평가하는 게 과연 옳은 방법인가 싶습니다. 우리가 피카소와 마티스의 그림을 비교할 때 소더비 경매에서 최고가 갱신을 몇번 했다 이런 식으로 따지지는 않잖아요. 전성기 당시 경기를 봤던 사람들만이 내릴 수 있는 평가죠.

크리스토퍼 놀란이 얼마만큼 흥행을 시켰으니 스티븐 스필버그보다 훨씬 더 대단하다 이런 느낌이랄까요.
라이트닝
14/12/11 17:59
수정 아이콘
수치로 표현하기 힘든 예술가만 예로 드셨는데 스포츠선수는 예술가가 아니죠.
스포츠는 종목마다 엄연히 각종 전적과 공식기록이 존재하고
베이브루스가 더 대단한지 베리본즈가 더 대단한지 통산타율,장타율,출루율,통산 OPS등의 기록를 가져와서 충분히 비교해볼수도 있다고 봅니다.
신중함
14/12/12 01:56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방법이야 직접 비교를 할수 없으니 그야말로 간접적인 비교 아닌가요? 그리고 예술이 들어간 스포츠도 많고요. 뭐... 그런 비교들이 굳이 틀렸다라고 할순 없지만 가끔은 억지스런 비교가 아닌가 그런 느낌이 들어서요.
이 분이 제 어머
14/12/11 17:16
수정 아이콘
이영호>=이윤열>이제동 으로 봅니다.
14/12/11 17:24
수정 아이콘
이윤열 손들어주고 갑니다 앞마당 먹은 이윤열은 무적이엇죠 알고도 못막는 원팩 원스타 전략또한 무시무시했죠
wing tree
14/12/11 17:25
수정 아이콘
스1 한정으로 이윤열 한표 주고싶네요
그래도 한 시대를 휘어잡았죠
아칼리
14/12/11 17:29
수정 아이콘
이윤열에 한 표.
김첼시
14/12/11 17:30
수정 아이콘
한시대를 혼자 휘어잡았던점 완전 하락했다가 부활한점등 때문에 전 이윤열에게 더 표가 가네요.
애기찌와
14/12/11 17:45
수정 아이콘
올드유저에겐 충격적이군요!!
전적으로 따질거면(구밀복검님이 달아주셨듯이 빠진 전적이 있지만 우선 본문에 적힌 전적으로만) 그냥 써있는 그대로 이제동이 앞서는게 맞지요.

그런데 이윤열만큼 시대를 앞서가거나 시대를 지배했느냐하면 절대 이제동이 앞선다고는 못하겠네요.

이제 기억도 잘 안나는 종족최강전?? 최다연승 기록이나 이재훈 50게이트 사건이나 로템 앞마당 먹은 이윤열은 못이긴다는 소리라던지 대변해주는 수식어나 센세이션을 일으켰던건 이제동보단 이윤열이 앞서지 않겠셉습니까??
yangjyess
14/12/11 19:07
수정 아이콘
이윤열 정말 훌륭한 선수입니다. 하지만 이재훈 50게이트 사건은 그냥 이재훈이 바보짓 개삽질한거고 로템은 맵 벨런스상 테란이 너무 좋아서 적당한 근거가 되지 못하는듯 합니다.
해적왕
14/12/11 21:28
수정 아이콘
당시에는 저그맨 등장으로 저그맵이 되지 않았었나요?
애기찌와
14/12/11 22:26
수정 아이콘
언급해주신 논리라면 엄재경 해설외에는 어떤 선수에게도 평등한 잣대를 댈 수 없지 않나요??
어느 맵이나 특정 종족에게 유불리하다는건 계속 있었던 이야기인데 이윤열에게만 적용시키기엔 어불성설이라고 보여집니다.
이재훈이 바보짓 개삽질(말씀이 심하신데..)한것도 있겠지만 그 상황에서 GG치지 않고 돌파구를 만들어 역전했다는건 대단한것입니다.
역시나 언급해주신 논리라면 임요환의 패러독스 대 도진광전이나 크게봐선 김준영의 대 변형태 결승전 모두 폄하 당해야하는 기록이 되는것인가요??
yangjyess
14/12/11 23:00
수정 아이콘
임요환 도진광은 그냥 개그라고 생각하고 김준영 변형태도 냉정하게 돌이켜보면 변형태의 실수가 꽤 큽니다. 그래도 변형태는 이재훈 정도는 아니죠. 5경기에서 베슬관리를 너무 못한게 문제였는데 그래도 기본적인 공굴리기와 난전이 됐으니 중반에 유리해보이는 착각이라도 들었던 겁니다. 이재훈은 그정도 실수가 아니라 그냥 대놓고 병력 버린거죠.

