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3/04/09 17:39:43
Name 몽유도원
Subject [질문] 외제차를 쉽게 선택하지 못하는 이유가 있나요?
물론 가격이 국산차량에 비해 비싼건 뭐 당연하니 그러려니하겠는데

그렇다고 막 어마어마하게 차이나는것도 아니고 조금 더 쓰면 동급 외제차량을 살 수 있는 가격대이던데

주변에 보면 현기차 욕하다가도 결국엔 현기차로 가더군요.

나중에 중고값 받으려면 현기차로 갈 수 밖에 없다고 하는데 제 생각엔 안전을 담보하지 못하는 현기차 살바에

돈좀 더 쓰고 괜찮은 외제차량 가는게 더 맞지 않나 생각되는데, 사람들이 왜 선뜻 외제차량을 구입하지 못하고

현기차로 집중되는 이유가 뭔가요? 단순히 가격의 문제인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一切唯心造
13/04/09 17:40
수정 아이콘
세금과 기름문제 아닐까요?
Aquarius
13/04/09 17:43
수정 아이콘
친구가 외제차 산다고 알아 보더니 보험, 각종 세금이 크게 차이 난다고..
그리고 유지비에 A/S문제도 클거 같고.. 중고 시세도 걸려있고.. 여러 가지고 복합적이지 않을까요?
13/04/09 17:44
수정 아이콘
차의 품질을 제외한 모든것이 국산차에 비해 딸린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차의 가격, 세금, 중고차값, a/s 등등..
Zakk WyldE
13/04/09 17:45
수정 아이콘
항공모함을 운용하는 나라가 얼마 없는건 항공모함이 비싸서 그런게 아닙니다.(물론 많이 비싸긴 합니다) 유지비 때문에 ㅠ
정지연
13/04/09 17:46
수정 아이콘
일단 가격.. 동급이면 외제차랑 국산차랑 가격차가 수백만원~천만원 이상 차이가 나느데 연비 어쩌고 따지면 수입차가 나을지 몰라도 당장 수백만원의 지출이 생기는건 부담스럽죠.. 수백만원이 조금이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처음 차량을 구입하는 세대가 20대 후반~30대 중반 정도임을 생각하면 그 나이대에 수백만원을 더 쓰기는 어렵죠..
사후 관리 문제도 있고, 아직까지는 수입차에 대한 안 좋은 인식 같은 것도 있고요.. 특히 젊은 사람이 수입차 몰면 손가락질 하는 사람이 여전히 많습니다..
13/04/09 17:47
수정 아이콘
뭐 이야 말로 가치관의 문제이긴 한데, 전 차에 신경을 좀이라도 덜쓸려고 현기차를 선택하는 편입니다.
집정관
13/04/09 17:48
수정 아이콘
전 결국 @문제 라고 생각합니다
shadowtaki
13/04/09 17:49
수정 아이콘
세금은 최초 구입시에만 차이있고.. 유지할 때는 배기량 기준이라 국산차와 다를 바 없고 기름값이야 요새 외제차 연비가 잘나와서 독일차면 오히려 국산차보다 연비는 더 좋고 일제차여도 국산차에 비교해서 크게 차이나는 편도 아닌데..
보험이 문제죠.. 동일 세그먼트 동일 배기량이라고 해도 국산차에 비해서 2배가 살짝 넘는 보험료.. 거기에 보증기간 끝나고 수리비..
또 우리나라는 자동차를 중고로 팔아서 다음 차량으로 넘어가는 케이스가 많은데 외제차는 중고가격 낙폭이 현기차보다 크구요..
13/04/09 17:52
수정 아이콘
보증기간 이후의 수리비가 제일 크죠. 거기다 현대나 기아 이런 차들은 사실 아무 카센타에 가도 수리가 가능한데, 외제차는 마음놓고 수리를 맡길 수 있는 곳도 없고, 대부분의 직영 수리점은 비싸고... 등등의 문제가 큽니다.
덴드로븀
13/04/09 17:53
수정 아이콘
유지비 문제가 가장 크죠.
모리아스
13/04/09 17:53
수정 아이콘
보증 기간 끝난 이후 수리비 감당이 안되니 차를 바꿔야 되는데 그렇게 되면