맵 문제는 ... 종족 유불리는 어느 맵이나 있었지만 로템은 그 정도가 너무 심하다고 생각합니다. 언덕탱크나 센터 구조물은 ... 어휴... 욕나와요 정말...

다만 이 두가지는 이윤열을 찬양하기 위한 근거로 부족하다는 것이지 그것으로 인해 이윤열이 폄하될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그거 아니래도 다른 업적들이 너무나도 엄청나니까요. 개인적으로는 임이최마라는 개념도 그냥 이윤열 미만 잡이라고 평가하는 정도입니다.
보라돌이
14/12/12 08:34
수정 아이콘
님의 논리는 2009년 이전 게임은 몯두 가치가 없다는 논리네요
애기찌와
14/12/12 09:43
수정 아이콘
말씀해주시는걸 보니 더 이상 논의 할 엄두가 나질 않네요.
죄다 실수나 개그라고 폄하해버리시니.. 말씀하시려는 요점은 어느정도 알겠습니다.
라이트닝
14/12/11 18:01
수정 아이콘
저도 한시대를 완전히 지배한적 있다는 차이때문에 요건 이윤열 손을 더 들어주고 싶군요.
테란 외에는 시대를 지배한적이 있는 선수가 없느냐? 그건 아니거든요.

하지만 범위를 넓혀서 '이제동은 스2 우승도 했음' 이 얘기를 꺼낸다면 이제동쪽 의견도 일리 있는것 같습니다.
Around30
14/12/11 18:03
수정 아이콘
단지 우승 횟수 전적 승률을 따지기엔 시대가 달라도 너무 달랐다고 봅니다.
보는 관점에 따라서 누가 win 이 되도 이상하지 않아요. 이윤열 시대에는 개인리그만 있거나 초기 프로리그때라주 5일은 상상도 못했던 시대였죠.
따라서 한경기 한경기의 준비량이 남달랐던 시대였고 피지컬이 극한까지 올라오지 않은 시대라 높은 승률을 기록하기 힘들었을 뿐더러 백승 채우는 기간이 매우 길었죠.
반면 스타1후기엔 주5일제 정착과 함께 기본기가 절대적으로 중요해졌고 극한의피지컬 정착에 의해 전략이 상대적으로 약해진 시대이기도 합니다.
또한 많은 분들이 한가지 이러한 논쟁을 할때 간과하는 것이 인재풀 유입의 속도와 양이기도 합니다.
프로 선발 숫자를 스타1후반엔 확 줄였죠. 따라서 전 세대를 능가할 슈퍼루키의 등장이 상당히 더뎠던 시기이도 합니다.
그예로 택리쌍의 후반기 승률은 스타 역사 초중반엔 있을수 없었던 승률 인플레의 시기이도 하고요.

따라서 엄청난 인재풀이 밀어닥친 스타의 전성기 시절에 저만큼 롱런한 이윤열에게 한표 주고 싶습니다.
상대평가 없이 절대 평가로만 보면 뭐 이제동이 우위라고 봐도 무리는 없지만 역시 스타는 상대평가가 제맛이거든요.
스타판은 전투력 인플레가 상당한 드래곤볼 역사에 비유할만합니다. 부우시절 손오공과 프리더 시절 손오공의 전투력은 비교대상이 아니지만 프리더 시절 손오공의 상대 전투력및 극중 비중은 더 컷듯이 말이죠. .
미네랄배달
14/12/11 18:03
수정 아이콘
시대의 지배자였던 이윤열은 이영호와 비교대상은 될지 몰라도
이제동과는 아니라고 보는데..
이영호 선수가 없었다면 이제동 선수가 Win이겠지만,
아무튼, 이영호>이윤열>=이제동 정도라고 봅니다.
14/12/11 18:03
수정 아이콘
이영호vs이윤열도 팬심이 아직 많이 남아서 이윤열쪽 화력이 좋죠. 실질적으로는 이영호>이윤열>=이제동 정도라고 보는데..
사티레브
14/12/11 18:29
수정 아이콘
마재윤 관련했던 파이어된 질게글과 비슷한 양상 같네요
한걸음
14/12/11 18:38
수정 아이콘
시대 지배야 이제동도 09년도를 압도적으로 먹었으니 관계는 없을것 같지만 우승 1회 더 있는 이윤열을 쳐주고 싶네요. 이윤열 이영호 같고 아주 약간 아래 이제동으로 봅니다.
어떤날
14/12/11 18:55
수정 아이콘
전 팬심 때문이겠지만.. 이제동이요.

누적의 이윤열이라고는 하지만 활약한 기간을 봤을 때 솔직히 그렇게 큰 차이가 나는 것 같지도 않거든요. 대충 이윤열이 02~07 정도? 였다면 이제동은 08~12 정도인데 그 이후에도 스타1이 지속되었다면 어찌 되었을지 모르니까요. 이윤열은 부활한 점을 높게 쳐준다는 분도 계시지만 반대로 보면 이제동은 계속 꾸준했으니까 부활할 여지 자체가 없었던 거 아닌가요;; 우승 1개 차이는 동시대에 압도적인 괴물이 있었으니... ㅠㅠ 뭐.. 이래저래 여지가 많이 있긴 하지만 이제동이 별로 꿀릴 것도 없다고 봅니다. 스2 치면 더더욱요.
Philologist
14/12/11 18:57
수정 아이콘
그냥 당시 느낌(포스)을 더듬자면 이윤열의 압도적 승리네요. 이제동 시기에는 이영호가 있어서...
14/12/11 19:00
수정 아이콘
근소하게 이윤열 우세 봅니다.
봄의 왈츠
14/12/11 19:09
수정 아이콘
이윤열 근소 우위라고 생각합니다.
살다보니별일이
14/12/11 19:17
수정 아이콘
이윤열 이영호 차이가 이윤열 이제동 차이보다 큰데 역대 넘버원에는 이영호가 독보적으로 뽑히고 이제동 이윤열은 박빙이네요 -_-...이걸 뭐 어떻게 받아들여야되나...

임요환을 제외하면 이영호>= 이윤열> 나머지라고 봅니다.

아 스타1만 한정해서요.
14/12/11 20:46
수정 아이콘
스1만 쳐도 이제동이요
동시대에 이영호가 같이 있는데서 낸 성적이라는데 가산점을 주고 싶네요
비밀....
14/12/11 20:46
수정 아이콘
소위 그랜드슬램 때 이윤열도 강했지만 이제동도 스타리그 2연속 우승도 했었고 굳이 따지자면 정점에 오른 시기는 이윤열이 좀 더 위지만 이제동이 훨씬 더 오랫동안 정상을 지켰다고 봐서 선수 자체로는 둘이 비슷하다고 보고 종족 감안해서 이제동이 약간 우위라고 생각해요. 이제동은 오랫동안 엄청난 승률을 보여줬고 07년 이후로 스타1 리그 끝날때까지 정상급이었는데 꾸준히 최고였다는 점이 대단하다고 봐요.
14/12/11 21:08
수정 아이콘
이게 뭐라해야하지... 이윤열 시대의 수많은 대회들이 지금에서야 가치가 폄하될 뿐이지. 이윤열 시대 전성기가 그렇게 호락호락하진 않았습니다. 양대리그라는 자체가 정립된 지도 기간이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죠.
드랍쉽도 잡는 질럿
14/12/11 21:21
수정 아이콘
이제동이라고 생각합니다. 경기 내적인 면이나,경력, 상징성 등등 다 따져도...
이영호, 이제동 선수는, 일정 시기 이후로는 기존의 선수들과 비교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끝까지 갔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장가가야지
14/12/11 21:56
수정 아이콘
이윤열에 한표요
개인적으로는 최연성보다 더한 포스였다고 생각합니다
저글링앞다리
14/12/11 21:59
수정 아이콘
골수 저그빠지만 이윤열이라고 생각합니다.
단, 스1에 한해서일때요.
과거가 미화되고 추억보정 되는 경우도 많지만 최근의 임팩트에 밀려 폄하되고 가볍게 취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윤열선수의 경우 후자의 케이스라고 봅니다.
14/12/11 22:04
수정 아이콘
이건 이윤열이죠
이제동선수도 정말 대단하지만
다 필요없이 슬럼프에서 부활해서 우승했다는것부터가 사기입니다.
한번 삐긋해서 떨어지면 다시는 못올라오는게 스타판이였는데...
장난삼아 벼닉스라고 부르는게 아니죠
아 또 하나 이윤열선수를 나타내는 문장이 생각나네요