현기차보다 나은 점? 그딴거 없죠
OneRepublic
13/04/09 18:26
수정 아이콘
4년간 어코드를 끌어본 사람으로서, 비슷한 수준은 모를까 동급 일본차가 국산차보다 가성비가 딸리진 않을겁니다.
기름도 어코드가 소나타보다 덜 먹을거고, 아무래도 사회적인 인식 + 수리비라고 생각합니다.
수리비는 많이 떨어졌다고 해봐야 국내에선 판매량, 보유랑이 넘사벽이다보니 국산차와 비교가 안되죠.
사회적 인식은 동급외제차에만 포함되는 것은 아니고 전체적으로 봤을때인데, 예를 들어서 부장님이 소나타를 끌면
과장이 그랜저를 끌긴 조금 그렇듯 외제차라는게 비싸다는 인식이 있다보니까요.
cHizCaKe
13/04/09 19:20
수정 아이콘
오늘 폭스바겐 골프 계약했습니다. (자랑인가요? ^^;;)

저는 스포티지R이나 르노삼성의 QM5를 생각하고 있었는데, 알아보다보니 폭스바겐이나 푸조에서 나오는 소형차급은 가격차이가 별로 나지 않았습니다.

차량 구매시 붙는 세금, 보험료 등에서 국산차에 비해 불리한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연비가 우수하다는 것 또한 사실이지요.

개인적으로는 여러 매체에서 폭로되었던 현기차의 국내소비자 호구취급에 국산차를 선택하기 싫었던 마음과, 돈을 더 내더라도 더 좋은 품질의 차를 타고 싶다는 욕심때문에 폭스바겐을 선택하게 된것 같습니다.

..하지만, 2천만원대 예산으로 중형차를 구입한다면 선택은 현기차뿐입니다. 단순한 가격의 문제인가요.. 라고 쓰셨는데 이 가격문제라는 것이 참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인것 같습니다.
13/04/09 22:08
수정 아이콘
돈 문제죠
살때 돈문제, 유지할때 돈문제, 중고로 팔때 돈문제...
13/04/10 00:06
수정 아이콘
돈과 상관없이 회사에서 눈치보이거나 주변의 눈치로 못 사는 사람도 있어요.
13/04/10 01:13
수정 아이콘
물론 돈 문제가 가장 크겠지만 눈치 문제도 상당할 것 같네요. 눈치만 쳐도 최소 10%?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410 [질문] 에뮬게임(MAME) 단축아이콘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1] 몽유도원2396 13/05/21 2396
3328 [질문] 이런 검색 지원하는 음원사이트 없나요? [2] 몽유도원1642 13/05/20 1642
3137 [질문] [LOL] 탑 챔프 추천 부탁드립니다 ^^ [13] 몽유도원3605 13/05/16 3605
2987 [질문] [LOL] 탑라인에 원딜이 가는거 어떤가요? [22] 몽유도원8691 13/05/15 8691
2480 [질문] 춘천에 닭갈비먹으러가려고 합니다. 어디가 맛있나요? [19] 몽유도원3002 13/05/07 3002
2441 [질문] 국민연금이 법적으로 보장된 제도가 아니었나요? [8] 몽유도원2451 13/05/07 2451
2434 [질문] 핸드폰 바꾸려는데 위약3은 어떻게 대처해야하나요 ㅠ [4] 몽유도원2224 13/05/07 2224
2370 [질문] 현재 지역케이블사에서 온게임넷HD 서비스 시작했나요? [1] 몽유도원3235 13/05/06 3235
1292 [질문] '년'과 '놈'의 차이??? [10] 몽유도원9694 13/04/21 9694
898 [질문] CJ오클락oclock.co.kr 에 아이디 있으신분 접속확인좀 부탁드려요 [5] 몽유도원4432 13/04/16 4432
698 [질문] 수학문제하나 만들어 주세요 ^^;;;;;;; 몽유도원1853 13/04/12 1853
616 [질문] 미봉인 투표함으로 인한 선거무효여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5] 몽유도원2045 13/04/11 2045
503 [질문] 미원과 소고기다시다의 차이는 뭔가요? [4] 몽유도원18468 13/04/10 18468
462 [질문] 외제차를 쉽게 선택하지 못하는 이유가 있나요? [16] 몽유도원3195 13/04/09 3195
246 [질문] 이번 개편된 온게임넷 HD만족하시나요? [9] 몽유도원3049 13/04/06 30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