"스타판 최강자를 말한다면 3명이든 5명이든 10명이든 뽑을수가 있다
하지만 어쨋든 그중에서 이윤열은 반드시 들어간다"
비밀....
14/12/12 04:20
수정 아이콘
이제동은 첫 우승 이후에 정상권에서 내려온 적이 없으니까 애초에 부활할 필요가 없었죠. 이윤열이 양대피씨방에서 1년여를 보내고 극적으로 부활한게 스토리 상으로는 멋있을지 몰라도 커리어 이야기할때 고평가할 근거가 될수는 없다고 봅니다.
독수리의습격
14/12/11 22:46
수정 아이콘
이윤열입니다. 전적은 절대 수치지만, 시대의 지배자라는 호칭은 상대적인 얘기죠.
그 상대적인 강함에서 이제동은 이윤열에 미치지 못합니다.
라라 안티포바
14/12/11 23:25
수정 아이콘
이윤열은 역대커리어에서 이영호 선수와 비교되는 선수인데...
이제동 선수는 확실하게 이영호 아래로 분류되는 선수죠;;
14/12/12 00:10
수정 아이콘
이제동이요. 이윤열이 활동할 당시가 프로리그 초창기라는 점이 있긴 하지만, 프로리그에서의 활약이나 꾸준함에서 차이가 나죠.
스프레차투라
14/12/12 00:51
수정 아이콘
메이저 우승도 이윤열이 1회 더 많고,
양대리그 동시우승(+겜TV까지 그랜드슬램) 역시 스타1 역사상 이윤열/이영호 뿐이죠.

이제동 역시 저그의 왕이긴 하나 동시대 이영호에게 결국은 밀렸다는 점,
그 이영호에게 양대리그 동시준우승(+WCG까지 3연준) 당한 것도 있구요

때문에 이윤열 win
이윤열은 이영호와 비벼야죠. 이제동은 최연성과 박성준 사이의 위치라 봅니다.
구밀복검
14/12/12 01:17
수정 아이콘
음...최연성보다는 어떤 기준으로 봐도 이제동이 많이, 명확하게, 이견의 여지없이 우위라고 생각합니다. 누적 다전, 다승이나 승률, 개인리그 본선 전적, 상위 라운드 진출 횟수 등도 비교도 안 되고, 결승만 2배 가까이 더 갔으니까요. 우승횟수도 같고.
비밀....
14/12/12 04:25
수정 아이콘
양대리그 동시우승이라는 점에서 이윤열을 고평가한다는것까진 납득하지만 그 뒤 내용은 말이 안됩니다. 이제동이 원탑 먹은 시기는 09년이고 그 이전까진 이영호에게 앞서다가 이후에 갓모드로 들어간 이영호한테 밀린거죠. 뒤 내용 논리대로면 이윤열을 더 저평가할 수 밖에 없는것이 이윤열은 최연성 데뷔 이후로 다전제에서 최연성 말년에 IEF에서 이긴거 빼곤 그야말로 무슨 수를 써도 다 졌죠. 날빌을 쓰면 날빌대로 막히고 정석으로 가도 정석으로 지고.
14/12/12 01:21
수정 아이콘
이윤열> 이영호>=이제동
치토스
14/12/12 03:02
수정 아이콘
이제동이요
14/12/12 03:22
수정 아이콘
이제동입니다.
팀들이 프로리그에 더 비중을 두고 창단이 되었던 걸 감안하면 프로리그 성적이 압도적인 이제동의 우세라고 봅니다.
양대리그 우승 한번 빠진다 쳐도 WCG우승이면 치환하고도 남는다고 보고요.
허리부상
14/12/12 07:36
수정 아이콘
이제동과 이윤열 시대에 다른 선수들을 응원해서 둘 다 싫어했는데 이제동이 좀 더 두려웠습니다..
짝사랑
14/12/12 11:44
수정 아이콘
이제동팬인지라 글 안달고 구경만하고있었는데,
이런 댓글이 가장 재밌어요 크크
뒷페이지로 넘어간김에 본문과는 다른이야기를 해보자면
저도 개인적으로 이윤열 응원할때 최연성이,마재윤이 싫었고
이제동 응원할때 김택용,이영호가 싫었어요.
근데 이제동응월할때 김택용,이영호는 이제동이 우위였다가 갈수록 밀리는 그림이었다면,
이윤열 응원할때는 그저 답답했어요. 그냥 애초부터 졌던 느낌..
애기찌와
14/12/12 11:52
수정 아이콘
맞는 말씀이십니다.
다만 이윤열이 한창 주가를 올리던시절을 떠올리면 임요환 팬이었는데 이윤열이 싫었거나 서지훈 팬이었는데 이윤열이 싫었거나 조용호 응원했는데 이윤열이 싫었던 팬들도 분명히 존재할겁니다.

다 상대적이라는것이지요.

맨 처음 댓글에도 언급했지만, 전적으로만 따지자면 그것은 이제동입니다.
다만, 사람인지라 모두가 체감하는게 다르듯이 전적이 아닌 일종이 포스라는걸로 놓고 따져보면 이윤열이 앞선다고 하는 사람도 충분히 나올 수 있지 않을까 싶셉습니다.
14/12/12 22:30
수정 아이콘
그 시대의 최강자였는가?
라는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지 궁금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5091 [질문] [LOL] 삼성 화이트 예전 경기 질문입니다 [4] Vibe1100 15/07/27 1100
64284 [질문] [LOL] LCS EU 일정및 장소 질문.. [3] 월을릇1227 15/07/14 1227
63494 [질문] [모든 스포츠] 이미 명성이 대단한 팀이나 선수일경우 [9] SKY92926 15/07/02 926
59681 [질문] [LOL] MSI 일정이 궁금합니다!! [4] 리니시아1017 15/05/10 1017
59669 [질문] 슬램덩크 보다 궁금한 부분 있습니다. [12] GodQn1699 15/05/09 1699
58255 [질문] (뻘글) 직장인 분들 일요일은 좀 일찍 주무시나요? [12] 기억의습작1748 15/04/19 1748
57741 [질문] 우리나라 초중고야구팜이 어떻게되나요? [12] 바위처럼1855 15/04/12 1855
56228 [질문] 댄스배틀대회 질문입니다. [1] 향냄새665 15/03/21 665
54846 [질문] [스타1] 이영호vs정명훈 빅파일 MSL 4강 1경기 질문입니다 [5] SKY921561 15/03/01 1561
53335 [질문] [스타1] 티빙 스타리그 4강 정명훈 vs 이영호 선수 경기 질문입니다. [6] 돌아보다1949 15/02/07 1949
52178 [질문] [스타1] 지속을 위해 어떤 사건(?)이 도움이 되었을까요? [19] 기억의습작1498 15/01/21 1498
50006 [질문] [스타1] 이제동> 마재윤 이면 이윤열>이영호 아닌가요? [53] kien6338 14/12/21 6338
49278 [질문] [스타1] 이제동 vs 이윤열은 결론이 난 상황인가요? [65] 모쏠로메테오4484 14/12/11 4484
48888 [질문] [스타2] 내일 핫식스컵 직관 관련 질문드립니다. [2] 오승아578 14/12/06 578
48119 [질문] 라이어게임 여배우 [15] 오하영1385 14/11/26 1385
46156 [질문] [LOL] 만약에 나진이나 진에어였으면 선수이탈 줄었을까요? [4] Tad1372 14/11/01 1372
45514 [질문] [LOL] 주말에 학교에서하는 대회나가는데 조언부탁드립니다 [17] 안할란다1404 14/10/24 1404
45099 [질문] [LOL] 롤드컵 MD샵 관련 질문 [5] 시네라스1104 14/10/18 1104
45071 [질문] [LOL]롤드컵 결승전, 상품을 안정적으로 사려면 언제 도착해야 할까요? [2] 엔하위키795 14/10/18 795
45067 [질문] [LOL] 롤드컵 챔프,스킨 코드 언제 나누어주나요? [1] BBok907 14/10/18 907
45045 [질문] [LOL] 이번 롤드컵 결승전도 현장판매 소량 하나요? [4] Galaxia926 14/10/18 926
45025 [질문] 광안리 해운대쪽에 싼 숙박업소나 찜질방좀 알려주세요ㅠ [1] iloveus685 14/10/17 685
44976 [질문] [LOL] 롤드컵 결승전 식사 질문 [8] w.A1209 14/10/17 12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